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ed Employment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6초

觀光開發を核としたむらづくりと住民の組織的活動 -大間間町小平集落を事例として- (A Report of a Rural Construction with Sight-seeinng Development as Leading Project and Methodical Activities of Inhabitants -The Case of Odaira Hamlet, Oomama Town, Gumma Prefecture-)

  • 가니에 요시히로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3-14
    • /
    • 1999
  • It is a important problem that the adjustment of a rural settlementas a unit of rural community, and many number of researcher tackled it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verificate the process of rural con-struction, that is applied the regional resources, and to introduce the situation of attending inhabitants, and their employments as a results of this planning. We chose Odaira hamlets in Oomama town, it is located in Gunma prefecture as an object of this study. Odaira is a small village in the mauntain, and it is composed only 135 families. Odaira is an underpopulated hamlet. It is engaged no lively farming and forestry. Most of inhabitants are commuting to the cities around here. Inhabitants of Odaira who are conscious of the conditions of declining hamlet organized a group to improve it. This group have investigated all around the hamlet as a system of workshop. And they found the resources for sight-seeing, crops as the regional products, and other resources for rural planning under three keywords ; resources for the sight-seeing, the rigional products, and theimprovement of environments. In many resources,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existens of a stalactite cave come down as a legend from old time. Local government of Oomama town and the inhabitants tried to explorate of stalactite cave and succesed to excavate it. They have constructed two facilities for management, parkaround the stalactite cave and these have been a new place of work for inhabitants. Arrangement of the rural constructions developed to other items schemed acording to the master plan, like as a camping ground, bungalows, a wet botanical garden, and a park beside a river. These also produced the new places of work for 54 people as a result of this rural planning. The most of them were the aged peoples and the women of farmer. The highest age was 83 years old, he is working at the camping ground. In the employment system at Odaira, people who desire to work and desire to employ both registrate to a commission of management of Odaira, and this commission arrange them in case of needs.

  • PDF

시민서비스는 자원봉사의 대척점에 있는가? - 미국의 AmeriCorps와 Senior Corps를 중심으로 (Is Civic Service the Real Antipode of Volunteer Work? - Focusing on AmeriCorps and Senior Corps in the United States)

  • 지은정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31-63
    • /
    • 2014
  • 최근 시민참여와 시민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시민서비스에 대한 연구도 부족한 가운데 배척되는 경향이 있다. 활동비 지원 자원봉사에 대한 우려가 큰 가운데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기본정신과 다르다는 인식이 크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일반적 통념처럼 시민서비스가 자원봉사의 대척점에 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 아래, 자원봉사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시민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시민서비스는 자발성과 무보수성의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시민서비스가 시민의식을 훼손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자원봉사 가운데 활동비를 지원받는 단기 간헐적 활동과 의무봉사가 더 큰 문제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시민서비스와 자원봉사는 자발성, 무보수성보다는 구조적 특성 즉, 목표, 지속성, 공식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나아가 미국에서 시민서비스가 정착할 수 있었던 것은 단순히 활동비 수당을 지원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역사회 문제해결과 참여자의 삶의 질 향상을 이끌고 사회적 인정보상, 교육지원을 통해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자긍심과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우리나라 지역별 패널통계 활용 (The impact of Workforce Aging on Labor Productivity: Using the Regional Panel Dataset in Korea)

  • 정용훈;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1-7
    • /
    • 2019
  • 본 연구는 1995년부터 2017년까지의 16개 지방자치단체 지역별 패널통계를 활용하여 노동력 고령화가 노동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별 고정효과와 다양한 조정변수들을 고려한 패널회귀분석 결과에서 총취업자 중 60세 이상의 취업자 비중으로 정의한 노동력 고령화는 노동 생산성에 매우 일관되고 유의한 음(-)의 효과를 주며, 부정적인 효과의 크기는 노동력 고령화가 1% 증가할 때마다 노동 생산성이 약 0.14 ~ 0.2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조정변수로 고려된 1인당 자본스톡과 인적자본은 노동 생산성이 증가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경기변동의 대리변수인 실업률은 예상과 같이 노동 생산성에 유의한 음(-)의 효과를 미치며, 비록 유의하지는 않지만, 전체 산업 중 서비스업의 비중을 의미하는 산업구조의 계수가 양(+)의 값을 보이지만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노동력 고령화로 예상되는 노동 생산성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해 인적자본을 유지 및 확충할 수 있는 경제 및 교육정책의 설계와 구축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노인가구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연구 (Influential Factors on the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Households -Longitudinal Analysis using a Latent Growth Model)

