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product

검색결과 1,496건 처리시간 0.036초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한 연구(硏究) 제4보 보리 및 고구마복합분(複合粉)을 이용한 면류(麵類)의 Texture 특성(特性)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IV. Textural Characteristics of Noodles made of Composite Flours Based on Barley and Sweet Potato)

  • 장경정;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5-69
    • /
    • 1974
  • 밀가루 대체원료(代替原料)로써 쌀보리가루 또는 고구마가루를 활용한 복합분(複合粉)으로 국수를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면대(麵帶) 및 건면(乾麵)생산에 있어서 밀가루에 대한 보리가루 대체율(代替率)은 100%까지, 고구마가루 대체율(代替率)은 70%까지 가능하였으며 품질개량제(品質改良劑)로서 glyceryl monostearate 및 sodium polycrylate의 첨가는 이들 제품의 texture 특성(特性)을 향상시켰다. 2) 면대(麵帶)와 건면(乾麵)의 texture 특성치(特性値)인 견고성(堅固性), 응집성(凝集性), gumminess는 보리가루나 고구마가루의 배합에 의하여 떨어졌으나 첨가제의 효과가 뚜렷하였고 면대(麵帶)는 견고성(堅固性) 6.2 이상, gumminess 430 이상, 건면(乾麵)은 견고성(堅固性) 6.8 이상이 필요하였다. 3) 조리면(調理麵)에 있어서 밀가루 대체(代替)와 첨가제의 사용은 texture 특성(特性)을 떨어뜨리는 경향이 있었으며 조리특성(調理特性)으로 보아 보리가루는 60%까지, 고구마가루는 40%까지 대체(代替)할 수 있었다. 4) 조리면(調理麵)의 색깔, 맛, texture에 관한 관능(官能)시험에서 20% 대체복합분(代替複合粉)은 밀가루와 5% 수준에서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품질저하(品質低下)는 주로 착색(着色)에 기인(起因)하였다.

  • PDF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을 위한 흡착 크로마토그래피의 적용 (Ad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for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Multi-pesticide Residues)

  • 김찬섭;임양빈;최주현;이경미;이영득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47-360
    • /
    • 2010
  • 잔류농약 다성분 동시분석을 위하여 국내에 등록되어 사용되고 있는 농약 180종을 대상으로 서로 다른 흡착제를 사용하는 2종의 흡착크로마토그래피 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유럽과 미국, 우리나라의 흡착크로마토그래피 방법을 참고하여 Florisil과 silica-gel 크로마토그래피 용출용매체계를 정한 후 농약성분별 용출양상을 확인하였다. 칼럼정제실험 결과 Florisil 체계와 silica-gel 체계에서 각각 대상농약의 145와 137종이 70-120% 범위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인접분획에 걸쳐 용출된 경우를 중복 계수하여 얻은 용출분획별 분포율은 용출분획 순서별로 Florisil 체계의 경우 12, 76, 81, 60 및 30성분 순이었고, silica-gel 체계의 경우는 22, 59, 102, 46 및 8성분 순이었다.

속리산 국립공원의 경관 및 식생 분석과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제안 (Analyses of Landscape and Vegetation and Ecological Suggestion for The Conservation of Mt. Songnisan National Park, Central Korea)

  • 엄안흠;조용찬;신현철;이창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7권3호
    • /
    • pp.185-192
    • /
    • 2004
  • 속리산 국립공원의 산지에는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상수리나무군락, 서어나무군락, 갈참나무군락 및 졸참나무군락의 자연적 과정을 통해 성립된 식생과 일본잎갈나무 조림지와 리기다소나무 조림지로 이루어진 인위적으로 조성된 식생이 성립하고 있다. 한편, 하천 주변의 저지대에는 농경지, 주거지, 상업시설 등으로 이루어진 개발지가 분포하고 있다. 식생의 공간적 분포에 의하면, 행정구역상 충북 보은군 내속리면과 경북 상주시 화북면에 속하는 공원구역 남부 약 1/3 지역은 자연성과 식생의 다양성이 높았지만 청천면 및 칠성면에 속하는 나머지 지역은 그 대부분을 소나무림이 차지하고 조림지가 차지하는 비율도 높아 식생의 다양성과 자연성이 모두 낮았다. 조사된 식분율 서열법으로 처리한 결과, 식분의 배열은 고도, 사면 등의 지형요인과 그것에서 비롯된 수분요인에 의해 지배되는 경향이었다. 주요 목본식물의 직경 급별 빈도분포를 분석하여 식생의 동태를 분석한 결과, 향후 이 지역의 식생은 서어나무군락, 신갈나무군락 및 소나무군락이 중심을 이루는 식생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그러나 교란의 발생과 그것에 대한 식생의 반응을 고려하면, 이러한 판단은 실제와 다소 차이를 보일 가능성도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속리산 국립공원의 보전전략이 경관생태, 주요 식물군락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의 관점에서 검토되었다.

