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erial Photo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8초

PKNU2호 영상을 이용한 정사영상 지도 제작 및 3차원 입체 분석 (Generation of the Ortho-Rectified Photo Map and Analysi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Using the PKNU 2 Imagery)

  • 이창헌;최철웅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77-87
    • /
    • 2004
  • 지형의 수리학적 해석을 위해서 수리학자들은 정확한 하천 횡단면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에는 직접 측량법을 이용하여 하천 횡단면을 알 수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정확성 경제성 확보라는 차원에서 항공사진을 이용했다. 자체 제작한 고해상도 다중분광 항공촬영시스템 (PKNU2호)으로 획득한 영상을 수치지도와 GPS 측량값으로 처리하여 정사영상지도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사처리 된 영상을 Z/I Imaging 사의 ImageStation 도화기로 하천 횡단면 획득하고, Kinematic 측량값과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정사영상지도 제작 시 수치지도를 사용하여 처리한 것보다 GPS 측량값으로 영상을 처리한 것이 5.5788화소(약 2m) 에서 2.84화소(약 1m)로 정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하천 횡단면 추출 시 Kinematic 측량값은 수평 및 수직 정확도가 95% 신뢰수준에서 ${\pm}6.6cm$ 정도로 매우 좋았으며,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천 횡단면 추출 결과와는 상시성 0.857으로 하천횡단면 획득을 위해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 PDF

3차원 지형모델링에 의한 경관정보 분석과 Web GIS 구현 (Analysis of Landscape Information and Web GIS Implementation of Using 3D Topographic Modeling)

  • 김용석;홍순헌;옥치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9호
    • /
    • pp.204-21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을 대상으로 항공사진과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여 3차원 지형 모델링을 제작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가시권 분석과 동아대학교에 대한 Web GIS를 구현하였다. 연구지역은 부산광역시 사하구 하단동 일대를 지정하였으며, 축척 1:20,000의 항공사진과 축척 1:5,000의 수치지형도를 사용하였다. 항공사진은 GCP선정과 영상정합을 통하여 보정된 영상을 추출하고 영상재배열 과정과 정밀미분편위수정을 거쳐 최종 정사보정된 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ArcVie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형도에서 DEM을 생성하였고, 도로 레이어와 건물 레이어를 추출하여 3차원 지형 모델링을 제작함과 동시에 동아대학교에 대한 Web GIS를 구현하였다.

LIDAR 데이터와 항공사진을 이용한 건물의 자동추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Extraction of Buildings Using LIDAR with Aerial Imagery)

  • 이영진;조우석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71-477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that automatically extracts buildings among many different features on the earth surface by fusing LIDAR data with panchromatic aerial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hree stages such as point level process, polygon level process, parameter space level process. At the first stage, we eliminate gross errors and apply a local maxima filter to detect building candidate points from the raw laser scanning data. After then, a grouping procedure is performed for segmenting raw LIDAR data and the segmented LIDAR data is polygonized by the encasing polygon algorithm developed in the research. At the second stage, we eliminate non-building polygons using several constraints such as area and circularity. At the last stage, all the polygons generated at the second stage are projected onto the aerial stereo images through collinearity condition equations. Finally, we fuse the projected encasing polygons with edges detected by image processing for refining the building seg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RMSEs of building corners in X, Y and Z were ${\pm}$8.1cm, ${\pm}$24.7cm, ${\pm}$35.9cm, respectively.

  • PDF

다시기 항공사진과 DSAS 기법을 이용한 을숙도 해안선 변화 분석 (The Analysis of Eulsukdo Shoreline Change Using Multi-temporal Aerial Photo And DSAS Program)

  • 이재원;김용석;박성배;박치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18
    • /
    • 2013
  • 낙동강 하구에 위치한 을숙도는 생태환경의 중요한 지역으로서 국제적인 해안습지 지역이기도 하다. 을숙도 지역은 많은 변화를 통하여 지금의 지형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최근 을숙도 서편에는 대규모 수문 공사로 인한 해안선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되지만 그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 보전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을숙도에 대한 지난 30년간(8개년도 구분)의 항공사진을 취득하여 정사영상으로 제작한 뒤, 수치도화 과정을 거쳐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벡터 자료는 DSAS(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4.2 프로그램을 통하여 SCE(Shoreline Change Envelope), NSM(Net Shoreline Movement), EPR(End Point Rate)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011년 10월에 VRS(Virtual Reference Station) 측량을 실시하여 을숙도 서편에 대한 기준선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을숙도 수문 공사 전부터 지금까지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수문 공사 전(2009)의 경우 연간 해안선 변화량이 약 -0.34m/yr이었으나, 공사 중(2011)에는 약 -0.50m/yr로 점차 퇴적양상을 나타내고 있었다.

