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garicus blazei Murill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8초

아가리쿠스 버섯 균사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돌연변이원성 및 세포 독성 효과 (The Antimutagenic Effects and Cytotoxic Activities of Agaricus blazei Murill Mycelium Extracts and Fractions)

  • 오현택;김수현;유수정;함승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63-570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antioxidative effects, antimutagenic capacity, and cytotoxic activity of the 70% ethanol extract, and fractions, of Agaricus blazei Murill mycelium, usin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the Ames test, and SRB assay, respectively. Among the fractions, ethyl acetate showed the most effective antioxidative capacity according to the $RC_{50}$(73.6 $\mu$g/mL) of the scavenging effect on the DPPH radical. The inhibition rate of both the aqueous fraction and 70% ethanol extract(200 $\mu$g/plate) toward the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strain was 94.6%, and it was 89.4% against the mutagenesis induced by MNNG(0.4 $\mu$g/plate). In addition, an identical concentration of the 70% ethanol extract in the TA98 strain, and the ethyl acetate fraction in the TA100 strain, showed inhibition rates of 80.3% and 76.9%, respectively, the highest activities against the mutagenesis induced by 4NQO(0.15 $\mu$g/plate). The cytotoxic effects of the 70%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sample concentration against human cervical adenocarcinoma(HeLa), human hepatocellular carcinoma(Hep3B), human breast adenocarcinoma(MCF-7), human stomach adenocarcinoma(AGS), and human lung carcinoma (A549). A 1 mg/mL concentration of the ethyl acetate fraction showed cytotoxicities of 77%, 83.8%, 82.1%, 83.1%, and 92.6% against HeLa, Hep3B, MCF-7, AGS and A549, respectively.

  • PDF

아가리쿠스버섯에서 분리한 단백다당류 분말의 흡습특성과 예측모델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and a Prediction Model for Spray-Dried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owders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Murill)

  • 홍주헌;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9-725
    • /
    • 2009
  • 아가리쿠스버섯에서 분리한 단백다당류를 분무건조한 분말의 저장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저장 중 흡습특성을 조사하였다. 평형수분함량은 수분활성도가 높아짐에 따라 빠르게 증가하는 양상이었으며, 높은 온도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단분자층 수분함량은 BET식보다 GAB식이 높은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수분활성도가 증가함에 따라 필요로 하는 흡습에너지가 낮아져 흡습엔탈피는 감소하여 흡습이 쉽게 이루어짐을 알수 있었다. 등온흡습곡선의 적합도는 Kuhn과 Oswin 모델이 $R^2$ 0.99 이상으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고, Oswin 모델이 가장 편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흡습 중 평형상대습도 예측 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온도와 수분활성도의 경우 일차함수, 시간의 경우 로그함수가 높은 적합도를 보였으며, 평형상대습도 예측모델식은 수분활성도만을 변수로하는 모델식, 수분활성도와 시간을 변수로 하는 모델식과 수분활성도, 시간, 온도를 변수로 하는 모델식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R^2$가 0.965로 나타났다.

신령버섯의 기형으로부터 배양불능세균의 PCR 검정 (PCR-based identification of uncultural bacterium from malformed Agaricus blazei)

  • 신평균;박윤정;유영복;공원식;장갑열;오세종;이금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57-160
    • /
    • 2010
  • 신령버섯은 항암작용과 더불어 면역강화작용 등 약용으로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신령버섯 재배농가에서 새로운 병징 현상이 보고되어 내생세균에 대한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병징을 나타내는 수집된 기형버섯을 eubacterial 16S rDNA 영역을 이용하여 PCR한 결과 기형버섯만 증폭되었다. 이 영역을 부분적으로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CFB bacterium과 유사성이 가장 높았고, 이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프라이머를 디자인한 후 nested PCR를 부위별로 확인한 결과 기형을 일으킨 갓의 주름살 부위에서 가장 강하게 증폭되었고 포자수확도 되지 않았으며 배양불능세균 group인 CFB bacterium임을 확인하였다.

  • PDF

신령버섯에서 분리된 Glucosylceramide 및 Sterol의 피부 세포 개선 효과 (Effect of Glucosylceramides and Sterols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Extract on Improvement of Skin Cell)

  • 김정은;이소영;장윤희;진무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05-117
    • /
    • 2020
  • 신령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은 항암, 면역력 개선, 항비만 등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으며, 피부 효능으로는 항산화, 항염, 미백 등에 대하여 보고되었다. 이러한 효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신령버섯의 성분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령버섯 추출물의 피부 효능을 재확인하고 유용한 효능성분을 밝혀내어 이를 화장품 소재로서 이용하고자 하였다. 신령버섯 추출물은 100 ㎍/mL에서 멜라닌 합성 저해, 콜라겐 합성 증진, 보습과 관련된 유전자(hyaluronan synthase-2, 3와 aquaporin-3)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들 화합물은 분광학적 데이터와 문헌값을 비교하여 ergosterol (1), 5-dihydroergosterol (2), cerevisterol (3), cerebroside B (4), cerebroside D (5), adenosine (6), 및 benzoic acid (7)로 동정하였다. 이들 중 비교적 효능이 알려지지 않은 3종의 sterol (1-3)과 2종의 glucosylceramide (4, 5)에 대하여 피부효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5-dihydroergosterol (2)이 마우스 흑색종 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또한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 세포에서 콜라겐 생합성 촉진하였다. 그리고 cerevisterol (3), cerebroside B (4), cerebroside D (5)는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NO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특히 cerebroside D (5)는 인간각질형성세포에서 hyaluronan synthase-2와 aquaporin-3 유전자 발현을 증가시켰다. 따라서 신령버섯 추출물과 분리 화합물은 화장품 소재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생각된다.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Cholesterol Diet.)

