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ricultural Information Services

검색결과 305건 처리시간 0.025초

가축분뇨 관리를 위한 통합환경정보시스템 발전방안 (A Study on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for Livestock Manure Management in Korea)

  • 정동환;김용석;신진수;류덕희;조홍래;이태환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2호
    • /
    • pp.183-194
    • /
    • 2013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y and Forestry, and Ministry of Construction, Transportation and Maritime Affairs are in charge of livestock manure management. There are national statistics regarding the livestock industry such as the National Pollution Source Survey, Livestock Statistic Survey, and Livestock-breeding Trend Survey. The current statistical data are focused on the scale of livestock breeding and the production of livestock manure using these data, but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database due to lack of information. In order to plan relevant policies including management of livestock manure, the government established database systems such as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f livestock manure, the integrated system of national infectious animal-disease prevention, and the Sae-ol public administrative system. We have trie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the comprehensive environmental information system of livestock manure management by detecting problems in each level of the livestock manure life-cycle, making use of the existing systems, and considering the electronic transfer system of livestock manure. The services and functions of this comprehensive system include information of livestock farmers, the production, collection, transportation, and treatment of livestock manure, the area of agricultural land used for livestock manure, the report of approval and results on livestock manure products, management of statistical information, management of civil affairs, and relevant mobile application services. The system is made up of three processes: first, establishment of GIS-based management database of livestock manure; second, establishment of a history management system for livestock manure transactions; and third,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assessment system.

큰느타리(새송이)버섯 스마트팜 재배를 통한 생육환경 분석 및 자실체 품질 특성 (Analysis of the growth environment and fruiting body quality of Pleurotus eryngii cultivated by Smart Farming)

  • 김길자;김다미;안호섭;최진경;김선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1-217
    • /
    • 2019
  • 최근 ICT기반 스마트팜이 급속도로 증가추세이다. 버섯의 생육환경요인은 온도, 습도, CO2, 광이 주 요인이지만 그동안 온도 위주의 자동제어가 사용되어왔다. 큰느타리버섯의 생육환경 조절은 온도는 자동제어하지만 가습과 환기는 경험을 기준으로 한 타이머 사용을 하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도, 습도, 환기까지 자동제어를 통해 큰느타리버섯의 1세대 스마트팜 모델을 설정하기 위한 시험을 진행하였다. 환경제어시스템 및 모니터링 장비를 설치 한 후 기존의 방법으로 재배하고 있는 상태에서 생육실의 조건과 자실체의 생육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A농가의 경우 온도는 약 17℃에서 발이시키고 자실체 생육기에는 약 16도로 관리하였다. 습도는 초기 95%로 유지하다가 초발이 이후에는 가습을 하지 않는 경향이었다. CO2 관리는 센서도 없었으며 갓과 대의 모양을 보면서 관행적으로 환기하고 있었고 700 ppm에서 최고 2,500 ppm까지 유지하는 경향이었다. 이 농가의 자실체 품질은 평균 개체중 125 g, 대굵기 53 mm, 대길이/대굵기 비율은 1.8, 갓직경/대굵기 1.25 수준으로 A등급(특품)~B등급(상품) 사이에 해당하였다. B농가의 경우는 온도는 약 19~17℃에서 발이시키고 자실체 생육기에는 약 17℃로 관리하였고 생육후기에는 13~15℃였다. 습도는 83~95%로 육안관찰하면서 관행적으로 조절하는 경향이었다. CO2 관리는 센서는 있었으나 제어는 하지 않았고 갓과 대의 모양을 보면서 관행적으로 환기하고 있었고 640 ppm에서 최고 4,500 ppm까지 유지하는 경향이었다. 이 농가의 자실체 형태는 평균 개체중 102 g, 대굵기 48 mm, 대길이/대굵기 비율은 2.2, 갓직경/대굵기 1.2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환경조건 특히 CO2 농도에 따라 큰느타리버섯의 품질이 결정됨을 알 수 있었으며 A농가의 환경조절 방법을 개선하면서 DB화하면 정밀한 스마트팜 모델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업 빅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플랫폼 설계 (Design of a Platform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Agricultural Big Data)

  • 뉘엔 반 퀴엣;뉘엔 신 녹;김경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49-158
    • /
    • 2017
  • 빅데이터는 경제개발에서 흥미로운 기회와 도전을 보여왔다. 예를 들어, 농업 분야에서 날씨 데이터 및 토양데이터와 같은 복합데이터의 조합과 이들의 분석 결과는 농업종사자 및 농업경영체들에게 귀중하고 도움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그러나 농업 데이터는 센서들과 농업 웹 마켓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장치 및 서비스들을 통해 매 분마다 대규모로 생성된다. 이는 데이터 수집, 저장, 분석과 같은 빅데이터 이슈들을 발생시킨다. 비록 몇몇 시스템들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으나, 이들은 다루는 데이터 종류의 제약, 저장 방식의 제약, 데이터 크기의 제약 등의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농업데이터의 수집과 분석 플랫폼의 새로운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플랫폼은 (1) Flume과 MapReduce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 소스들로부터의 데이터 수집 방법, (2) HDFS, HBase, 그리고 Hive를 이용한 다양한 데이터 저장 방법, (3) Spark와 Hadoop을 이용한 빅데이터 분석 모듈들을 제공한다.

