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black garlic extract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6초

숙성 흑마늘 추출물의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ged Black Garlic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330-1335
    • /
    • 2007
  • 마늘을 발효시켜 만든 흑마늘의 지질 산화 억제 및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 (LDL)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실험하였다. 표준품으로서 마늘의 주성분인 alliin과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을 각각 비교하여 측정한 결과 흑마늘 에탄을 추출물이 효능이 가장 높았다. 사람 LDL을 $Cu^{2+}$유도 LDL로 산화시킬 때 그 항산화능은 각 시료를 $10\;{\mu}g/ml$$20\;{\mu}g/ml$ 씩 첨가하며 TSARS를 측정한 결과 에탄을 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용량 의존형으로 나타났다. 흑마늘의 에탄올과 물추출물을 $10\;{\mu}g/ml$$20\;{\mu}g/ml$ 첨가한 후 J774 유도 산화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각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있었고 용량 의존형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의 각 추출물을 이용한 실험에서 전기영동 이동상은 대조구에 비하여 $10\;{\mu}g/ml$$20\;{\mu}g/ml$에서 산화를 억제하였고 공액 2중 결합에 의한 실험에서도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20\;{\mu}g/ml$의 농도에서 거의 억제되었다.

흑마늘 추출물이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Ethanol Induced Hangover in Rats)

  • 양승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25-2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숙취용 음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알코올을 투여한 흰쥐를 대상으로 흑마늘 추출물 130 mg/kg과 260 mg/kg을 각각 40% 알코올(5 g/kg, B.W.) 투여 30 분 전과 30 분 후에 경구 섭취시키고 1, 3 및 5 시간 동안 경시적으로 혈액 중의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히드 농도와 간조직 중의 alcohol dehydrogenase (ADH) 및 acetaldehyde dehydrogenase (ALDH)의 활성과 간지표 효소인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전에 흑마늘 추출물을 경구 섭취시켰을 때 혈 중 알코올의 농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며 알코올 투여 후 5 시간 경과 시 알코올 투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28.5%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 중 아세트알데히드의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이 매우 감소하였다. 알코올 투여 30 분 후 흑마늘 추출물을 투여한 것은 알코올 투여 30 분 전의 실험군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 조직중의 ADH 활성은 정상군과 흑마늘 추출물 투여군 모두 큰 변화는 찾아 볼 수 없었으나 ALDH의 활성은 약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혈청 ALT, AST 활성은 대조군과 흑마늘 추출물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흑마늘 추출물의 섭취가 간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로 보아 안전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Anti-inflammatory effect of aged black garlic on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induced dermatitis in mice

  • You, Bo Ram;Yoo, Jae-Myung;Baek, Seong Yeon;Kim, Mee Ree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3호
    • /
    • pp.189-195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Although aged black garlic has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allergy, anti-inflammation and neuroprotection, effect of aged black garlic on chemically contact dermatitis is unclarified. MATERIALS/METHODS: To evaluate anti-dermatitic activity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we investigated effects of a fraction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BG10) on both in vivo and in vitro. RESULTS: BG10 almost inhibited formation of nitric monoxide and interleukin-6 (IL-6; $IC_{50}$, $7.07{\mu}g/mL$) at $25{\mu}g/mL$, and dose-dependently reduced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C_{50}$, $52.07{\mu}g/mL$) and prostaglandin $E_2$ ($IC_{50}$, $38.46{\mu}g/mL$) in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RAW264.7 cells. In addition, BG10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cyclooxygenase-2 and nuclear $NF-{\kappa}B$, and improved that of cytosolic levels of $NF-{\kappa}B$ and $I{\kappa}B{\alpha}$ in the cells. Consistent with in vitro studies, BG10 (0.5 mg/mL) not only reduced ear edema but also suppressed the formation of IL-6 and $TNF-{\alpha}$ induced by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 in ear tissues of mice.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BG10 has anti-dermatitic activity through inhibiting activation of macrophages. Therefore, such effects of BG10 may provide information for the application of aged black garlic for prevention and therapy of contact dermatitis.