  • 고진복;김재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1-536
    • /
    • 2004
  •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이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7주령의 숫쥐에 표준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표준식이에 15% 돈지와 0.5%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 대조식이에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을 음료수에 30% 및 40%로 혼합 급여한 군(30% 및 40% 신령버섯군) 등 4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 증가량, 식이섭취량 및 식이효율은 대조군과 30%와 40% 신령버섯군이 유사하였다. 간, 신장 및 부고환지방의 무게는 대조군과 신령버섯군들이 비슷하였다 간의 콜레스테롤 농도, 간과 혈청의 중성지질 농도는 대조군과 신령버섯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30% 및 40% 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신령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대조군과 신령 버섯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신령 버섯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분으로 배설된 지방은 대조군에 비해 40% 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신령버섯 균사체 액체배양액을 30%나 40% 급여시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흰쥐의 성장률, 지질과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iquid Culture of Agaricus blazei Murill on Growth, Lipid and Protein Levels,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87-892
    • /
    • 2003
  • 신령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이 성장기 흰쥐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생후 7주령의 흰쥐 수컷을 대상으로 음료수에 20% 및 30% 수준으로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혼합하여 5주간 급여하고 성장률,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장기의 무게, 간과 혈청의 지질 농도, 혈청의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랑, 식이효율 및 장기의 무게는 대조군과 신령버섯 음료군들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 지 않았다. 간과 혈청 의 중성 지질과 콜레스테롤 농도 및 혈청의 HDL-콜레스테를 농도는 대조군과 신령버섯 음료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혈청의 LDL-콜레스테를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신령버섯 음료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신령버섯 음료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총 단백질, 알부민, 혈당, 혈색소, 마그네슘 등의 농도는 각 수준별 신령버섯 음료군이 대조군과 비슷한 농도로 신령버섯 음료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GPT, GOT, LDH및 ALP 등의 활성도 신령버섯 음료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칼슘과 인의 농도는 대조군에 비해 신령버섯 음료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보아 성장기 흰쥐에 신령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20% 및 30% 수준으로 급여시 성장률, 간과 혈청의 콜레스테를 및 중성지질 농도,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은 정상수준을 유지하였고, 혈청의 LDL 콜레스테를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고,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령버섯이 고지방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aricus blazei Muril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 오세원;이충언;고진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821-826
    • /
    • 2004
  • 신령버섯이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생후 21주링의 音쥐 에 표준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표준식이에 20% 돈지를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고지방군, 고지방 식이에 신령버섯 자실체 분말을 3% 및 5%씩 첨가한 식이를 급여한 군(3% 및 5% 신령 버섯군) 등 4군으로 나누어 10주간 사육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동물의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고지방군에 비해 3% 신령버섯군이 다소 감소되었으나, 5% 신령버섯군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과 신장의 무게는 고지방군과 신령버섯군들이 비슷하였으나, 부고환지방은 고지방군에 비해 신령버섯군들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간의 콜레스데롤 농도는 고지방군과 신령버섯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 및 간의 중성지질 농도는 고지방군에 비해 5% 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맥경화지수는 고지방군에 비해 3% 및 5% 신령버섯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고지방군에 비해 신령버섯군들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HDL-콜레스테롤 및 인지질 농도는 고지방군과 신령버섯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신령버섯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흰쥐에 신령버섯을 5% 급여시 혈청과 간의 중성지질 농도,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 및 동백경화지수를 낮추고,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ntitumor Activities of Spray-dried Powders with Different Molecular Masses Fractionated from the Crud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Extract of Agaricus blazei Murill

  • Hong, Joo-Heon;Kim, Seok-Joong;Ravindra, Pogaku;Youn, Kwang-Sup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4호
    • /
    • pp.600-604
    • /
    • 2007
  • In this study, we first prepared 3 kinds of powders with different molecular masses from the crude protein-bound polysaccharide extract of Agraricus blazei Murill through ultrafiltration, followed by spray-drying. Then, the antitumor activities of the powders were analyzed.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a multi-angle laser-light-scattering system showed the 3 powders had the following molecular ranges: below 10 kDa (SD-1), 10 to 150 kDa (SD-2), and above 150 kDa (SD-3), representing peak molecular weights of $8.26{\times}10^3,\;9.65{\times}10^4$, and $5.94{\times}10^6\;g/mol$, respectively. All the powders stimulated macrophage RAW264.7 cells to produce nitric oxide, of which SD-2 and SD-3 were superior to the crude extract powder (CP-SD), while SD-1 showed the lowest activity. Similar results were found for their cytotoxicities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A549, MCF-7, and AGS), where the highest activity was obtained with the SD-2 treatment for 72 hr at $1,000\;{\mu}g/mL$. The MCF-7 cell line was less sensitive to the powders than the other cells. From this research we found that ultrafiltration, in combination with spray-drying, is applicable for preparing protein-bound polysaccharide powders with higher antitumor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