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flatoxin

검색결과 484건 처리시간 0.028초

항산화 비타민과 Aflatoxin$B_1$의 혼합 투여가 마우스간의 지질 함량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flatoxin $B_1$Co-administrated with Antioxidant Vitamins o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s Composition of Liver in Mice)

  • 박선자;박정현;강말순;정덕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12
    • /
    • 2000
  • Aflatoxin은 자연속에 존재하며 높은 독성을 가진 곰팡이 독소이다. 이들 곰팡이 독소는 Aspergillus flavus와 Aspergillus parasiticus로부터 생성되는 대사산물로서 식품에서 다양한 오염 경로를 가지고 발생한다. 특히 Aflatoxin B$_1$(AFB$_1$)은 사람에게 있어서 간독성 및 간암을 유발하는 잠재력을 가진 곰팡이 독소이며, 지질과산화 반응은 aflatoxin B$_1$에 의한 세포 산화적 손상시 발생하는 주요 현상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aflatoxin B$_1$과 항산화 비타민 혼합 투여 후 유도된 간과 혈청의 지질 구성 성분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특히 비타민 C와 비타민 E는 중요한 항산화제에 속하는 것으로 이들을 복강내 주사(i.p, intraperitoneal injection)를 통하여 각각 10 mg/kg, 63.8 mg/kg씩 male ICR mice에 투여하였으며 1시간후 0.4mg/kg의 AFB$_1$을 동일한 방법으로 투여하였다. AFB$_1$에 의하여 유도된 지질구성 성분의 변화에 있어서 AFB$_1$, 단독 투여군과 항산화 비타민 혼합 투여군을 비교하였을 때 혈청에서의 유리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등은 AFB$_1$, 단독 투여군에서 2배 이상 증가되었다. 간에서의 지방산 조성에서도 AFB$_1$, 단독 투여군에서 항산화비타민 혼합투여군보다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인지질의 P/S ratio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AFB$_1$에 의한 세포손상이 항산화 비타민에 의해 감소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flatoxin과 비타민$D_3$ 급여(給與)가 브로일러 병아리의 증체(增体), 영양소이용율(營養素利用率), 경골무기물(脛骨無機物) 및 혈청성상(血淸性状)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Feeding Aflatoxin and Vitamin $D_3$ on Body Weight Gain, Nutrient Utilization, Tibia Mineral and Serum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s)

  • 장윤환;전진석;여영수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권
    • /
    • pp.68-76
    • /
    • 1984
  • Alfatoxin과 비타민$D_3$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브로이러 병아리 336수(首)를 8구(區)로 나누고 aflatoxin $B_1$을 0 또는 0.5 ppm, 비타민$D_3$를 0, 500, 1,000 또는 1,500 IU/Kg 급여(給與)하는 3주간(週間)의 $2{\times}4$요인시험(要因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증체량(增體量), 사료섭취량(飼料攝取量), 사료전환율(飼料轉換率), 정강이 색상(色相), 폐사율(斃死率) 및 각약증발생율(脚弱症發生率)에 있어서 각구간(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건물(乾物), 조단백질(粗蛋白質), 조지방(粗脂肪),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조회분(粗灰分)의 이용율(利用率)에 있어서 각(各) 구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다. 조섬유(粗纖維)의 이용율(利用率)에 있어서 대조구(對照區)에 비(比)하여 aflatoxin 급여구(給與區)가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P<.01). 그러나 비타민$D_3$ 첨가수준간(添加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aflatoxin과 비타민$D_3$간(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Ca, P 및 Na의 이용률(利用率)에 있어서 각(各) 구간(區間) 유의차(有意差)를 보이지 않았으나 aflatoxin 급여구(給與區)의 Ca이용율(利用率)이 무급여구(無給與區)보다 약간 높았다. 탈지건조경골(脫脂乾燥脛骨)의 회분함량(灰分含量)은 각처리간(各處理間)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나 Ca함량(含量)에 있어서도 aflatoxin 0.5 ppm구(區)에서 무급여구(無給與區)보다 더 많았으며(P<.05), 비타민$D_3$를 더 많이 급여(給與)할수록 조금씩 높게 나타났다. Aflatoxin과 비타민$D_3$가 경골내(脛骨內) Ca을 가속적(加速的)으로 증가(增加)시킨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P<.01). 그리고 P의 함량(含量)에 있어서도 aflatoxin 급여(給與)로 증가(增加)되었다(P<.05). 그러나 비타민$D_3$ 수준간(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도 없었다. Aflatoxin 급여(給與)는 Na함량(含量)에 영향(影響)을 주지 않았으나 비타민$D_3$ 수준간(水準間)에는 유의차(有意差)가 나타나(P<.01) 1,000 IU/Kg수준(水準)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혈청중(血淸中)의 Ca농도(濃度)에 있어서 aflatoxin 급여구(給與區)에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P<.01), 유의성(有意性)은 없었으나 비타민$D_3$ 첨가수준(添加水準)이 높아질때 조금씩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요인간(要因間)의 교호작용(交互作用)이 인정(認定)되었다(P<.05). P의 함량(含量)은 각(各)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차(有意差)가 없었으며 Alkaline Phosphatase 역가(力價)에 있어서 aflatoxin 급여구(給與區)가 높은 값을 보였다(P<.01). 그리고 비타민$D_3$ 수준(水準)이 높아짐에 따라 조금씩 증가(增加)하는 추세(趨勢)를 보였으나 유의차(有意差)는 없었으며 Aflatoxin과 비타민$D_3$간(間)에는 교호작용(交互作用)이 없었다.

