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vertisement Presentation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초

The Effect of Advertisement Vividness and Regulatory Focus on Consumer Choice

  • Park, Kikyou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7호
    • /
    • pp.25-33
    • /
    • 2017
  • Purpos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a combination of the advertisement presentation vividness and consumers' regulatory focus affects choice. In addition, it seeks to the understanding for the psychological process by using consumers' response with experimental design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conducted two experiments based on the scenario. Specifically, Experiment 1 used a 2 (vividness of advertisement presentation: picture vs. word) × 2 (regulatory focus: prevention focus vs. promotion focus) between-subjects design. Experiment 2 used a 2 (vividness of advertisement presentation: detailed description vs. less detailed description) × 2 (regulatory focus: prevention focus vs. promotion focus) between-subjects design. Results - Two studies showed that prevention-focused individuals, when presented with a vivid presentation,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advertised option compared with advertisements presented less vividly appearance. In contrast, promotion-focused individuals showed no difference in choice shares regardless of advertisement presentation vividness. In addition, these effects were mediated by the imagery toward the advertised information. Conclusions - The current research found how consumers' inherent motivation affects the extent of imagery in a purchase decision and a new perspective to previous studies with regards to regulatory focus. Further, this research suggested new advertisement strategies to corporations.

Spread광고의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 신문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resentation Strategy of the Spread Advertisement - Focused on the Advertisement in Newspaper -)

  • 전종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15-24
    • /
    • 2003
  • 매년 엄청난 규모의 광고비가 광고의 제작과 집행에 투여되고 있는 현실에서 광고가 생산적인 사회적 장치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투입에 상응하는 효과가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광고의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하여 끊임없이 연구되어지고 개선되어지는 부분이 바로 광고의 표현 전략이며, 신문광고에 있어서 Spread광고 역시 이 노력의 일환으로 이해되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문광고의 대형화 현상이 날로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러한 현상이 광고인과 소비자 집단을 만족시키는가에 대한 검증으로 시작되었으며, 신문광고의 표현 전략으로서 Spread광고가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표현 방법을 중점으로, 보다 효율적인 해결 방안을 찾아보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을 위해 신문광고의 조형적 요소를 기준으로 표현 방법 및 표현 형태별로 분석하였으며, 조선일보를 선정하여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유형이 실제 제작에 있어 어떻게 집행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바람직한 분석을 위한 지침을 마련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 결과 Spread광고는 표현 방법과 넓은 스페이스의 효율적인 활용, 그리고 광고 목표를 정확히 분석하여 적합한 방향으로 활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무분별한 Spread광고는 비싼 광고료에 비하여 두 배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주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광고에 등장하는 소품(小品, Props)의 표현전략에 관한 연구 - 잡지 광고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ategy in the Application of Advertisement Properties - Focused on the Advertisement in Magazine -)

  • 전종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3호
    • /
    • pp.59-68
    • /
    • 2001
  • 잡지광고 디자인은 지금까지 여러 분야에서 연구되어지고 또한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는 광고에서 여태까지 별로 관심거리가 되지 못한 소품(小品)이 현 광고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의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으로 국내 여성지를 조사하여 제품의 속성과 소품의 상관관계, 비주얼(Visual)과 소품의 상관 관계, 카피(copy)와 소품의 상관 관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품을 선택하는데 있어서 자회사의 제품이 경쟁사제품과 차별화 될 수 있는 것을 선택하되 제품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광고하고자 하는 목적과 소구대상을 면밀히 검토, 아이디어 전개과정에서부터 소품의 적절한 선택을 생각하여 광고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광고물을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아이디어가 끝나고 시안이 확정되면 다음 단계로 촬영이라는 중차대한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보통 디자이너는 사진작가의 예술성에 억눌려 시안의 방향이 아닌 사진자가의 예술성으로 빠져드는 경우를 종종 경험한다. 사진작가의 말에 제동을 걸 수 있는 방법은 오로지 사전에 준비를 철저히 하여 광고의 방향을 충분히 사진작가에게 전달하는 것만이 최선일 것이다. 광고의 방향에 꼭 맞는 사진작업이야 말로 초를 다투는 광고 시장에서 시간을 벌 수 있는 유일한 길일 것이다. 셋째, 환영이 끝나면 다시 한번 시안을 카피라이터와 기획자, 그리고 디자이너의 충분한 재검토로 제품과 카피, 비주얼과의 상관관계에 무리가 없는지를 검토하여야 할 것이다. 그냥 지나쳐 버리기 쉬운 광고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신선한 시각언어로서 기억되기 위한 소품의 표현 전략으로서는 ·광고 메시지의 주제를 확인한다. ·소구대상과 소품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소품을 선정한다. ·카피가 제시하고 있는 주장과 소품이 제시하는 주장이 일치하도록 하여 독자로 하여금 진실성을 느끼게 한다. 제품의 특징과 기능을 보조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소풍의 적절한 활용은 시각적 요소 및 비언어적 전달요소에 의한 정보전달을 중심으로 주목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그에 뒤따르는 소구과정의 단계를 증폭시키고 가속화시킨다. 또한 소품의 사용은 광고물의 분위기나 가치, 신념 등도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좀더 많은 새로운 모험과 실험이 많아질수록 광고의 미래전망이 밝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 PDF

