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s above 60 years old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8초

초등학생의 과체중 이환율 추적과 관련요인 분석 (Overweight Tracking in Primary Schoolchildren and Analysis of Related Factors)

  • 윤군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5권1호
    • /
    • pp.69-77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obability of overweight throughout childhood in relation to the presence of overweight at birch or in early childhood, and presence of overweight in children's parents. Weight and height measures were collected at birth and at ages of 7, 10, 12 years from 655 6th grade primary schoolchildren. Childhood overweight was defined as a body mass index at or above the 85th percentile for age and sex, and overweight in children's parents as a body mass index at or above 27.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increased with age of the children. Overweight at birth was not associated with overweight at 12 years of ages. However, overweight at 12 years old was already related to overweight at 7 years old. In comparison to non-overweight peers, overweight children at ages 7(OR = 7.64, 95% CI = 4.32-13.51) and 10 years(OR = 19.69, 95% CI = 11.42-33.94) had a higher rick of becoming overweight at 12 years of age. Among children who was overweight at age 7years, 60.7% remained overweight 5 years later, Yearly increment in BMI of overweight children was larger than that of non-obese children (1.15-1.65kg/m$^2$vs 0.50-0.71kg/m$^2$. As compared with the lower case in mealy increment of BMI, the probability of being overweight at age of 12 years was greater in higher case. BMI values at age 7yea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values at age of 10 and 127ear,i, and with annual increments in BMI. But those relationships with birth weight were not observed. Children were at greater risk for overweight if at least ogle parent was overweight. The odds ratio for child overweight associated with maternal overweight was 2.41(95% CI = 1,13-5.IS), and those associated with paternal overweight 1.70(95% CI = 0.92-3.17). And parents' BMI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children's BMI values and yearly BMI increment. In conclusion, overweight at early childhood and annual inclement in BMI can be important in predicting the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the risk that overweight will remain after 7 years of age. The risk of being overweight throughout the childhood increases by the parents'overweight.

소아와 고령자에서 급성 충수염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and Elderly Patients)

  • 이미경;이상희;김재만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7권2호
    • /
    • pp.145-153
    • /
    • 2011
  • Acute appendici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s of young people that requires emergency operation. This is especially true for those age 10 years old and older. However, the numbers of cases of appendicitis are increasing in both the young and the elderl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linical features of acute appendicitis in children and elderly patients. We retrospectively compare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4 groups of patients who underwent appendectomy in our hospital. There were 16 patients in the pre-school age group, 9 were males and 7 females. The total number of patients in the juvenile group were 287, 156 were males and 131 females. The total numbers of patients in the adult group were 794, 436 were males and 358 females. The numbers of elderly patients were 189, 91 were males and 98 females. Complicated appendicitis was found in 15 patients (93.7 %) in the pre-school age group, 79 patients (27.5 %) in the juvenile group, 332 patients (41.8 %) in the adult group, and 96 patients (50.7 %) in the elderly group. Four patients (40 %) had generalized panperitonitis in the pre-school group. The occurrence of perforated appendicitis was the highest in the pre-school age group and the lowest in the juvenile group. Since generalized panperitonitis has a higher incidence in the pre-school age group, prudent and careful diagnosis and treatment are required for the pre-school age group.

  • PDF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 삽목증식에 미치는 상토의 영향 (Effect of Bedsoil on Cutting Propagation of Old Growth and Protected Tree of Salix chaenomeloides Kimura)

  • 송현진;정미진;김학곤;서영롱;임현정;양우형;박동진;윤석락;마호섭;최명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1호
    • /
    • pp.76-83
    • /
    • 2015
  • 본 연구는 경남에 자생하고 있는 100-600년 추정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의 생육특성을 분석하고, 상토에 따른 삽목증식의 영향을 구명하였다.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 6개체는 마을형 4개소, 하천형 주변 1개소, 들판형 1개소에 자생하고 있었다. 삽목증식은 10가지 상토에서 실시하였으며, 모든 상토에서 삽목묘의 생존율은 93%이상이었다. 삽목묘의 묘고 생장이 가장 좋았던 상토는 시판 바이오상토(CBS, mean=60.01 cm)였으며, 다음으로 혼합상토(VPMP, mean=42.95 cm), 피트모스(PM, mean=41.81 cm) 순이었다. 근원경의 생장은 상토에 따라 심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초는 1-4개 형성되었다. 삽목묘의 뿌리길이는 묘고 생장이 좋았던 상토였던 CBS와 VPMP에서 20 cm 이상 생장하였다. 상토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한 바, 왕버들의 삽목에는 보습력과 통기성이 양호하며, EC값이 높은 약산성의 상토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CBS와 VPMP 상토는 노거수 및 보호수 왕버들의 삽목증식에 적합한 상토로 나타났다.

