• 제목/요약/키워드: Agrocybe aegerita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4초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Mushroom Pathogens from Agrocybe aegerita

  • Choi, In-Young;Choi, Jang-Nam;Sharma, Praveen K.;Lee, Wang-Hyu
    • Mycobiology
    • /
    • 제38권4호
    • /
    • pp.310-315
    • /
    • 2010
  • Agrocybe aegerita is an important mushroom cultivated in Korea, with good feel and a peculiar fragrance. A. aegerita can be cultivated throughout the year using culture bottles but is more susceptible to contamination than other mushrooms. Twenty-two pathogens were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ies and compost of A. aegerita, and seven isolates were isolated from Pleurotus ostreatus to compare with the A. aegerita isolates, collected from Gimje, Iksan, Gunsan of Chonbuk, and Chilgok of Gyeongbuk Province in 2009.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the 29 isolates, 26 were identified as Trichoderma spp. and the remaining three were Aspergillus spp., Mucor spp., and Penicillium spp. A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26 isolates of Trichoderma were divided into four taxa, namely T. harzianum, T. pleuroticola, T. longibrachiatum, and T. atroviride. Among the Trichoderma spp., 16 isolates (55.2%) were identified as T. harzianum, six as T. pleuroticola (20.7%), two as T. longibrachiatum, and the remaining two were T. atroviride.

버들송이(Agrocybe aegerita)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Analysis of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biological activity of Agrocybe aegerita)

  • 서상영;안민실;최소라;송은주;최민경;김영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16-122
    • /
    • 2011
  • 식용버섯으로서 버들송이버섯의 우수성을 검증하고 재배면적과 소비의 확대보급을 위하여 일반성분, 무기성분, 총 폴리페놀 함량 그리고 전자공여능 등 몇가지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일반성분은 조단백질이 38.3%로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은 K, P, Mg, Mn 및 Na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열수추출물은 $65.2{\mu}g/m{\ell}$, 에탄올 추출물은 $46.0{\mu}g/m{\ell}$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추출물에서 $12.5{\mu}g/m{\ell}$, 에탄올 추출물에서 $7.1{\mu}g/m{\ell}$ 이었다. DPPH radical 제거 활성은 열수추출물에서 58.2%, 에탄올 추출물에서 79.2%의 free radical 제거활성을 보여 열수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활성이 높았다. 버들송이버섯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그리고 DPPH radical 제거 활성은 큰느타리버섯 또는 느타리버섯보다 함량이 많고 항산화활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은 63.2%,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6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추출용매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CE 저해활성은 열수 추출물은 78.7%, 에탄올 추출물은 75.0%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열수 추출물에서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버들송이 버섯은 큰느타리버섯이나 느타리버섯 보다 폴리페놀 물질과 같은 항산화성분이 많고, 생리활성이 우수하여 식용버섯으로의 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나타났다.

A Lectin with Mycelia Differentiation and Antiphytovirus Activities from the Edible Mushroom Agrocybe aegerita

  • Sun, Hui;Zhao, Chen Guang;Tong, Xin;Qi, Yi Peng
    • BMB Reports
    • /
    • 제36권2호
    • /
    • pp.214-222
    • /
    • 2003
  • A lectin named AAL has been purified from the fruiting bodies of the edible mushroom Agrocybe aegerita. AAL consisted of two identical subunits of 15.8 kDa, its pI was about 3.8 determined by isoelectric focusing, and no carbohydrate was discerned. Being treated by pyrogultamate aminopeptidase, the blocked N-terminus of AAL was sequenced as QGVNIYNI. AAL agglutinated human and animal erythrocytes regardless of blood type or animal species. Its hemagglutinating activity was unaffected by acid or alkali treatment and demetalization or addition of divalent metals $Mg^{2+}$, $Ca^{2+}$ and $Zn^{2+}$. AAL was toxic to mice: its LD50 was 15.85 mg per kilogram body weight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In this study, two novel activities of AAL were proved. It showed inhibition activity to infection of tobacco mosaic virus on Nicotiana glutinosa. The result of IEF suggested that AAL attached to TMV particles. Mycelia differentiation promotion was the other interesting activity. AAL promoted the differentiation of fruit body primordia from the mycelia of Agrocybe aegerita and Auricularia polytricha. AAL antiserum was prepared and immunologically cross-reactived with several proteins from five other kinds of mushroom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AL probably was a representative of a large protein family, which plays important physiological roles in mushroom.