한국 남성복 광고(韓國 男性服 廣告)의 내용분석(內容分析) - 1962년(年)부터 1998년(年)까지의 잡지(雜誌)와 화보(畵報)를 중심(中心)으로 - (The Content Analysis of Advertising in Fashion Magazines and Pictorials of Korean Men's Wear - From the 1962 to the 1998 -)

  • 권혜숙;권혜욱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4호
    • /
    • pp.16-2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changes of modern Korean men's wear advertisement from the 1960s to the 1990s by reviewing fashion magazines and pictorials.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analyze the types and their units of measurement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from 1962 to 1998. Second, examine the differences of quantitative change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according to each period. The total 857 advertisements were selected from Shin Dong-A, Joongang Magazine, and Bokjangwolbo from 1972 to 1998. For analyze the result, frequency analysis and $x^2$-test were us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s and pre-tests, 6 units of measurement were identified. They were product type(formal wear, casual wear, sports wear, dress shirts, accessory, inner wear, fabric and the others), brand type(national brand, licensed brand, imported brand, others), appeal type(image, product, others), representation type(photograph, illustration, others), medium type(man, product, others), and color type of advertisement(black & white picture, color picture). Second, for the types of advertisements, formal wear, national brand, image appeal, figure medium, photograph for presentation and color picture are the most frequently shown in men's fashion advertisements from 1962 to 1998. Third, for product, more accessory advertisements were found than the clothing in the 60s and the 70s, and casual wear advertisements in the 80s and formal wear advertisements in the 90s were dominated. National brand type was dominant through all four period. Product appeal type in the 60s and the 70s and image appeal typ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prevailed. For medium, product type in the 60s and the 70s and figure typ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dominated. Black & white picture in the 60s and the 70s and color picture in the 80s and the 90s were prevailed. Lastly, photograph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presentation type through all periods.

개격현저대소비자감지화구매의도적영향(价格显著对消费者感知和购买意图的影响) (The Effects of Price Salience on Consumer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s)

  • Martin-Consuegea, David;Millan, Angel;Diaz, Estrella;Ko, Eun-Ju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49-163
    • /
    • 2010
  • 以前的研究已经表明零售价格促销改变消费者的购买行为以及零售商频繁的使用价格促销. 为了持续的从消费者身上获得利益, 零售商会采用几种价格促销方式. 例如, 零售商采用绝 对的降低价格($,€), 百分比价格, 或两种方法的结合(Della Bitta et al. 1981). 采用不同的价格促销类似于购买决定的形成(Monroe 1990). 框架效应是指一个问题两种在逻辑意义上相似的说法却导致了不同的决策判断(Frisch 1993). 因此, 如何陈述促销会影响消费者的交易评价并提高销售量. 事实上, 大量的营销研究已经证实了价格陈述对交易感知的影响(Lichtenstein and Bearden 1989; Urbany et al. 1988; Yadav and Monroe 1993). 从这个意义上说, 很多的营销研究已经论证了交易感知同样由消费者准确的计算折扣和最终价格的水平决定的(Estelami 2003a; Morwitz et al. 1998). 所以营销者能够通过提高计算的准确性来提高消费者对折扣的反应. 最后, 由于整体的计算误差导致低估了折扣(Kim and Kramer 2006), 消费者更容易在深度分析价格信息之后领会打折的报价,使他们能更准确地评估价格折扣. 本研究的目的是测试不同的折扣价格对消费者价格感知的影响. 更准确的来说, 本研究的目的是探索如何不同的执行相同的价格促销(语义和视觉凸显), 从而影响消费者对促销的感知和他们的购买决定. 我们的分析聚焦于价格陈述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的影响. 为了验证提出的假设, 本文用实验性分析来分析几个折扣陈述. 从这个意义上来说, 我们采用一个2(数值显著陈述: 绝对和相对)x 2(语言显著陈述: 新颖的和传统的)x 2(视觉显著: 红色和蓝色)的设计来探索折扣陈述对三个因变量的影响: 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 我们向受访者提供一个假设的广告, 受访者被告知报价的情况并需要对此评估. 一旦样本完成对广告的评估, 他们需要回答一份与价格显著和依赖纬度的问卷. 然后, 进行操作来确保受访者记得他们被对待的情况. 接着, 我们用一个2x2x2的多变量方差分析和随访单变量的测试来证实研究假设并检测单因子(价格显著)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的影响. 结果表明, 语义和视觉显著的陈述对评估, 购买意图和储蓄感知有显著的主要影响和相互作用. 数值显著的作用显著影响评估和购买意图. 另外, 语言显著主要影响储蓄并作用与评估和购买意图. 最后, 视觉显著的相互作用对评估有显著影响. 本研究的结果的实践启示包括公司在计划基于用折扣来吸引消费者主义的促销时需要考虑. 因为价格陈述对消费者感知有重要的影响, 所以零售商应该考虑那种影响是想要的从而设计有效的折扣陈述. 特别是, 零售商应该用一种使得最终价格计算容易的传统方式来陈述折扣. 这是如此重要的调查方式使得营销者可以提高消费者心算的准确性来提高消费者对价格折扣的反应. 这个有关价格陈述对消费者反之和购买意图的影响的初步研究为未来的研究开启了方向.