대당$\cdot$대일본과의 교류관계를 통해 본 발해의 복식문화 연구 - 교류시 품목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Costume of Parhae through the Exchange for Tang and Ancient Japan - focused on the Exchanged Items-)

  • 전현실;강순제
    • 복식
    • /
    • 제55권4호
    • /
    • pp.38-48
    • /
    • 2005
  • This study is consider·ed about the relation or costume among Parhae, ancient Japan and Tang and the culture of this time commonly was influenced by Tang;s culture. The recorded items, which were exchanged from Parhae to Tang and ancient Japan, are the pelt of marten, seal, bear and tiger skin or Ammowhaha(암모화) Gu(구) and so on. Other items from Tang and ancient Japan to Parhae are various clothes and material like silk and so on. This Parhae's clothes made with leather obtained through hunting were the main product of Parhae and had been greatly famous in Tang and ancient Japan. At that time, Tang and ancient Japan had been only dependent on the agricultural life but had not been accustomed to the hunting life, and thereupon, the people in Tang and Nara Era had difficulties to get leather clothes. Accordingly, the leather products stood for the rich, and the people who purchased the leather products from Parhae were recognized as the rich. On the other hand, The prince and the royal family in Parhae were dispatched to Tang as Sooktwui(숙위). They paid a tribute to Tang and In return for it, Tang gave to Sookwui as well as to Parhae's envoys various items and clothes such as Po(포), belt(대), gold and silver Eodae(어대) and textile like a type of silk. These clothes were considered as the formal uniform like Kwanbok(관복) of Parhae. Specially, the time when Sookwui was sent to Tang rot-responded with the time when Tang gave formal uniform to Parhae's envoys.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the sending of Sookwui influenced to form uniform system of Parhae. In this exchange relation, there were several duplicated items showed, for example Po(포)-belt(대), Eui set(의일습), Eoeui(어의), Jobok(조복), Go(고). These items in Parhae were appeared in process of exchanging from Tang to Japan and from Tang to Parhae. At that time, the exchanges between Tang and Parhae were frequently active much more than those between Tang and Japan, and the acceptance of the culture from Tang was easier in Parhae than Japan in consideration of the geographical location. Therefore, those clothes could be understood as the items already used in Parhae and affected from Tang. These items in Parhae were appeared in process of exchanging from Tang to Japan and from Japan to Parhae.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e costumes, which Parhae took from Japan, are the same as those of Tang.

밭 토양에서 패화석비료 시용에 따른 유효인산의 증대 (Increased Available Phosphate by Shell Meal Fertilizer Application in Upland Soil)

  • 이창훈;이주영;하병연;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2-57
    • /
    • 2005
  • 굴껍질을 주원료로 하는 패화석비료가 토양개량제로서 배추의 생육 및 수량을 증진시키고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평택통 (Fine silty, Typic Endoaquepts)의 밭 토양에 굴패화석비료를 0, 4, 8, 12, and $16Mg\;ha^{-1}$ 처리하여 봄배추를 재배하는 과정 중 패화석비료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유효인산함량은 일정하게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효인산 함량의 증가는 1차적으로 패화석비료내 포함된 인산 ($1.5g\;P_2O_5\;kg^{-1}$)의 직접투입이 토양 내 전 인산을 증가시키고 유효인산을 증진시킨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알카리성 제재인 패화석비료가 pH 5.8의 공시토양의 pH를 중성범위로 높이면서 간접적으로 유효인산함량을 증진시킨 것으로 해석되었다. 패화석비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내 수용성 인산과 Ca-P 함량을 다소 증가시켰으나, Al-P와 Fe-P의 비율을 크게 감소되었다. 결과적으로 패화석비료는 토양내 유효인산함량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이렇게 많아진 유효인산을 이용하여 인산시비량을 저감하고 나아가 인산유출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에서 채취한 야생 뽕잎의 생육 시기별 resveratrol 함량 (Seasonal Resveratrol Contents of Wild-type Mulberry Leaves Collected from Gangwon Province in Korea)