  • PDF

미국산과 인도산 옥수수의 steam flaking 처리가 공정라인별 mycotoxin 함량의 변화와 in vitro 발효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eam Flaking of Corns imported from USA and India on the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 and the Mycotixin Contents of Logistic Processing Line)

  • 이신자;이지훈;신년학;한정훈;현종환;문여황;이성실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65-74
    • /
    • 2009
  • 본 연구는 미국산 옥수수와 인도산 옥수수의 steam flaking 처리가 in vtro 가스발생량과 미생물 성장량 그리고 곰팡이 독소 aflatoxin $B_1$과 ochratoxin A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 설계는 4개의 처리구, (1) USCW (미국산 무처리 옥수수), (2) USCF (미국산 steam flaking 옥수수 ), (3) IDCW (인도산 무처리 옥수수) 그리고 (4) IDCF (인도산 steam flaking 옥수수), 처리구당 4반복으로 6개의 발효시간대(3, 6, 9, 12, 18 및 24)를 두고 in vitro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시한 옥수수중 aflatoxin $B_1$이나 ochratoxin A와 같은 곰팡이 독소의 함량은 항구, hopper, 사일로 그리고 가공 전까지 보관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공정라인별로 곰팡이 독소를 측정한 결과 입고 시 인도산 옥수수(IDCW)와 미국산 옥수수 (USCW)의 aflatoxin $B_1$ 수치는 각각 11.71 ppb와 1.78 ppb으로 나타났지만 steam flaking 후의 aflatoxin $B_1$ 함량은 USCW 구와 IDCW구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아(0.00 ppb) steam flaking 처리가 곰팡이 Aspergillus flavus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ochratoxin A 함량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In vitro 실험에서 gas 발생량은 원산지별로는 미국산 옥수수 (USCW & USCF)가 인도산 옥수수 (IDCW & IDCF)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가공 처리별로는 steam flaking 처리한 옥수수가 알곡 옥수수보다 발효 3시간대를 기준으로 $1.5{\sim}2%$ 정도 높았다. 배양액 중의 pH 는 $6.05{\sim}6.54$의 범위로서 미생물이 성장하기에 적정한 pH를 유지하였으며 처리 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찾아 볼 수 없었으나 USCF구의 pH가 다른구에 비해 다소 낮았다. pH는 배양 12 시간까지 감소하였으며 이 시간 중에 가스 발생량은 급격히 증가하였다. In vitro 미생물 성장량도 발효 18시간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시간대에서는 성장량이 증체를 보이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원산지별로는 in vitro 실험결과와 곰팡이 독소 함량을 기준으로, 미국산 옥수수가 인도산 옥수수보다는 품질이 훨씬 높았으며, 수입산 옥수수의 steam flaking 처리는 invitro 가스발생량 및 미생물 성장량을 개선 시킬 뿐만 아니라, aflatoxin $B_1$이나 ochratoxin A와 같은 곰팡이 독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곶감의 미생물 및 aflatoxin에 대한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Microbiological and Aflatoxin of Traditional Dried Persimmon)