숙성에 의해 제조된 흑 마늘 추출물의 생리학적 활성 및 항산화 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Extract)

  • 장은경;서지현;이삼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43-448
    • /
    • 2008
  • 고온에서 숙성시켜 제조된 흑 마늘의 총폴리페놀 함량은 10.0 mg/g으로 생마늘 3.7 mg/g보다 2.5배 이상 높은 값을 보였다. 생마늘과 흑 마늘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실험 결과, 흑 마늘 추출물의 농도 증가에 따라 전자공여능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1,000{\mu}g/mL$일 때 생마늘은 12.9%, 흑 마늘은 101.9%로 흑 마늘이 생마늘에 비하여 항산화력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일 때 생마늘 추출물이 흑 마늘 추출물보다 1.7배 높게 나타났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비슷하거나 흑 마늘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생마늘과 흑 마늘 추출물에서 SOD 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20mg/mL일 때 각각 3.3%와 30.9%를 나타내었으며, 흑 마늘이 생마늘에 비하여 SOD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CE 저해활성은 추출물의 농도가 50mg/mL 일 때 생마늘과 흑 마늘에서 각각 52.7%, 88.8%로 흑 마늘의 항고혈압활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ractionated Aged Black Garlic Extracts Enhance Growth of Anti-My-10 Hybridoma Cells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 Lee, Ji Young;Chung, Namhyun;Lee, Yong Kw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61-63
    • /
    • 2014
  • Aged black garlic (ABG) was extracted with 20% ethanol and water (crude extracts) and fractionated into three categories (>10, 3-10, and <3 kDa). The effect of crude extract supplements on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IgG1 antibody production was investigated in suspension culture with a chemically defined protein-free medium. We observed that supplementation of ABG to the cell culture medium stimulated anti-My-10 hybridoma cell growth and production of IgG1 antibody, particularly with fractionated ABG of low molecular weight. The stimulation depended upon the concentration and the size of the fractionated ABG. We also found that the growth-promoting activity was not correlated with high antibody produ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fractionated ABG is a novel and promising alternative as an animal cell culture supplement.

흑마늘 추출물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대사의 개선효과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Lipid Improvement in Rats Fed with High Fat-Cholesterol Diet)

  • 이현숙;양승택;류병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4-892
    • /
    • 2011
  • 본 연구는 흑마늘 숙성기간 중의 흑마늘의 지표물질이라 할 수 있는 S-allylcysteine (SAC)의 함량을 측정한 다음 흑마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흰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흑마늘을 10일, 15일 및 20일 숙성 중 S-allylcysteine의 함량은 15일 일 때가 가장 높았으며, 관능검사 결과도 숙성 15일째가 좋았다. 고지방 식이만 공급된 동물군을 정상군, 위약군 그리고 고지방식이에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따라 저농도군, 중농도군 및 고농도군으로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정상군, 실험군 모두 체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흑마늘 추출물 첨가 급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체중 및 식이 효율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중 총지질은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관계없이 감소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흑마늘 추출물 급이에서도 정상군에 비하여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다. 간의 총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 군에서 모두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6주 동안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 콜레스테롤혈증은 동물 실험에서 흑마늘 추출물 첨가가 저농도, 중농도 및 고농도에서 혈액과 간의 중성 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므로 체내지질 개선효과를 갖는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black garlic (Allium satvium)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 Ha, Ae Wha;Ying, Tian;Kim, Woo Kyo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1호
    • /
    • pp.30-36
    • /
    • 2015
  • BACKGROUD/OBEJECTIVES: The mechanism of how black garlic effects lipid metabolism remains unsolved. Therefor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lack garlic on lipid profiles and the expression of related genes in rats fed a high fat diet. MATERIALS/METHODS: Thirty-two male Sqrague-Dawley rats aged 4 week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n=8) and fed the following diets for 5 weeks: normal food diet, (NF); a high-fat diet (HF); and a high-fat diet + 0.5% or 1.5% black garlic extract (HFBG0.5 or HFBG1.5). Body weights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cluding lipid profiles, and expressions of gene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were determined.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final weights between the HFBG1.5 and HF groups. All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measured in the HFBG1.5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s than those in the HF group. Significant improvements of the plasama lipid profiles as well as fecal excretions of total lipids and triglyceride (TG) were also observed in the HFBG1.5 group, when compared to the HF diet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mRNA of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1c (SREBP-1c), acetyl-CoA carboxylase (ACC), fatty acid synthase (FAS),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in the HFBG1.5 group compared to the HF group. In addition, the hepatic expression of (HMG-CoA) reductase and Acyl-CoA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mRNA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HF group. CONCLUSIONS: Consumption of black garlic extract lowers SREBP-1C mRNA expression, which causes downregulation of lipid and cholestrol metahbolism. As a result, the blood levels of total lipids, TG, and cholesterol were decreased.

