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gregate Ratio

검색결과 1,117건 처리시간 0.029초

의료보험 성인병 건강검진율의 결정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Rate in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of Medical Insurance)

  • 윤성태;지선하;서일;오희철;김한중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3권2호
    • /
    • pp.150-156
    • /
    • 2000
  • Objective :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tion rate in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of medical insurance. Method : We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tion rate in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at the aggregate level from 145 employee health insurance societies and 227 self-employed health insurance societies from 1995 to 1997 Data were also collected at the individual level from four health insurance societies.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was related to 1) the characteristics of its members and the size of the health insurance society; 2) the specifications of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3) the venue of the health screening institution and the interests of individuals in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and 4) the activities of the health insurance society. We used bivariate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to examine the factors on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Results : First, in the case of dependents of on employee health insurance society, the ratio of dependents 40 years old and over, the average monthly contribution per household,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level of individuals in health screening, and the level of refunds for over-payment were all associated with the participation rate in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accounting for 54.4% of the participation rate. Second, in case of those insured by the self-employed health insurance society, the interest and satisfaction level of individuals in health screening, the level of refunds for over-payment, and the performance level of on-the-spot health screen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unting for 40.1% of the participation rate. Conclusion : The factors concerning the participation rate in the health screening program of medical insurance, in both a health insurance society and for individual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age and gender of individuals and household contributions.

  • PDF

재생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의 혼합방법 개선에 따른 피로저항 특성 (Characteristics of Fatigue Resistance of Recycled Asphalt Concretes by Modified Mixing Process)

  • 도영수;고태영;김광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135-143
    • /
    • 2006
  • 본 논문은 가열 재생아스팔트 혼합물의 공용성능 향상을 위한 혼합방법 개발 연구의 일부분이다. 기존 재생혼합물 혼합방법은 재생혼합물 내에서 기존의 노화된 바인더가 균등히 회생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새로이 개발된 혼합방법은 회수 아스팔트 포장의 기존 바인더를 기존 재생 혼합방법보다 회수 아스팔트 포장 재료에 묻어 있는 노화된 바인더를 훨씬 많이 회생시켜 재생 혼합물에서 보다 더 균일한 바인더의 점도상태가 되도록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이 개발된 혼합 방법으로 제조된 재생아스팔트 혼합물의 피로저항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두 종류 골재(편마암, 화강암), RAP 15%, LDPE의 두 가지 첨가량(0, 6%)를 이용하였으며, 혼합방법은 바인더의 불균등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 즉 일반적인 기존의 O 방법과 새롭게 개발한 N 방법을 이용하였다. 혼합방법에 따른 피로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혼합방법에 따라 제작한 재생 혼합물의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피로수명은 O 방법 혼합물이 가장 길고 그 다음이 N 방법이고 control이 가장 낮았다. 또한 장기노화 후 N 방법 혼합물의 균열에 대한 저항성이 O 방법 혼합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기농 밭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s under Organic Farming)

  • 조현준;황선웅;한경화;조희래;신재훈;김이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98-102
    • /
    • 2009
  • 유기농재배농가 토양관리 실태와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유기농 밭 토양은 인근대비 용적밀도와 경도의 개선효과가 있었고, 특히 공극률, 소형판침하량, 표토심, 경운심, 근권심은 높게 나타났다. 내수성입단은 유기농재배 밭이 인근농가 밭보다 오히려 낮았다. 이는 유기농가에서 염류집적을 고려하여 파쇄목, 나무껍질, 수피 등과 같은 C/N율이 높은 거친 유기물들을 시용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농재배 밭의 유효인산 및 치환성양이온 함량 등의 토양화학성은 대부분 인근농가에 비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물을 과량 시용하였기 때문으로 분석되었다.

잔골재 입자 크기에 따른 모르타르의 레올로지 거동 특성 (Fine Aggregates Size Effect on Rheological Behavior of Mortar)

  • 이진현;김재홍;김명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636-5645
    • /
    • 2015
  •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 건설재료의 강도와 작업성은 구성하는 잔골재의 조립률, 입자 크기, 흡수율 등의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특히, 잔골재의 입자 크기와 그에 따른 입도 분포는 시공 품질을 좌우하는 건설재료의 작업성을 결정한다. 최근 들어 건설현장에서는 천연모래의 수급 불안정으로 다양한 종류의 잔골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잔골재의 입자 크기에 대한 검증 없이 사용하는 경우 건설재료의 품질 저하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잔골재의 입자 크기가 모르타르의 레올로지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건설재료의 작업성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모르타르의 작업성 평가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미니 슬럼프 플로 시험과 건설재료용 레오미터를 이용하여 레올로지 특성, 즉 항복응력과 소성점도를 측정하였다. 사용한 샘플은 일반 모래에 대한 체가름 시험을 통해 입자 크기에 따라 분류한 11가지 종류의 모래를 동일한 배합비로 모르타르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입자 크기가 0.7 mm 이하로 작아질수록 모르타르의 항복응력과 소성점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입자 크기가 0.34 mm 이하로 작아지면 모래 입자의 흡수율에 따른 영향이 커짐을 확인하였고, 흡수율만큼 배합수를 증가시키면 이에 대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었다. 따라서 0.34 mm 잔분에 대한 흡수율 보정은 건설재료의 작업성 관리에 매우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VERTICAL PROPERTIES OF THE GLOBAL HAZE ON TITAN DEDUCED FROM METHANE BAND SPECTROSCOPY BETWEEN 7100 AND 9200Å