  • 김현복;김정봉;김선림;석영식;성규병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10-14
    • /
    • 2012
  • 야생 뽕나무의 자원화 및 이용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 인제, 양양 3개 지역에서 생육 단계별로 채취한 야생 뽕나무의 뽕잎을 대상으로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뽕 품종의 육종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기능성 및 이용 효율이 기대되는 뽕 유전자원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야생 뽕잎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오디에 비해 평균 함량이 상당히 낮았으나 장려뽕에 비해서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생육시기별 야생 뽕잎의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추기의 뽕잎이 춘기보다 함량이 높았다. 즉 춘기 5개엽기 어린잎의 평균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344{\mu}g$/100 g이었으며 뽕잎의 생육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356{\mu}g$/100 g DW, $273{\mu}g$/100 g DW, $253{\mu}g$/100 g DW 이었다. 추기 뽕잎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시기가 경과함에 따라 $438{\mu}g$/100 g DW, $476{\mu}g$/100 g DW, $598{\mu}g$/100 g DW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레스베라트롤의 원료로서 뽕잎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봄뽕보다는 가을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세 후 바로 실온에 음건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원주 지역의 No. 3 개체의 야생 뽕잎은 생육시기 모두 평균 함량보다 높았으며 전체 평균 $539{\mu}g$/100 g DW으로서 10개체의 뽕나무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인제 지역의 No. 7 개체의 뽕잎은 전체 평균 $491{\mu}g$/100 g DW으로 높았다. 따라서 두 개체의 뽕나무는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은 육종소재 및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만한 자원으로 선발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른 표고버섯분말의 흡습특성 (Absorption Characteristcs of Dried Shiitake Mushroom Powder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 고재우;이원영;이준호;하영선;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8-137
    • /
    • 1999
  • 현재 조미료 및 부침가루로 사용되고 있는 표고버섯분말을 사용하여 열풍건조, 진공건조, 동결건조를 이용하여 건조를 행하였다. 각 건조 방법별로 표고버섯분말은 조직구조 및 물리적 특성치인 pore size도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건조 방법별로 품질 분석을 한 결과 일반성분에서는 초기 수분함량에서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전체적인 차이는 크게 나지 않았다. 또한 건조 표고버섯의 맛 성분인 핵산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총페놀 함량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표고버섯 분말의 흡습특성을 조사한 결과 pore size가 가장 큰 동결건조에서 가장 높은 흡습량을 가져왔으며, pore size의 크기에 따라 진공건조, 열풍건조 순으로 흡습량이 많았다. 그리고 저장 온도별로는 가장 낮은 온도인 $5^{\circ}C$에서 가장 높은 흡습을 보여주었으며, $35^{\circ}C$에서는 흡습량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그러나 $35^{\circ}C$ 상대 습도 84%의 저장온도에서는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시료에서 저장 11일만에 곰팡이가 생겨났으므로 평형수분함량을 측정하지 못하였다. 저장 적정 수분함량을 구하기 위해 단분자층 수분함량을 구한 결과는 동결건조한 시료가 다른 시료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흡습 엔탈피는 동결건조한 것이 가장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 또한 표고버섯분말의 평형수분함량 예측을 위해 현재까지 가장 적합성이 높다는 여러 가지 식으로 적합성을 살펴본 결과 단백질 함량이 비슷한 Khun식과 Mizrahi 식이 적합성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러한 식들은 상대습도만으로 구한 값이므로 상대습도뿐만 아니라 온도 및 공극을 변수로 넣어 회귀식을 도출한 결과 $R^2$가 0.989의 적용도가 높은 식을 구하였다.