  • 서민경;최송이;이경아;김정숙;정덕화;이수형;박기환;김원일;류재기;김황용;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0-267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산 곶감의 미생물 및 aflatoxin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여 곶감의 안전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반건시 34농가, 건시 61농가, 감말랭이 10 농가에서 수집하여 수분활성도와 당도, 위생지표세균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aflatoxin을 조사하였다. 감말랭이, 건시, 반건시의 수분활성도는 각각 0.81, 0.86, 0.91 였으며 당도는 감말랭이 54.9%, 건시 49.5%, 반건시 40.5%로 당도와 수분활성도는 반비례 하였다. 곶감의 일반세균수는 감말랭이 $3.93{\pm}0.96{\log}\;CFU/g$, 건시 $2.12{\pm}0.93{\log}\;CFU/g$, 반건시 $1.50{\pm}1.08{\log}\;CFU/g$로 감말랭이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S. aureus는 감말랭이 40.0%, 건시 29.5%, 반건시 23.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E. coli는 건시 6.6%, 반건시 2.9%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건시 39.3%, 반건시 20.6%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검출 수준은 0.7~2.3 log CFU/g이었다. Aflatoxin의 경우는 ELISA법으로 분석했을 때 감말랭이, 건시, 반건시에서 각각 30%, 4.9%, 2.9%가 검출되었고 검출농도는 1.0~1.1 ppb 이었다. ELISA법에서 양성시료를 대상으로 UPLC로 재분석한 결과 aflatoxin은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안전한 곶감 생산을 위한 위생관리기술의 개발과 곶감생산 농가의 지속적인 위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전통 시금장 발효기간별 Aflatoxin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Changes in Aflatoxin and Flavor Components of Traditional Sigumjang)

  • 손동화;최웅규;권오준;임무혁;단경녀;차원섭;조영제;정영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1-186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시금장의 발효기간별 각종 성분변화와 aflatoxin의 함유유무를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였다. 조단백의 함량은 $19.8{\sim}20.8%$였다. 조지방은 $1.3{\sim}1.6%$였으며, 회분은 $3.1{\sim}3.2%$였다. 시금장을 제조한 직후의 pH는 5.79였으며, 발효가 진행될수록 낮아져서 발효 6일째에는 4.24를 나타내었다. L값은 $29.45{\sim}30.94$사이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a값과 b값은 각각 $+3.01{\sim}+3.63$사이와 $+5.39{\sim}+6.34$사이로 나타났다. aflatoxin은 발효 전 기간 동안 검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시금장의 발효기간 동안 분리 동정된 성분은 총 81가지로 ester류가 17종, acid류가 12종, aldehyde류가 11종, alcohol류와 phenol류가 각각 8종, ketone류가 5종, pyrazine류, furan류, hydrocarbone류가 각각 3종, sulfur-containing compound가 2종, 질소함유화합물과 pyridine류가 각각 1종, 기타 7종이었다.

  • PDF

Binding of Aflatoxin G1, G2 and B2 by Probiotic Lactobacillus spp.

  • Byun, J.R.;Yoon, Y.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11호
    • /
    • pp.1686-1689
    • /
    • 2003
  • The ability of ten probiotic bacteria to bind a common food carcinogen aflatoxin $G_1$,$G_2$ and $B_2$ was assessed. The strains were incubated in vitro with aflatoxins and the toxin residues in the supernatant were measur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aflatoxin $G_1$ binding capacity of the strains was found to strain dependent, most efficient binding of AF$G_1$ was observed by L. acidophilus CU028 and L. brevis CU06 which bound approximately 50%. L. acidophilus CU028 was capable of bind approximately 67% of AF$G_2$, difference in their binding ability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L. acidophilus CU028 and L. helveticus CU 631 were the best binders and the strains were observed to possess variable AF$B_2$-binding ability in the range was from 38.0% to 55.9%. Lactobacillus acidophilus CU028 was the best common binders of the three types of food carcinogen aflatoxins. The application of binding phenomenon in the removal of mycotoxins from contaminated feeds is urgently needed to improve the safety of feeds.