제주지역 성인의 Apolipoprotein E Phenotype 분포와 식생활 및 혈청지질 농도의 관련인자 연구 (The Effects of Dietary Patterns and Apolipoprotein E Phenotype on the Blood Lipid Profiles of Individuals from Cheju Area)

  • 고양숙;박선민;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9호
    • /
    • pp.1481-149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 between serum lipid profiles, apolipoprotein E phenotype, and dietary patterns in a cross-section of healthy individuals from Cheju-Do. Age, gender, anthropometric measurements, blood pressure, dietary consumption, drinking / smoking habits and menopausal status were surveyed.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triglyceride, fasting blood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measured from overnight fasting blood.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286 individuals(147 men and 139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60 years old. All of the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a population of healthy individuals living in Cheju-D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Among the males, those in their 20's had the maximum food intake, while those in their 40's had the minimum food intake. For the females, food intake was the highest for those in their 30's. Energy and nutrient intakes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food intake. Men in their 30's were heavier than other men and women in their 40's were heavier than other women. The activity index for men in their 20's and 30's appeared to be lower than that of men above 40. The activity index of women in their 20's appeared to be lowest among all aged groups, and the index appeared to increase from the age of 30 onwards. 2) In terms of changes In serum constituents with age, men in their 40's appeared to have the highest levels of serum constituents such as lipids, glucose, and insulin. Men in their 50's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serum LDL-cholesterol and glucose. Men in their 30's showed peak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On the other hand, women in their 50's appeared to have peak levels of serum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s. There was no ch:ange with age in HDL-cholesterol and insulin levels for men and women. The percentage of the subjects had the following apo E phenotypes : E3/3, 91.3% ; E3/2, 5.4% ; E4/3, 2.5% ; E4/2, 0.7%. Lee's reserch with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showed that the percentage of ApoE3/3, E3/2, E 4/2, E4/3, and E4/4 were 84.8%, 6.7%, 6.7%, 0.9%, 0.9%, respectively. The number of samples with ApoE mutation was so small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relation between apolipoprotein E phenotype and se겨m lipids. 3) To investigate the relati onship between weight and serum constitu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BMI underweight, normal weight, and overweight. The serum constituents of men and women below the age 40 in the overweight groups belonged to the normal domain. On the other hand, serum cholesterol levels of both men and women above the age 40 in the overweight groups remained in the borderline-high region(above 200mg/dl), and the mean value of LDL-cholesterol(above 130mg/dl) and triglycerides of men were above normal.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also remained in the borderline-high region. Total cholesterol levels of women above the age 40 in the overweight group was in the borderline-high region. (Korean J Nutrition 31(9) : 1481-1497, 1998)

  • PDF

Positive Effects of the National Cigarette Price Increase Policy on Smoking Cessation in South Korea

  • Kwon, Do Sun;Kim, Tae Hee;Byun, Min Kwang;Kim, Hyung Jung;Lee, Hye Sun;Park, Hye Jung;Korean Smoking Cessation Study Group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3권1호
    • /
    • pp.71-80
    • /
    • 2020
  • Background: In January 2015, South Korea's government raised the cigarette tax, and the retail price of cigarettes abruptly increased by 80%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This research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is increase on smoking cessation among South Korean smokers. Methods: We analyzed data collected by the 2013-2015 Sou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of 15,203 South Koreans over 19 years old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examined the recent non-smoking period of nonsmoking people, prepared according to the survey, and analyzed the recent smoking cessation ratio. Results: Among smokers, from 2013 to 2014, the smoking cessation rate was 7.2%, and it increased to 9.9% in 2015 after the increase in the cigarette tax. In 2015, the recent smoking cessation rate was higher among people over the age of 60 (odds ratio [OR], 2.67) compared to those between the ages of 40 and 49. The recent smoking cessation rate was higher among people with below elementary education (OR, 2.28) and above university education (OR, 1.94) compared to high school, higher for those with apartments (OR, 1.74) compared to general type residences, and higher among those with a household income in the low-middle quartile (Q2) (OR, 2.32) compared to the highest quartile (Q4). Conclusion: This innovative policy including increase in cigarette prices affected smoking cessation, and its impact varied by sub-group of smokers in South Korea.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 시 기흉 발생 관련 요인 (Related Factors of Pneumothorax after Percutaneous Needle Aspiration Biopsy)