  • PDF

버섯폐배지의 발생량 조사 및 새송이, 느타리, 팽이 버섯 폐배지의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Yield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pent Mushroom (Pleurotus ryngii, Pleurotus osteratus and 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According to Mushroom Species and Cultivation Types)

  • 김영일;배지선;정세형;안문환;곽완섭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79-8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폐배지의 동물 사료로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배지의 최소한의 발생량을 버섯종류와 버섯재배 방식에 따라 산출하고, 느타리, 새송이, 팽이 버섯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버섯종류별과 재배방식별로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2004년도 우리나라 폐배지 총 발생량은 1,670,182M/T이었다. 사료로의 이용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새송이버섯,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폐배지는 전체 발생량의 58.2%인 972,141 M/T이 발생되었으며, 이중 재배방식별로는 병재배에 의해 67%, 균상재배에 의해 20%, 봉지재배에 의해 13%가 발생되었으며, 버섯 종류별로는 느타리버섯 폐배지가 46%, 팽이버섯 폐배지가 32%, 새송이버섯 폐배지가 22% 발생되었다. 버섯 재배방식별 폐배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있어서 균상재배 폐배지는 병재배와 봉지재배 폐배지 보다 NDF 함량(65.2%)이 낮고, NFC 함량(12.7%)이 높은 특징이 있어서(P<0.05), 사료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폐배지의 화학적 성분 변이도는 병 또는 봉지재배 방식보다 균상재배 방식에서 높은 편이었으며, 전반적으로 섬유소(NDF) 함량의 변이도는 예상보다 낮은 편이었다. 결과적으로 폐배지를 동물 사료로 이용 시 버섯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것보다는 재배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였으며, 사료영양적 측면에서 가치가 높은 균상재배 폐배지의 우선적 이용이 권장된다.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원제가 잉어 및 물벼룩에 미치는 영향 연구 (Toxicity Evaluation of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in Cyprinus carpio and Daphnia magna)

  • 조재구;김미선;최현정;권민;강태구;정창국;김균;오승민;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25
    • /
    • 2014
  •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은 Sclereotium cepivorum과 Sclereotium sp. 균주에 의해 발생하는 마늘 흑색 썩음균핵병에 대한 항박테리아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는 Sclereotium cepivorum과 Sclereotium sp.에 의해 발생하는 마늘 흑색썩음 균핵병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병원체를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개발중인 친환경적인 미생물 제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 흑색 썩음균핵병의 방제재로 개발중인 Bu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원제($1.0{\times}10^9cfu/mL$)가 잉어와 물벼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6.67{\times}10^4cfu/mL$의 농도에서는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원제는 담수어류 및 담수무척추동물에 영향이 낮을 것으로 기대된다.

Inhibitory Activity of Garlic Fermented by Pediococcus pentosaceus KACC 91419 against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 Ham, Jun-Sang;Lee, Seung-Gyu;Kim, Min-Kyung;Oh, Mi-Hwa;Jeong, Seok-Geun;Kim, Dong-Hun;Lee, Se-Hyung;Chae, Jong-Pyo;Lee, Ji-Yoon;Kang, Dae-Kyu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9호
    • /
    • pp.1236-1243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creen lactic acid bacteria for the fermentation of garlic and to assess the increase in inhibitory activity of garlic fermented against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for use as an animal feed supplement. We screened 45 strains of lactobacillus for the fermentation of garlic. Of these strains, 23 showed similar growth rates with or without allicin. Cultures of the 23 strains were mixed with an equivalent amount of garlic juice and incubated overnight at $37^{\circ}C$. The three strains with the lowest pH values were Lactobacillus paracasei KCTC 3169, L5 strain, and L. reuteri SW. Garlic juice fermented by the L5 strain more strongly inhibited antibiotic-resistant pathogenic bacteria than L. paracasei KCTC 3169, L. reuteri SW, or garlic juice itself. By examining carbohydrate utilization, morphologic properties and 16S rRNA gene sequences, we identified the L5 strain as Pediococcus pentosaceus and deposited it in the name of P. pentosaceus KACC 91419 into the 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To identify the antimicrobial compound from the garlic filtrate fermented by P. pentosaceus KACC 91419, we fractionated P. pentosaceus KACC 91419 culture on a C18 column and check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fractions A6 to A10. Only fraction A9 showed inhibitory activity on Staphylococcus aureus. Comparing the mass spectra of the fractions with and without antimicrobial activity, we observed a single dominant product ion (m/z 157.99) from the fraction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Its molecular mass (157.99) was 2 atomic mass units less than that of allicin (162.02). This suggests that allicin might be converted to its derivative, which has antimicrobial activity, during fermentation by P. pentosaceus KACC 91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