플라스크배양에서 버들송이버섯 균사체 배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ycelial Growth of Agrocybe aegerita in Flask Culture.)

  • 차월석;이명렬;조배식;박세영;오동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60-566
    • /
    • 2004
  • 버들송이버섯의 균사체 대량 생산의 기초자료를 얻을 일환으로 균사의 영양생장에 필요한 적합한 조건을 연구하고자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 및 영양원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종의 공시배지 중 ME 배지에서 버들송이 버섯의 균사생장 및 밀도가 가장 양호하였으며, 균사생장최적 온도는 $25^{\circ}C$이고, 최적 pH는 5.5이며 최적 배양일수는 12일이었다. 버들송이 버섯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탄소원에서는 다당류인 dextrin이었으며, 최적 탄소원인 dextrin의 적정농도는 3% (w/v)였다. 질소원에서는 유기태 질소원인 yeast extract이었고, yeast extract 최적농도는 2% (w/v)였으며, 최적 무기염류는 MgSO$_4$와 KH$_2$PO$_4$이고, 최적 농도는 MgSO$_4$0.05% (w/v), KH$_2$PO$_4$0.15 (w/v)를 혼합하였을 때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였다. 기본배지인 ME 배지와 본 연구에서 얻어진 최적배지로 액체 배양하여 균체량을 비교한 결과 기본배지는 배양 12일째 최대 건조 균체량 7.59 g/l을 얻었으며, 최적배지는 배양 12일째 17.6 g/l의 최대 건조 균체량을 얻어 기본배지 보다 최적배지의 균체량이 훨씬 높은 균사체 생산수율을 보였다.

사철느타리버섯 원형질체내(原形質體內) 버들볏짚버섯 핵(核)의 전이(轉移) (Transfer of Isolated Nuclei from Agrocybe aegerita Mycelia into Pleurotus florida Protoplasts)

  • 유영복;신평균;김한경;변명옥;류창현;차동열;장권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4-118
    • /
    • 1989
  • 야생형(野生形)이며 self-fertile인 버들볏짚버섯(버들송이) 균사체(菌絲體)로부터 분리(分離)한 핵(核)을 영양요구주(營養要求株)이며 self-sterile인 사철느타리버섯 원형질체내(原形質體內)에 polyethylene glycol+$CaCI_2$+glycine 용액으로 섭입(攝入)하였다. 100균주(菌株)의 핵전이주(核轉移株) 검정(檢定)으로 양친(兩親)이 균총분리(菌叢分離)되어 버들볏짚버섯친(親) 형태(形態)에는 클램프 연결체(連結體)가 균사(菌絲)에 있고, 사철느타리버섯친(親) 형태(形態)에는 클램프 연결체(連結體)가 없는 것이 3균주(菌株), 균총형태(菌叢形態)가 안정성(安定性)이며 클램프 연결체(連結體)가 균사(菌絲)에 형성(形成)된 것이 55균주(菌株), 균총형태(菌叢形態)가 안정성(安定性)이며 클램프 연결체(連結體)가 균사(菌絲)에 존재(存在)하지 않는 것이 42균주(菌株)였다. 이들 핵전이주(核轉移株)는 모두 원기(原基) 형성(形成)되어 자실체(子實體)로 성숙되었으며 그 형태(形態)는 버들볏짚버섯과 거의 유사(類似)하였다. 핵전이주(核轉移株)를 전기영동법으로 alcohol dehydrogenase, esterase, lactate dehydrogenase, peroxidase의 동위효소(同位酵素) 분석(分析)으로 비교하였는데 클램프 연결체(連結體)를 가지는 형태(形態)의 몇 균주(菌株)가 새로운 band를 형성(形成)하였으며 다른 균주(菌株)들은 양친주(兩親株)에서 유래된 것이었다.