  • 김진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339-349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가구 노인의 삶의 만족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노인 1인가구와 노인 부부가구를 노인 가구라고 정의하여, 한국고용정보원이 제공하고 있는 고령화 연구패널자료(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Ageing: KLoSA)의 2, 3, 4차 자료를 활용 했으며, 65세 이상 3차시 모두 설문에 응답한 677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노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수준의 종단적 연구에서 시간이 지날수록 개인별 만족도 수준이 낮아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잠재성장모형의 조건부 모형을 통해 노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수준의 종단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구유형, 주택소유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등이 노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초기값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구유형, 생활수준 기대감 등이 노인가구의 삶의 만족도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노인가구의 자아실현 기회를 높여 노년 시대의 삶의 만족도 향상이 필요하며, 정책적 접근에 있어 다양한 유형을 고려한 선별적 접근이 필요함 등을 제언하였다.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Study on the Effect of Basic Pension on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 김혜연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1-21
    • /
    • 2020
  • 본 연구는 기초연금 수급이 고령자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대표적인 노후소득보장제도인 기초연금제도의 효과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독립변수의 관측되지 않는 이질성(unobserved heterogeneity)을 통제하기 위해 패널 자료를 이용한 고정효과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로는 2008년부터 2016년까지의 고령화연구패널자료(KLoSA)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연금 비수급자의 삶의 질이 수급자보다 크게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하였을 때 기초연금 수급자가 비수급자에 비해 주관적 삶의 질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초연금 수급자의 주관적 삶의 질은 경제적 만족도, 배우자 유무, 자녀의 경제적 지원,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활동의 제한, 성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별, 소득계층별 분석 결과 기초연금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로는 차이가 없었고, 소득 상위 분위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우선, 기초연금제도 비수급자의 경우 경제적 상태 뿐 아니라 건강을 포함한 전반적인 삶의 질이 열악한 것으로 나타나, 기초연금 수급자로 대표되는 저소득 취약계층 노인들에 대한 다양한 측면의 사회적 지원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기초연금은 낮은 급여수준에도 불구하고 고령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빈곤문제 해소와 궁극적으로 노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연금제도 확대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핵심 정책대상인 저소득계층에게 실질적인 효과가 미칠 수 있도록 기초연금제도의 급여수준 인상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사회적 배제 잠재유형이 노후의 경제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계층의식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latent classes in social exclusion on the economic instability of old age)

  • 김수진;김주현;주경희
    • 한국노년학
    • /
    • 제40권1호
    • /
    • pp.33-49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적 배제의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노후의 경제적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주관적 계층의식에 따라 그 영향력이 달라지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KGSS) 14차 자료를 사용하여, 조사 당시 기준 만 18세의 성인남녀 1,041명의 응답지를 분석하였다. STATA14와 MPLUS 7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t-test, 잠재계층분석(LCA), 잠재집단에 대한 다항로지스틱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변수 간 영향관계 및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의 유형은 3집단으로 나타났으며, 사회활동배제집단(49.3%), 다차원적 배제집단(30.9%), 사회 활동 적극집단(19.7%)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배제집단은 경제, 고용, 건강 배제의 가능성이 가장 낮지만, 공식/비공식 사회활동의 배제가 두드러진 집단이며, 다차원적 배제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배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50% 이상인 집단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 적극집단은 비공식 사회활동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특징인 집단이다. 다항로지스틱 분석결과 사회활동배제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해 청년층이 많이 포함되었으며, 다차원적 배제집단에는 배우자가 없는 여성노인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 결과 사회적 배제 유형은 주관적 계층의식과 상호작용하여 노후의 경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후의 경제적 불안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성인 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변화 유형에 따른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역량 차이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Trajectories in Self-Efficacy with their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Adults with Disabilities)

  • 연은모;최효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73-28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만 25세 이상 성인 장애인을 대상으로 4년 동안의 자기효능감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역량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 2차 웨이브의 1차(2016년)~4차(2019년) 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으로 성장혼합모형(Growth Mixture Modeling)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성인장애인의 자기효능감 변화 궤적에 따라 3개 잠재계층(상수준 증가형, 중수준 증가형, 하수준 무변화형)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3개 잠재계층에 따라 삶의 만족도 수준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수준 증가형 집단, 중수준 증가형 집단, 하수준 무변화형 집단 순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3개 잠재계층에 따라 4년 동안의 대인관계역량 변화 패턴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수준 증가형 집단, 중수준 증가형 집단은 대인관계역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하수준 무변화형 집단은 대인관계역량에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킴으로써 성인 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와 대인관계역량을 향상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맥파 스트레스와 한국인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분석 - 도시철도 건설종사자를 대상으로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cpa Stress Index and Korean Job Stress Level - Focusing on Subway Construction Workers)