  • Sim, Chae-Kyung;Kim, Sang-Joon;Kim, Joo-Hyeon;Seo, Haing-Ja;Jung, Ae-Ran;Kim, Ji-Hyun
    • 천문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65-76
    • /
    • 2008
  • We have investigated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global haze on Titan from spectra recorded between 7100 and $9200{\AA}$, where $CH_4$ absorption bands of various intensities occur. The Titan spectra were obtained on Feb. 23, 2005 (UT), near the times of the Cassini T3 flyby and Huygens probe, using an optical echelle spectrograph (BOES) on the 1.8-m telescope at Bohyunsan Observatory in Korea. In order to derive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haze as a function of altitude, we developed an inversion radiative-transfer program using an atmospheric model of Titan and laboratory $CH_4$ absorption coefficients available from the literature. The derived extinction coefficients of the haze increase toward the surface, and the coefficients at shorter wavelengths are greater than those at longer wavelengths for the 30 - 120 km altitude range, indicating that the Titanian haze becomes optically thin toward the longer wavelength range. Total optical depths of the haze are estimated to be 1.4 and 1.2 for the 7270 - $7360{\AA}$ and 8940 - $9150{\AA}$ ranges, respectively. Based on the Huygens/DISR data set, Tomasko et al. (2005) reported total optical depths of 2.5 - 3.5 at $8290{\AA}$, depending on the assumed fractal aggregate particle model. The total optical depths based on our results are smaller than those of Tomasko et al., but they partially overlap with their results if we consider a large uncertainty from possible variations of the $CH_4$ mixing ratio over Titan's disk. We also derived the single scattering albedo of the haze particles as a function of altitude: it is less than 0.5 at altitudes higher than ${\sim}150\;km$, and approaches 1.0 toward the surface. This behavior suggests that, at altitudes above ${\sim}150\;km$, the average particle radius is smaller than the wavelengths, whereas near the surface, it becomes comparable or greater.

잔골재 대체재로서 석탄회를 이용한 초속경 보수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Ultra Rapid Hardening Mortar using Coal-Ash)

  • 이건철;오동욱;김영근;조정기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128-13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산업부산물로서 재활용율이 낮은 바텀애쉬와 혼화재를 이용하는 에코개념의 터널 보수용 초속경 그라우트 모르타르 개발을 목적으로 실시공 환경조건의 온도하에서 초속경 그라우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유동성 및 응결시간은 B > C > A type 순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온도조건별로는 상온보다 저온에서 더 지연되었다. 압축강도, 휨강도, 부착강도는 3 type 모두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압축강도는 저온조건에서는 초기에 강도가 작았지만 장기재령에서는 상온조건과 유사한 강도가 나타났고, 휨강도는 초기에는 강도가 유사했지만 장기재령에서는 상온조건이 크게 나타났으며, 부착강도는 상온조건보다 저온조건이 평균 35 % 저하되었다. 길이변화는 A > C > B 순으로 저온조건이 상온조건보다 2배로 나타났으며 고로슬래그 미분말을 취환한 경우 현저히 감소되었다. 물흡수 계수 및 습기투과 저항성은 C > A > B 순으로 크게 나타났고 바텀애쉬를 치환할 경우 다공질의 영향으로 크게 증가되었다.

  • PDF

파클리탁셀을 함유한 지질나노입자의 제조와 인공 소화액에서의 안정성 평가 (Preparation of Lipid Nanoparticles Containing Paclitaxel and their in vitro Gastrointestinal Stability)

  • 김은혜;이정은;임덕휘;정석현;성하수;박은석;신병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38권2호
    • /
    • pp.127-134
    • /
    • 2008
  • Peroral administration is the most convenient one for the administration of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Most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administered via the oral route, however, remain poorly available due to their precipitation in the gastrointestinal (GI) tract and low permeability through intestinal mucosa. In this study, one of drug delivery carriers, lipid nanoparticles (LNPs) were designed in order to reduce side effects and improve solubility and stability in GI tract of the poorly water soluble drugs. However, plain LNPs are generally unstable in the GI tract and susceptible to the action of acids, bile salts and enzymes. Accordingly, the surface of LNPs was modified with polyethylene glycol (PEG)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olubility and GI stability of paclitaxel (PTX) in vitro. PEG-modified LNPs containing PTX was prepared by spontaneous emulsification and solvent evaporation (SESE) method and characterized for mean particle diameter, entrapping efficiency, zeta potential value and in vitro GI stability. Mean particle diameter and zeta potential value of PEG-modified LNP containing PTX showed approximately 86.9 nm and -22.9 mV, respectively. PTX entrapping efficiency was about 70.5% determined by UV/VIS spectrophotometer. Futhermore, change of particle diameter of PTX-loaded PEG-LNPs in simulated GI fluids and bile fluid was evaluated as a criteria of GI stability. Particle diameter of PTX-loaded PEG-LNPs were preserved under 200 nm for 6 hrs in simulated GI fluids and bile fluid at $37^{\circ}C$ when DSPE-mPEG2000 was added to formulation of LNPs above 4 mole ratio. As a result, PEG-modified LNPs improved stability of plain LNPs that would aggregate in simulated GI fluids and bile solu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NPs modified with biocompatible and nontoxic polymer such as PEG might be useful for enhancement of GI stability of poorly water-soluble drugs and they might affect PTX absorption affirmatively in gastrointestinal mucosa.