  • PDF

Bottl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Agrocybe aegerita and Ganoderma lucidum using Rice hull media

  • Lee, he-duck;Kim, hong-kyu;Kim, yong-gyun;Lee, ga-soo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1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44-46
    • /
    • 2001
  • Rice hull was used as a additive in order to find the effect for incresing of mushroom growth and yield in Chungnam Provincial techinical institution. 1 Treatment of 80% rice hull in small Neutaribeosut mycelial grow duration is shorter about 11 days and yield increased about 7% than conventional culture. 2. In case of Chongpung Neutaribeosut bottle culture, mycelial growth duration is shorter about two to three days in additive of 30 to 80% rice hull compared to conventional but yield similar to conventional. 3. Treatment of 30% rice hull in Agrocybe aegerita bottle culture, mycelial growth and yield increased 6days and 6% than convrntional, respectively 4 Treatment additived of 30% to 40% rice hull in Ganoderma lucidum bottle culture, similar to 454ays demand in mycelial grow duration and 38g yield/bottle in conventioal culture methods.

  • PDF

농산 부산물을 이용한 애느타리 및 버들송이의 배지재료 활용 효과 (Bottle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and Agrocybe aegerita using Agricultural by-product)

  • 이희덕;김용균;김홍규;한규흥;문창식;허일범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47-50
    • /
    • 1998
  • 농산부산물첨가배지 개발로서 이화학적 특성은 콩비지첨가구에서 유기물, 질소, 탄소 함량이 높았으며 전처리구의 pH, 유기물, 질소, 탄소 함량은 버섯 생육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애느타리 관행재배시 병당(850cc)에서 갓의수 20개 72g에 비하여 콩비지 10% 첨가구는 갓의 수 12개 수량 77g으로 7% 증수, 귤껍질 10% 첨가구는 갓의 수 21개 수량 11% 증수되었다. 버들송이 관행재배시 병당 (850cc) 수량 98g 대비 한약박을 제외한 모든 농산부산물 첨가해서 증수되었으나 그중 콩비지 10% 첨가구가 수량 113g으로 15% 증수되었다. 저비용 고효율 농산부산물 버섯 배지개발로써 농가경영비 절감과 고품질 버섯 생산으로 농가소득에 기여할 것이다.

  • PDF

rDNA-ITS분석에 의한 볏짚버섯 (Agrocybe spp.) 수집균주의 계통분류학적 특성구분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Mushroom Agrocybe spp. Based on rDNA-ITS Analysis)

  • 정종천;이명철;장갑열;전창성;이찬중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8
    • /
    • 2009
  • 볏짚버섯속(Agrocybe sp.) 균의 분자생물학적 유연관계분석을 통한 종(species) 구분을 위하여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에 보존중인 ASI $19001{\sim}19032$중 30균주를 공시하고 rDNA의 ITS영역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ASI 19007, 19016, 19019, 19020, 19022, 19023, 19024, 19025, 19027, 19028, 19031, 19032 등 12균주가 A. chaxingu; ASI 19021, 19026 등 2균주가 A. salicacola; ASI 19002, 19003, 19004, 19005, 19029 등 5균주가 A. cylindracea; 19001, 19010, 19011, 19012, 19013, 19015등 6균주가 A. erebia; 그리고 ASI 19008; ASI 19017과 19018; ASI 19009; ASI 19014 등 8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 결과는 기존의 톱밥병재배 시험에서 자실체가 발생한 18균주 중에서 버섯 발생이 잘 되었던 ASI 19003 등 5균주(A. cylindracea)와 ASI 19007 등 10균주(A. chaxingu), ASI 19026 등 2균주(A. salicacola)는 균의 배양속도, 자실체의 발생과 생육기간등 재배적 특성으로 그룹(Species 수준) 간에 구분이 뚜렷 하였는데, 이는 본 시험의 분지도에 나타난 A. chaxingu, A. cylindracea의 구분 결과와 일치하였다. 따라서 rDNA ITS 영역의 염기서열분석은 Agrocybe속 버섯의 종 구분에 있어서 선행적, 보충적 수단으로 활용하기에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본 시험 등에서 조사한 볏짚버섯속 균주들의 특성과 종 구분을 통하여 육종 모본 선발 및 균의 특성에 맞는 재배관리와 소비자 기호에 알맞은 균주의 선택등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