  • 채정식;이유정;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4-69
    • /
    • 2022
  • The study measured a subway construction worker's Macpa stress by Heart Rate Variability measuring instrument and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job stress from subway construction workers. Also,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cpa stress index and Korean job stress result and suggested managing stress method for each item. According to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ta, the first line subway in Seoul was started to open in 1974. The extended total length is 996 kilometers until 2019. Many aged workers are currently working at subway construction sites due to the avoidance of young workers since the past until now. It means that the elderly has a substantial portion among subway construction workers. The productivity has been adversely affected by health problems due to the aging of workers, job stress due to heavy work, and personal health problems. So, the regulation and policies on job stress health management are being strengthened. The data were measured Macpa stress by machine measuring heart rate variability and conducted Korean job stress survey(shortened) from Sa-sang to Ha-dan line Busan subway construction workers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Independent variable were age, job duration, job position, employment type, working type in this study. Macpa's dependent variable was stress index and Korean job stress survey(shortened)'s dependent variables were job requirements, job autonomy, relationship conflict, job instability, organizational structure, inappropriate compensation, working place culture, and total score. SPSS 12.0 K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Kruskal-wallis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because the data are difficult to be assumed as normal distribution. As a result, the paper indicated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cpa stress index and Korean job stress(short version). The elderly workers presented higher Macpa index and higher job stress due to aging and heavy-duty work. The majority workers were daily workers who had unstable working condition and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The study suggested a manual that could reduce job stress for subway construction workers and future study deriving management tool through analyzing job stress factor is necessary.

남녀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sability by Gender Difference)

  • 송미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143-15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장애문제와 노인문제를 동시에 경험하는 취약한 집단인 장애노인을 대상으로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성별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제1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2008)' 중 만65세 장애노인 386명을 추출하였다. 연구질문을 확인하기 위한 분석방법은 독립표본티검정,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노인의 9가지 일상생활만족도 차원 중 6가지 차원이 성별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장애노인의 일상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비교 분석한 결과, 여성 장애노인과 남성장애노인은 일상생활만족도 영향요인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공통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 하층', '건강상태: 나쁜 편', '만성질병 있음', '가족과 타인의 도움필요', '장애정도: 중증'이 일상생활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남녀장애노인에 대한 건강지원정책 및 프로그램을 제공,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 확대, 중증장애노인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 및 실천적으로 지원할 수 방안을 제언하였다. 반면에 차별영향 요인은 연령과 교육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즉, 여성 장애노인은 연령이 높을수록 일상생활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남성 장애 노인은 교육수준이 무학일 경우보다 중졸과 고졸이상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시설노인의 수분 섭취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Effect of Fluid Intake Enhancing Program for Institutionalized Elderly)

  • 오희영;이은현;허명행;김은경
    • 한국노년학
    • /
    • 제27권2호
    • /
    • pp.357-370
    • /
    • 2007
  • 본 연구는 시설노인을 위한 수분 섭취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충청지역에 위치한 일개 노인요양시설에 거주하는 39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프로그램 적용 전, 4주후, 6주후의 연속 3일 측정한 수분 섭취량의 평균, 소변색, 요비중의 평균, 요비중이 탈수 내지 임박한 탈수의 범위에 속하는 대상자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수분 섭취 강화 프로그램 적용 전 1일 평균 수분 섭취량은 프로그램 적용 4주후, 6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1일 수분 충분섭취량인 1,100mL 미만을 섭취한 대상자의 비율은 프로그램 적용 전에 비해 4주, 6주후에 감소하였다. 요비중이 임박한 탈수 혹은 탈수의 범위에 속하는 대상자 비율은 중재 전 보다 중재 4주후에 감소하였으나 6주후 증가하였고 요비중의 평균은 프로그램 적용 4주후, 6주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소변색은 중재 전, 후 모두 정상범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설노인 수분 섭취 강화프로그램은 노인의 수분 섭취를 증진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추후 임상에서의 적용을 위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