가연성 폐기물 에너지화의 외부편익 : 조건부 가치측정법의 적용 (The external benefit of combustible waste-to-energy: A contingent valuation study)

  • 임슬예;김호영;유승훈
    • 에너지공학
    • /
    • 제22권3호
    • /
    • pp.270-282
    • /
    • 2013
  • 기후변화 및 화석연료 고갈에 대한 국가적 대응 차원으로 가연성 폐기물 에너지화가 진행되고 있다. 가연성 폐기물 에너지화란 비닐, 종이와 같은 폐기물을 전용보일러나 발전소에서 전기나 열을 생산하는 데 연료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고형연료로 제조하여 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조건부 가치측정법(CVM, Contingent Valuation Method)을 적용하여 폐기물에너지가 전체 에너지 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현재의 1.89%에서 2020년까지 5%로 확대하는 정책의 시행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부적 편익을 추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불의사액(WTP, willingness to pay)을 도출하고자 서울시 500가구를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CVM을 적용하였다. 지불의사 유도방법으로 1.5경계 양분선택모형과 영(0)의 WTP를 처리하기 위한 스파이크 모형을 결합한 분석모형을 적용한 결과 폐기물 에너지화에 대한 매월 가구당 평균 WTP는 2,724원으로 유의수준 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추정되었다. 이를 서울시 전체로 확장하면 연간 137억원에 달한다.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한 유리섬유 FRP 판과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합성보의 휨/전단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for Flexure/Shear Failure Behavior of Composite Beam with GFRP Plank Used As a Permanent Formwork and Cast-in-place High Strength Concrete)

  • 유승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245-4252
    • /
    • 2015
  • 유리섬유강화폴리머(GFRP) 판을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 구조물의 영구거푸집으로 사용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현재 생산되는 GFRP 판의 경우 표면이 매끈하여 콘크리트와 일체 거동에 다소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FRP 판 하부의 잔골재 부착여부, GFRP판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 상부 플랜지 폭을 실험 변수로 하여 현장타설 고강도콘크리트와 GFRP를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한 전단경간비가 짧은 합성보의 휨/전단파괴거동을 분석하였다. GFRP 판 웨브를 천공하지 않은 경우 잔골재 부착효과 여부를 위한 실험 결과,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미부착의 경우 보다 약 47% 정도의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며, 파괴형태도 휨/전단파괴모드를 보여 주었다. 웨브의 천공유무 및 간격효과는 잔골재를 부착하지 않은 경우 천공간격이 조밀한 경우가 약 24% 정도 높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으며, 잔골재를 부착한 경우 천공 간격이 조밀하지 않은 경우가 약 25% 정도 낮은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 상부플랜지 영향을 살펴보면, 폭 40mm 경우가 20mm에 비해 약 17% 정도 큰 극한하중 값을 보여주었다.

Box-willson 실험계획법 기반 고강도 자기충전형 콘크리트의 최적설계방법 (Box-Wilson Experimental Design-based Optimal Design Method of High Strength Self Compacting Concrete)

  • 도정윤;김두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92-103
    • /
    • 2015
  • Box-Wilson 실험계획법은 보통 중심합성계획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변동성이 존재하는 정보를 실험 계획적 방법으로 수집하는 설계 기법이다. 이 방법은 최소의 설계비용으로 가능한 많은 정보를 얻는 목적으로 고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60 MPa급 고강도 자기충전형 콘크리트(HSSCC)를 대상으로 다양한 성능에 대한 여러 배합인자들의 효과를 효율적으로 파악하고 최적배합을 찾는 과정에 이 방법을 적용하였다. HSSCC의 배합인자(요인)와 물리적 성능(반응) 사이의 비선형적 관계는 2차 다항식으로 반응표면을 근사화 모델링하였으며, 요인점=25=32개, 축점=2k=10개, 중심점은 각 축에서 2번 씩 10개, 총 52개의 실험점에서 물시멘트비, 단위시멘트량, 잔골재비, 단위플라이애쉬량, 단위고성능감수량의 총 5개의 인자에 따른 압축강도, 통과능력, 재료분리저항성, 제조비용, 밀도 등의 총 5개의 반응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이 실시되었다. 연구의 결과 Box-Wilson 실험계획법은 배합인자와 반응 사이의 관계를 과학적인 방법으로 계획하고 객관적으로 해석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수치해석적인 방법으로 최적배합을 계산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