식품중의 Aflatoxins - 분석방법 및 이화학적 반응을 통한 저감화를 중심으로 - (Aflatoxins in Foods - Analytical methods and Reduction of Toxicity by Physicochemical Processes -)

  • 황준호;전향숙;이광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16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식품 또는 식품원료 중의 aflatoxin에 관한 오염현황, 최신 분석법 그리고 저감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조명하였다. Aflatoxin은 여러 곰팡이가 생성하는 2차 대사산물로서 곰팡이 독소 중 가장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암성을 포함한 독성 관계로 aflatoxin은 인간의 건강 측면 뿐 아니라 식품을 포함한 산업전반에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은 식량 수입국에서는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노출량 조사, 위해평가 및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새로운 aflatoxin 분석 기술의 개발과 독성 저감화 기술의 개발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인체 간 조직의 cytochrome P450 3A4의 활성에 대한 몇가지 억제제의 영향 (Effects of Several Inhibitors of Human Liver Microsomal Cytochrome P450 3A4 on Catalytic Activities of the Enzyme)

  • 오현숙;이갑상;김복량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1권1호
    • /
    • pp.23-29
    • /
    • 1995
  • Microsomes from human liver sample HL 110 oxidized aflatoxin $B_1$ $(AFB_1)$ to $AFB_1$ exo-8, 9-epoxide which was detected as a glutathione (GSH) conjugate with excess GSH S-transferase and to aflatoxin $Q_1$ ($AFB_1$; 3$\alpha$-hydroxyafiatoxin $B_1$), and testosterone to 6$\beta$-hydroxytestosterone. Anti-P450 3A4 nearly completely inhibited all of the reactions. Some fiavonoids inhibited all of the reactions. While other fiayonolds stimulated 8, 9-epoxidation and inhibited 3$\alpha$-hydroxylation. Gestodene inhibited all of the reactions when gestodene was metabolized by human liver microsomal P450 3A4 prior to adding substrate. But, ges-todene was added in the enzyme mixtures in the presence of $AFB_1$, it could not inhibit 8, 9-epoxidation of $AFB_1$. Nifedipine and troleandomycin inhibited both of the reactions of $AFB_1$ but only 3$\alpha$-hydroxylation was inhibited by the oxidation product of nifedipine. Although, troleandomycin was known as a mechanism-based inhibitor, the chemical did not show any detectable inhibitory effect on 6$\beta$-hydroxylation of testosteron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re are several different substrate-binding sites on P450 3A4.

  • PDF

일차배양 간세포에서 Monosodium Glutamate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성의 검증 (Effects of Monosodium Glutamate on Unscheduled DNA Synthesis and DNA Single-Strand Breaks in Primary Cultures of Rat Hepatocytes)

  • 김동현;양규환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59-64
    • /
    • 1987
  • 조미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monosodium glutamate(MSG)의 세포독성 및 돌연변이 유발성을 일차 배양 간세포에서 조사하였다. MSG를 세포 배양액에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간세포에 처리한 결과 0.5% 농도까지는 간세포에 아무런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비주기성 DNA합성이나 DNA 단사 절단도 유발시키지 않았다. 1% MSG에서는 간세포의 생존율이 약간 저하되었으나 이 농도에서도 돌연변이 유발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aflatoxin B$_1$과 동시 처리시에도 aflatoxin B$_1$에 의한 DNA 손상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지 않았다.

  • PDF

Aflatoxin 존재하에서의 수용액중 Malonadehyde 의 광화학적 변화 (Photochemical Changes of Malonaldehyde by the Presence of Aflatoxins in Model Systems)

  • 권태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0
    • /
    • 1969
  • 자외부흡광 스펙트럼의 변화와 티 비 에이(TBA) 반응으로 살필 때, 수용액의 송에서의 말론알데하이드(malonaldehyde)는 과장 $260m/{\mu}$ 부근의 자외선조명에 의하여 광화학적 변화를 받는다. 이 용액에 아프라톡신(aflatoxin) 을 가하면 파장 $360m/{\mu}$ 부근의 광선에 의해서 이와 같은 변화가 재빨리 일어나며, 또 보통 형광등을 이용한 실험실의 조명에 의해서도 비록 그 변화는 느려지지만 마찬가지로 일어난다. 이과 같은 변화는 비가역적이며, 이 반응에서 아프라톡신은 다만 감광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 이 반응의 기작은 말론알데하이드 분자의 평행적 이중결합체 형성에 의한 것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