  • 이보우;배석환;이무식;이진용;김철웅;조범상;유세종;황지혜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4권3호
    • /
    • pp.203-208
    • /
    • 2011
  • 본 연구는 폐 병소의 경피적 흡인 생검을 시행하는데 있어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일개 대학병원에서 2007년 8월부터 2008년 5월까지 국소적인 폐 병소를 보인 25~85세 사이의 10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병변의 위치, 병변의 크기, 병변의 깊이, 성별, 나이, 생검 시간, 생검횟수로 나누어 기흉 발생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위치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우하엽에서 27.3%, 우상엽 24.3%, 좌하엽 15%, 좌상엽 12% 순으로 나타났다. 병변의 크기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2.0 cm에서 24.0%, 2.1~4.0 cm에서 18.2%, 4.1 cm 이상에서 20.0%였다. 병변의 깊이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 cm에서 6.7%, 0.1~2.0 cm에서 24.2%, 2.1 cm 이상인 경우가 26.8%였다. 성별에 따른 기흉의 발생은 남성 21.7%, 여성 17.1%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기흉 발생은 40세 이하가 25%, 41~50세가 11.7%, 51~60세가 14.3%, 61~70세가 24.1%, 70세 이상이 24.1%로 나타났다. 생검에 걸리는 시간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0~10.0분에서 3.8%, 10.1~20.0분에서 18.9%, 21분 이상에서 40%였다. 생검 시행 횟수에 따른 기흉 발생률은 4회 이상에서 28.6%, 2회 이하에서 20.5%, 3회에서 17.4%로 각각 나타났다.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생검에 걸리는 시간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시간이 길수록 기흉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관할지역 주민의 보건진료소에 대한 태도와 이용양상 (Utilization Pattern and Percept ion and Attitude of Rural Residents towards Primary Health Post)

  • 박춘나;박재용;한창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6권2호
    • /
    • pp.79-96
    • /
    • 2001
  • 보건진료소 관할지역주민들의 보건진료소에 대한 이용양상과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10일부터 2001년 1월15일까지 경상북도 상주시 지역 24개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753가구(가구원 1,803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가구원의 지난 2주간의 급성질환 이환율은 29.6%이었으며 이들의 의료기관 이용률은 98.3% 이었다. 연령별로는 60-69세가 35.4%로 가장 높았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이환율이 높았다. 전체 가구원의 1년간 만성질환 이환율은 19.2%이었으며 이들의 의료기관 이용률은 92.8% 이었다. 만성질환 이환율은 70세 이상에서 37.2%로 가장 높았고,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유의하게 높았다. 급성질환시 의료이용은 보건진료소 이용이 89.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만성질환시에는 보건진료소 이용이 40.2%이었고 병 의원 이용이 48.9%이었다. 조사시점 이전 1년간의 보건진료소 이용 경험률은 94.8%이었고 진료목적 이외 방문 경험률은 72.2%이었으며, 73.3%의 응답자가 보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고 하였다. 응답자의 98.5%가 보건진료소의 위치를 알고 있었고, 건강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이 98.6%, 지역발전과의 관련성에는 84.3%가 큰 역할을 수행한다고 하였으며, 보건진료소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97.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보건진료소의 주된 업무는 질병치료, 예방접종, 건강상담 순으로 인식하였으며 보건진료소가 중점적으로 시행해주기를 원하는 업무는 주민건강상담 및 관리가 31.6%로 가장 높았다. 보건진료소 진료비에 대해서는 88.9%가 싸다고 하였고, 보건진료원의 친절도는 98.4%가 친절하다고 하였으며 서비스 만족도도 97.0%로 매우 높았다. 보건진료소에 대한 불만사항은 약의 종류가 부족하다가 42.9%로 가장 높았고 시설이 좋지않다가 15.8%이었다. 조사대상 지역주민들은 지리적 여건과 경제적 여건에 의해 보건진료소를 많이 이용하고 있었으며 보건진료소에 대한 주민들의 만족도도 높았고 필요성도 절감하고 있었다. 그리고 질병치료업무 이외의 보건사업에 대한 요구도 많았고 의약품과 의료시설 및 장비에 대한 불만이 큰 점을 감안하여 보건진료소를 계속적으로 유지 운영하되 보건진료소의 기능의 재정비, 시설 장비의 보강, 그리고 보건진료원의 교육훈련강화를 통해 벽오지 주민에게 바람직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할 것이다.