흑마늘의 항산화, 항균 및 항혈전 활성 (Antioxidation, Antimicrobial and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Aged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 정인창;손호용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85-292
    • /
    • 2014
  • 흑마늘을 이용한 식의약품 기능성 소재 개발 연구의 일환으로, 생마늘과 흑마늘 추출물을 조제하여 항산화, 항균, 항혈전 활성을 비교하였으며, 이후 흑마늘 추출물의 순차적 용매 분획물을 조제하여 활성분획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흑마늘의 열수 추출효율은 40.6%로 생마늘의 4배의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고온 숙성과정을 통해 생마늘보다 총 폴리페놀은 4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56배, 총 당 및 환원당은 각각 3.36배 및 6.75배 증가되었다. 항산화 활성 평가 결과, 흑마늘 추출물은 DPPH 음이온에 대한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미약하였으나, ABTS 양이온 소거능 및 nitrite 소거능은 생마늘 추출물보다 우수하였다. 특히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매우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흑마늘 추출물은 생마늘 추출물에 비해 항균 및 항혈전 활성을 상실한 반면,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은 Staphylococcus aureus 및 Bacillus subtilis에 대한 항세균 활성과 프로트롬빈, 혈액응고인자 저해, 인간 혈소판 응집저해를 나타내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다. 흑마늘 열수 추출물 및 분획물은 적혈구 용혈활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흑마늘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이 향후 항혈전 활성을 위한 기능성 식의약품 소재로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숙성 흑마늘 추출액 첨가가 빵용 밀가루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Rheology of Flour Dough)

  • 왕숙자;이정훈;최미정;이시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430-435
    • /
    • 2012
  • 제빵용 밀가루인 강력분에 흑마늘 추출액을 0, 5, 10, 15% 첨가하여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으로 Falling number, RVA에 의한 호화 특성, Farinograph, Alveograph 등을 분석하였다. Falling number는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낮아졌으나 제빵적성의 범위에 있었다. 호화도 특성에서 흑마늘 추출액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개시 온도, 최고점도, 유지강도, 최종점도, break down, set back 등 모두가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다. Farinograph 측정에서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강도와 흡수율은 증가하였고, 반죽형성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안정도와 약화도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죽의 내성(MTI)은 대조구에 비해 흑마늘 추출액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FQN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다. Alveograph 측정에서 $P_{max}$는 대조구가 가장 높았고 L, G 값은 흑마늘 추출액 15% 첨가구가 가장 높았으며 W값은 15%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 흑마늘 추출액 5%까지는 첨가가 가능하나 그 이상은 반죽의 레올로지 특성을 저하시켜 제빵 적성이 나빠질 것으로 생각된다.

Induction of apoptosis by a hexane extract of aged black garlic in the human leukemic U937 cells

  • Park, Cheol;Park, Sejin;Chung, Yoon Ho;Kim, Gi-Young;Choi, Young Whan;Kim, Byung Woo;Choi, Yung H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132-137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poptogenic activity and mechanisms of cell death induced by hexane extract of aged black garlic (HEABG) were investigated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MATERIALS/METHODS: Cytotoxicity was evaluated by MTT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bromide) assay. Apoptosis was detected using 4,6-diamidino-2-phenyllindile (DAPI) staining,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flow cytometry. The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Caspas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ric assay. RESULTS: Exposure to HEABG was found to result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growth inhibition by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up-regulation of death receptor 4 and Fas legend, and an increase in the ratio of Bax/Bcl-2 protein expression. Apoptosis-inducing concentrations of HEABG induced the activation of caspase-9, an initiator caspase of the mitochodrial mediated intrinsic pathway, and caspase-3, accompanied by proteolytic degradation of poly(ADP-ribose)-polymerase. HEABG also induced apoptosis via a death receptor mediated extrinsic pathway by caspase-8 activation, resulting in the truncation of Bid, and suggesting the existence of cross-talk between the extrinsic and intrinsic pathways. However, pre-treatment of U937 cells with the caspase-3 inhibitor, z-DEVD-fmk, significantly blocked the HEABG-induced apoptosis of these cells, and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HEABG-treated cells, confirming that HEABG-induced apoptosis is mediated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 cascade. CONCLUSIONS: Based on the overall results, we suggest that HEABG reduces leukemic cell growth by inducing caspase-dependent apoptosis through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pathways, implying its potential therapeutic value in the treatment of leukem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