Regional and Varietal Variation of 1-Deoxynojirimycin (DNJ) Content in the Mulberry Leaves

  • Kim, Iksoo;Kim, Jin-Won;Lee, Heui-Sam;Ha, Nam-Kyu;Ryu, Kang-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2권2호
    • /
    • pp.141-147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whether there exists any content variation in 1-deoxynojirimycin (DNJ) among regional and varietal mulberry leaves. HPLC analysis was performed for 22 samples collected from several localities in Korea and Tsushima Islands Japan. The highes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heongilppong sample collected at Youngchun City, Kyungsangbuk Province (1,882.7 $\mu\textrm{g}$/g DW), whereas lowes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heongilppong sample collected at Jiniu City, Kyungsangnam Province (395.65 $\mu\textrm{g}$/g DW). In the comparison of regional samples of Kaeryangppong variety, DNJ conten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Woniu City (1,460.1) > Boungun (999.85) > Hweongsung-gun (939.12) > Cheongju City (688.78). In case of Cheongilppong, DNJ content was highest in the order of Youngchun City (1.882.8) > Sanchung-gun (1,125.3) > Sunchon City (649.17) > Byunsan-myon (441.54) > Jinju City (395.65). Average content of regional samples was higher in Kaeryangppong (1,021.7 $\mu\textrm{g}$/g DW) than that of Cheongilppong (898.87 $\mu\textrm{g}$/g DW). Average DNJ content of the wild mulberry loaves collected from Cheju Island and Tsushima Island (1,012.9$\mu\textrm{g}$/g DW) was high enough to reach to that of the regional Kaeryangppong samples. In the comparison among varietal samples collected in Suwon, the highest DNJ content was observed in YK209 (768.16 $\mu\textrm{g}$/g DW), amongst overall low DNJ content of the varietal samples. Considering a few pieces of information from our data, DNJ content appears not to be influenced solely by annual temperature of the planted areas.

  • PDF

기후변화·해수면 상승에 따른 농업부문 통합평가 사례연구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 (Reviewing of Integrated Assessment of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and Sea-Level Rise on Agricultural Sector)

  • 안소은;오서연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9-314
    • /
    • 2016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iew integrated assessment studies conducted to address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sea-level rise on agricultural sector and to deriv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integrated assessment process to assist decision-makers in establishing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We collect integrated assessment studies which are based on the impact-pathway analysis, compare their step-by-step procedures and identify main factors addressed in each step. The assessment process is typically carried out in the sequence of scenario development, determination of assessment scope, physical impact assessment, economic analysis and synthesis of the outcomes from each step. We identify two types of integrated assessment. The first one examines the impacts of changes in temperature and/or precipitation on the crop-cultivation patterns and/or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resulting economic effects on agricultural sector. The other investigates the impacts of sea-level rise on land use/coverage and resulting economic damages in terms of land-value loss where the effects on agriculture is treated as one sector among others. To enhance integrated assessment, we suggest that 1) scenarios need to incorporate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sea-level rise simultaneously, 2) scope of the assessment needs to be extended to include ecosystem services as well as crop production, 3) social and cultural aspects need to be considered in addition to economic analysis, and 4) synthesis of the outcomes from each step should be able to combine quantitative as well as qualitative information.

Diversity, Interspecific Interaction and Abundance of Undergrowth in Monocultures and Integrated Systems of Natural Rubber Plantation in Danzhou, Southern China

  • Chima, Uzoma Darlington;Qi, Dongling;Wu, Zhixiang;Lan, Guoyu;Chen, L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2호
    • /
    • pp.75-89
    • /
    • 2022
  • The negative impact of monoculture rubber plantations on biodiversity and associated ecological processes/ecosystem services has led to suggestions on the use of integrated land use systems for rubber cultivation and production in order to ensur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However, there is paucity of information on the effect of such integrated land use systems on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the rubber plantation undergrowth. We evaluated and compared undergrowth plant species composition, richness, abundance, diversity and interaction, in three integrated systems (Rubber-Strelitzia reginae Integrated System - RSrIS, Rubber-Podocarpus nagi Integrated System - RPnIS & Naturally Managed Rubber Plantation - NMRP) with three Rubber Monoculture Plantations (RMP1, RMP2 & RMP3) adjacent to the integrated systems, respectively, at the Investigation and Experiment Station of Tropical Crops, Danzhou, Hainan, China. Undergrowth species density was higher in the rubber monocultures than in the integrated systems except in RSrIS. Species richness and diversity were also higher in the monocultures except in NMRP. Species similarity/interaction between the monocultures and the integrated systems was highest between RMP3 and NMRP. The NRMP proved to be the best model of natural rubber integrated system for the conservation of undergrowth species richness, diversity and interspecific interaction. However, the conservation of undergrowth species in other forms of integrated natural systems can be enhanced by considering the ecology of species to be integrated in terms of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competitive nature, and ability to grow in association with other species.