  • PDF

2005년 치과기공사의 흡연실태와 의식조사 (Research on consciousness of the dental technicians about smoking realities-2005)

  • 박용덕;황경숙;김남중;강종오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1-1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moking of dental technicians in 2005, and we have distributed questionnaires about smoking in 2005-KDTA general meeting and analyzed them. All 555 respondents who attended KDTA general meeting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However we dismissed 41 because of invalidness, so we got 504 people. Therefore, we have got conclusions below: 1. The rate of smokers who attended in 2005 KDTA was 33.93%, 46.3% in men, 1.44% in women. When we compared to other specialist groups, the rate of dental technician smokers was higher than them. 2. When we analyzed the ages of first smoking, 55.56% of the people started to smoke when they were in 24 years old. This result was very similar to the rate of dentist smokers in 2005 KDA research. 3. According to the answers of smokers and people who wire smokers in the past about quitting smoking period and willness in future, 60.82% among all members failed to quit smoking and also 69.2% among all members did not leap over 3 months but, they have thought to quit smoking for 6 months. 4. According to the answers about antismoking training related to environment in dental and clinical labs, most dental technicians(92.66%) have never been trained, also 37.70% among all members have not fulfilled their duty at self office. They have not recognized the danger of the indirect smoking. 5. When we asked chiefs in dental and clinical labs, the reason why they, didn't do the antismoking training their staffs, 32.1% of them replied that they were so busy, and 42.13% did because of their staffs, abhorrence and needlessness. 6. As Pan-dentistry members, over 80% agreed to the thought of the antismoking, also had medical knowledge about smoking. So we have the conclusion that dental technicians have identification as the Pan-dentistry members. 7. Most dental technicians expected KDTA to play a role about the antismoking training for their members. We have two suggestions to KDTA about the antismoking problem for members according to above conclusions. First, KDTA should prepare the antismoking training in the curriculum. Second, KDTA should support the antismoking programs of schools for students.

  • PDF

최근 10년간(1988~1998) 경기지역 소아에서 A형 간염의 역학적 변화 및 임상에 관한 연구 (Epidemiological Changes and Clinical Features of Hepatitis A in Children, Living in Kyung-gi Province, Since 1988 to 1998)

  • 김현;김종현;김동언;허재균;이원배;서병규;강진한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5권2호
    • /
    • pp.230-238
    • /
    • 1998
  • 목 적 : 오염된 식수나 음식물에 의하여 전파되는 A형 간염은 전세계적으로 과거에 비해 현저한 발생 감소를 보이고 있고 국내에서도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는 돌발적 유행 양상은 소실되었고 매우 적은 수의 산발적 발생안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성인과 소아에서 A형 간염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저자들은 최근 10년간 경기지역의 15세 이하의 소아에서 A형 간염의 역학적 변화와 이들 환아의 임상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8년 7월부터 1998년 8월까지 경기지역에 있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성가병원, 의정부성모병원, 성인센트병원에 임원된 환아중 혈청학적으로 A형 간염으로 진단된 환아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A형 간염의 연별, 월별, 연령별, 성별 발생상태와 발생과 연관된 역학적 특성, 그리고 임상적 특성, 경과 및 합병증 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구 기간동안 46명이 A형 간염으로 진단되었고, 이들 환아중 28명(60.1%)이 1998년에 집중적으로 발생되었다. 2) 이들 환아는 연중 3월에서 7월 사이에 주로 발생되었고 또한 10세 이상의 연령(37명, 80.4%)에서 발생되었으며 남녀비는 1.2:1.0이었다. 3) 연구 환아들 부모의 사회경제 및 교육 정도는 중등도 이하가 각각 97.8%. 87.0%으로 낮았다. 그리고 이들 환아는 원인이 뚜렷하지 않고 집단적 발생은 없었으나 2례에서 가족내 발생이 확인되었다. 4) 임상적으로 내원시 이들 환아의 주소는 구토 및 구역, 황달, 식욕부진, 경미한 발열, 권태감, 복통, 상기도증상, 소화장애, 짙은 소변, 두통, 설사의 순으로 호소하였고, 진찰소견상에서는 황달, 간비대, 우상복부 압통, 비장종괸, 좌하복부 압통의 순으로 이상 소견을 보였다. 5) 간기능 검사상 전례에서 비정상적인 소견과 담즙 정체성 간염의 소견이 관찰되었으나 이들 소견은 2~4주 사이에 정상화되었다. 또한 복부 초음파 및 간동위원소 검사상 당낭벽 비후, 간비대, 비장비대, 복수 등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6) 이들 연구 환아들의 평균 임원일 수는 11.1일이었고 전례에서 합병증 없이 좋은 경과를 보였다. 결 론 : 최근 10년간 경기지역에서 A형 간염의 발생의 양상은 사회경제 및 교육 정도가 낮은 가정의 10세 이상의 연령 소아에서 1998년도에 집중적으로 발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전례에서 비정상적인 간기능 소견이 관찰되었고 다수에서 담즙 정체성 간염의 양상을 보였으나 합병증 없이 좋은 임상 경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노인 코호트의 의료이용 및 입원진료비 변화 추이 -공.교 의료보험 대상자를 대상으로- (Trend of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Medical Expenditure of the Elderly Cohort)