단사진의 외부표정요소 결정을 위한 후방교회법 알고리즘의 비교 (Comparisons of Single Photo Resection Algorithms for the Determination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 김의명;서홍덕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5-315
    • /
    • 2020
  • 본 연구는 사진측량, 컴퓨터 비전, 로보틱스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는 단사진의 후방교회법의 알고리즘을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및 근거리 사진측량에서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지형을 시뮬레이션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하여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거의 수직으로 촬영되는 항공사진측량용 카메라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3개의 지상기준점으로도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할 수 있었으나 프로쿠르스테스 알고리즘은 지상기준점 배치에 민감하였다. 카메라의 자세각이 크게 변하는 근거리 사진측량용 카메라를 대상으로한 실험에서도 프로쿠르스테스 알고리즘의 지상기준점 배치에 민감하였으며 모든 알고리즘이 적어도 6개의 지상기준점이 필요하였다. 두 종류의 카메라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서 코사인법칙 기반의 후방교회법은 반복회수가 짧고 명시적인 초기값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인 사진측량 알고리즘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사진 활용성 제고를 위한 정사영상 생성 기법 (The Method of Orthoimage Generation for the Application of Single Photo)

  • 강준묵;배상호;주영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19
    • /
    • 2002
  • 자동화 공정에 의한 항공사진이나 위성영상의 획득과는 달리 지상사진측량에 의한 영상 획득은 대상물의 요구정확도와 해석 범위에 따라 각기 다른 번거로운 수행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사진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무반사경 토털스테이션을 이용하여 지상 구조물인 문화재에 대한 수치표면모형 및 정사영상을 생성하였으며 입체영상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 분석하였다. 입체 영상의 획득과 도화의 어려움을 배제하고 생성한 정사영상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하학적, 시각적 분석을 수행하므로써 고정밀도를 요하지 않는 문화재의 도면 작성이나 사면의 안정성 검토 등을 위한 측정방법으로 단사진의 활용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다시기 항공사진으로부터 영상대차법과 영상대비법을 이용한 소도읍 지역의 변화 검출 (Change Detection of a Small Town Area from Multi-Temporal Aerial Photos using Image Differencing and Image Ratio Techniques)

  • 이진덕;연상호;이동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16-124
    • /
    • 2008
  • 다시기, 다축척의 팬크로매틱 항공사진을 통하여 소도시지역의 변화탐지를 시도하였다. 1987년과 1996년에 각각 촬영된 축척 1:20,000 사진과 2000년에 촬영된 1:37,500의 사진에 대하여 기하보정과 대조처리, 그리고 영상재배열을 통하여 좌표계 일치, 밝기값 조정, 공간해상도 일치 등 영상들 간에 동일한 조건을 갖도록 해 주는 사전작업을 행하였다. 다른 시기의 항공사진들 간에 영상대차법과 영상대비법을 각각 적용하여 변화지역을 탐지하였다. 단일밴드의 팬크로매틱 항공사진으로부터 지형 및 인공지물의 변화를 추출할 수 있었으며, 두 기법으로 각각 변화탐지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 PDF

중형카메라 RCD105 정확도 분석 (Accuracy Analysis of Medium Format CCD Camera RCD105)

  • 김태훈;원재호;김충평;소재경;윤희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49-454
    • /
    • 2010
  • 최근 항공측량분야에서 항공디지털카메라 및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은 수치정사영상지도 및 수치표고모델제작 등의 지리정보 구축에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레이저측량시스템인 ALS50-II에 구성된 중형CCD카메라 RCD105의 3차원 위치정확도를 디지털항공사진카메라인 DMC와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지역을 선정하고 항공사진촬영을 실시하였으며, 축적 1:1,000 수치지형도에서 항공삼각측량에 사용할 지상기준점과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평면 및 수준정확도 검증에 사용할 검사점을 선점하였다. RCD105와 DMC의 정확도는 항공삼각측량의 결과와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검사점과 동일한 지점을 관측한 결과로 평가하였다. 항공삼각측량 결과 RCD105의 X, Y, Z RMSE (Root Mean Square Error)가 DMC보다 각각 2.1배, 2.2배, 1.3배 크게 나타났다. 또한 수치도화기를 이용해 검사점을 관측한 결과 RCD105의 평면 및 수직방향 RMSE가 DMC보다 각각 2.5배, 4.3배 크게 나타났다. RCD105의 정확도가 DMC보다는 떨어지지만, RCD105도 수치지형도 및 정사사진 제작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Feature Extraction in an Aerial Photography of Gimnyeong Sand Dune Area by Texture Filtering

  • Chang E.M.;Park K.;Jung I.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613-616
    • /
    • 2004
  • To find the best way to distinguish sand dunes from urban building and rural patches, textural analysis has been performed in Kimnyeong sand dune, Jeju. An aerial photo was re-sampled into one-meter. Homomorphic filters were applied to the original sub-scene and then high-pass filtered one. The entropy filtered one proves to be the best extraction method after high pass filtered-homomorphic filters in urban areas. The spectral values of sand dune area were similar to open land in rural area. In contrast, the texture values of sand dune area are more homogeneous than those of open land in rural area.

  • PDF

시계열 영상정보를 이용한 하천 지형태 변화 검토 (Examination of Topographical Shape Change in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Photo)

  • 이근상;이현석;황의호;이을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36-2140
    • /
    • 2008
  • 최근 환경생태학적 하천관리가 중시되면서, 하천의 지형태를 고려한 하천복원 및 관리업무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갑천과 유등천의 지형태 변화를 검토하였다. 특히 보나 교량과 같은 하천시설물이 새로 설치되거나 해체된 지점, 그리고 갑천과 유등천이 합류되는 지점을 선정하여 시계열별로 유량의 변화 및 물의 흐름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물의흐름 특성에 의한 퇴사의 양상도 함께 검토함으로서 도심하천의 유지수량 및 환경생태학적 하천복원 업무 수행시 중요한 의사결정자료로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