디지털 농업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환경 인자 추천 기술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Factor Recommendation Technology based on Deep Learning for Digital Agriculture)

  • 조한진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5호
    • /
    • pp.65-72
    • /
    • 2023
  • 스마트팜은 농업과 ICT의 융복합을 통해 농업의 생산뿐만 아니라 유통과 소비를 포함한 농업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에서도 스마트 농업 확산을 위한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스마트팜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여 데이터 수집·활용 촉진. 스마트 APC 확대, 온라인거래소 운영 및 도매시장 거래정보 디지털화 등 산지에서 소비지까지 농산물 유통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농업 데이터는 다양한 출처에서 특성에 따라 정보가 생성되고 있지만, 통계 및 정형화된 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로만 활용되고 있다. 이는 농업에서 생산·유통·소비까지 분산된 데이터 수집으로 인해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출처로부터의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수집·처리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농업을 위한 국내 농업 데이터 수집·공유 현황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 수집·연계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딥러닝 기반의 환경 인자를 추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산물 재배관리 및 이력추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System of Cultivation and Tracking for Agricultural Products using USN)

  • 유남현;송길종;유주현;양수영;손철수;고진광;김원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9호
    • /
    • pp.661-674
    • /
    • 2009
  • 최근 군사, 의료, 환경, 산업 현장, 물류 분야 등에서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신기술을 적용한 진보된 IT융합 서비스들에 대한 연구와 시도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농업 분야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또한 실제로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농업 분야에서의 적용은 의료, 산업, 유통 분야 등과 같은 기존의 적용 환경과는 다른 고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적용한 사용자(농민) 중심의 농산물 생산, 가공, 유통 및 판매가 통합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농작물의 최초 파종 단계에서부터 해당 농산물이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이전까지 진행되는 모든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화된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영농활동에 필요한 각종 재배력, 기상 상황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 받을 뿐 아니라, 재배되고 있는 농산물에 대한 각종 상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재배지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영농 시설물들을 직접 혹은 원격지에서 제어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임계값을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제어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농산물의 생산, 저장, 유통 및 최종 판매 단계까지 연결되고 일원화된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농산물에 대한 신뢰도 및 품질의 향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생명과학 학술지의 인용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itation Analysis of Scholarly Journal in the Field of Life Science)

  • 김홍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85-10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생명과학분야 연구자들의 인용문헌 형태와 국외정보의 의존도를 밝히고, 주제별, 형태별 인용문헌의 출판경과시간에 따른 빈도를 통해서 반감기를 측정하여, 생명과학분야 정보서비스 개발과 장서평가 및 폐기와 관련된 도서관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근거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생명과학분야에 해당하는 의학, 약학, 식품, 농학, 미생물분야의 학술지 기사의 인용문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자는 학술지를 가장 많이 인용하고 있었으며, 해외의존도는 미생물분야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약학, 의학, 농학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감기 측정에서는 농학분야의 반감기가 8.98년으로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생물분야가 7.38년, 식품분야가 7.11년, 약학분야가 6.96년의 순으로 높았으며, 의학분야는 6.73년으로 가장 짧은 반감기를 보였다.

경북 지역의 사과, 배, 복숭아, 포도, 자두과원의 잡초 발생 분포 및 우점도 (Dominance and Distribution of Weed Occurrence on Orchards of Apple, Grape, Peach, Pear, and Plum of Gyeongbuk Province)

  • 김상국;신종희;김세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51-59
    • /
    • 2016
  • 본 연구는 2015년 2월부터 8월까지 경상북도 12개 시군에서 경북 지역의 주요 과수인 사과, 포도, 복숭아, 포도, 자두 과원에 발생되는 잡초종을 동계잡초와 하계잡초로 나누어 우점도를 조사하였다. 사과 과원에서는 36과 105종, 포도 과원 34과 126종, 복숭아 과원 34과 126종, 배 과원 33과 98종, 자두 과원 36과 111종이었다. 과원별 우점도는 사과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6.09%, 포도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7.32%, 복숭아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4.74%, 배 과원의 경우 일년생 잡초 6.57%, 자두 과원의 경우 이년생 잡초 5.38%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89종, 포도 과원 28과 71종, 복숭아 과원 32과 111종, 배 과원 27과 68종, 자두 과원 33과 83종이었고 하계잡초에 대한 과와 종수는 사과 과원 31과 101종, 포도 과원 27과 69종, 복숭아 과원 29과 91종, 배 과원 31과 94종, 자두 과원 31과 97종이였다. 주요 과원별 동계 우점잡초는 사과 과원(냉이), 배 과원(별꽃), 복숭아 과원(냉이), 포도 과원(냉이), 자두 과원(망초)이었고, 하계우점잡초는 사과 과원(깨풀), 배 과원(쑥), 복숭아 과원(강아지풀), 포도 과원(강아지풀), 자두 과원(강아지풀)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