  • 이경수;강복수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0권2호
    • /
    • pp.437-461
    • /
    • 1997
  • 이 연구는 의료보험관리공단의 공 교 의료보험자료를 이용하여 1989년부터 1993년까지의 5년간의 60세이상의 노인의 의료이용과 진료비의 변화를 연령별, 성별, 의료 보험료 수준별 코호트를 구성하여 상병당으로 분석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변화의 양상을 파악하고 예측을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령별 연도별 입원 수진율은 연도별 입원수진율은 70-74세 군이 89년과 93년에 각각 1,000명당 117.3과 141.1로 가장 높았으며,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연령 코호트의 연도별 상병건수는 전체적으로는 5년 동안에 40.5%증가하였다. 성별 코호트의 연도별 상병건수는 남자 상병건수보다 여자가 많이 증가하였으며, 남자와 여자의 연평균 증가율은 각각 9.1%와 10.2%였다. 연령 코호트의 상병당 연도별 입원진료비의 변화는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5년간 총 진료비는 15.4%증가 하였다. 이 중 진료행위료의 증가가 21.5%로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의료 보험료 수준별 코호트의 상병당 입원진료비 변화는 보험료 수준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진료비가 높았으며, 보험료 수준별 코호트의 연도의 경과에 따라서 각종 진료비가 증가하였다. 재원기간은 0.08% 증가하여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1991년을 기점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10대 다빈도 상병 중에서 가장 흔한 질병은 백내장이었다. 1993년의 10대 다빈도상병 중 1989년에 비하여 비율이 증가한 상병은 백내장, 뇌동맥 폐색이었으며, 감소한 질병은 폐결핵과 본태성 고혈압이었다. 전체 상병에서 10대 상병이 차지하는 비율은 30-35%였으며, 연령군별로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 코호트의 이용의료기관별 평균진료비 및 재원 기간은 전체적으로는 병원급 의료기관에서의 진료비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재원기간은 의료기관 종별에 관계없이 감소하였으며, 병원이 4.9% 감소하여 감소폭이 가장 켰다. 총 상병건수에서 고액진료건수가 차지하는 비율은 67.6% 증가하였고, 암환자건수는 8.9% 증가하였으며, 장기입원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오히려 1.2% 감소하였다. 총 진료비 규모는 62.2% 증가하였으며, 고액상병진료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5년간 129.9% 증가하였고, 암환자 진료비는 68.5%, 장기입원환자의 진료비는 59.4% 증가하였다. 상병당 입원진료비 및 재원기간을 1989년 수가로 환산하여 변화 추이를 보면, 상병당 총 진료비는 매우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약제비는 오히려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진료행위료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였다. 재원기간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연령구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진료비와 재원기간과는 연령에 관계없이 비슷한 상관계수를 보였으나, 의료보험료 수준과 연령구간별 진료비는 상관계수는 매우 작았으며, 연령군별로 큰 차이는 없었다. 시계열 분석 결과 향후 약제비는 매우 완만한 감소 추세를 보일 것이고, 진료행위료와 총 진료비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재원기간은 13.0일로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진료행위료의 증가가 총 진료비의 상승을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첨단 의료기기나 신기술의 도입에 의한 것으로 의료기관들의 서비스 다각화 전략과도 관련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의료이용량 즉 입원상병건수의 증가가 진료비 상승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며 전체 인구 집단의 의료비 상승요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으므로 노인 인구에 대한 의료비 절감 대책은 다른 연령층과 구별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노인 연령 군별 질병양상의 변화와 서비스량 및 변화에 대한 연구를 개인특성 자료나 의료기관의 특성 등과 연계하여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노인입원 특성과 향후 노인의료 이용량과 진료비의 추이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노인의료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을 마련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