실버 디자인에 표현된 비주얼 이미지의 크리에이티브 전략에 대한 연구 -인쇄매체 광고디자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creative strategy of visual expressed in silver design. -Focusing on the advertising design of print media. -)

  • 여훈구;남후남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114
    • /
    • 2002
  • On the threshold of year 2000, the elderly account for more than 7% of the whole population in Korea, which means that the nation is greeting welcoming an aging society. 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silver businesses and services targeted at the silver generation will prosper with "silver advertising design" becoming active.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reviewing the recent silver marketing advertisements in terms of their cultural and moral implications, and thereby, redefining and reestablishing the status of silver consumers to help them find their identity, aware of marketing activities and therewith, establish their "consumer sovereignty". This study consists in large of 5 chapters. The introduction parr describes background, purpose, method and scope of the study. The first chapter reviews the silver marketing theories. The second chapter classifies the silver marketing advertisement positioning of four style - upper classes style, effloresce progress style, self- sufficiency style, dependent style - and reviews the expression strategy of each positioning. The third chapter examines the domestic conditions of silver marketing advertisements for each positioning type classified. The fourth chapter designs the ′creative′of silver marketing advertisements and suggests the methods thereof. The analysis of ′creative′was tested in terms of graphic gestaltung, and how the sliver marketing advertisement positioning should be discerned depending on silver generation consumer′s characteristics was discussed. The fifth chapter puts forwards the suggestions for the ′creative′ strategies to enhance the effects of the silver marketing advertisements, based on the preceding discussions. In addition, the Perspective into the keyword of 21 st century or "silver design" is discussed, together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is stuffy will be conducive to our efforts to face the upcoming′age\ulcorner society′more effectively. To this end, this study discusses the "silver advertising design" in light of ′societal concepts′and ′customer-oriented value′, and thus, explores some creative presentation strategies whereby individual companies interests and social or public interests can be compromised through ′creative activities′ and ′equal-value consumerism′ for an ultimately effective management strategies for silver businesses and services.

  • PDF

화장품 광고에 표현된 현대 여성의 이상적 자아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 Images of Women in Cosmetics Advertisement)

  • 이선희;박성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77-285
    • /
    • 1997
  • The prupose of this study were to: (1) Analize the contents o( the cosmetics advertisements, (2) Compare the ideal woman images perceived by women with the women images profected through models used in the cosmetics advertisements, (3) Compare the ideal clothing images perceived by women with the clothing images profected through models used in the cosmetics advertisemtnts, and (4) Study and analise the purchase patterns of the women in theirtwentie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students attending the Ewha Women's University. The study was done through video presentation, and questionnaire based on several previous studies, For the analysis of data, SPSS statistical packages were used. The results of emprical studie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urrent cosmetics advertisenents, the copies were mostly sentimental and short, the models mostly were casual dresses and their attitudes were active and natural for the most part. 2.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images of women shows noticeable difference in that, the women tend to idealize independent intellectual and refined woman where as the models tend to be free, airy, outgoing and cute. 3. The ideal clothing images perceived by women tendto be intellectual, dignified, and neat, while the clothing worn by the models tend to be casual, cute, and sexy, thus showing noticeable discrepancy.

  • PDF

The Symbolic Meaning and Values Portrayed In Models' Characteristics in Fashion Advertisements

  • Kwon, Gi-Young;Helvenston, Sally I.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7권2호
    • /
    • pp.29-41
    • /
    • 2006
  • Various current events provide evidence that society is undergoing changes in perceptions of social relationships. Specifically, visual media in the form of advertisements can convey images which reflect society's values and concepts about role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ds in fashion magazines to determine what types of model roles and role relationships typically appear in fashion advertising which can mirror society's value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f ads obtained from US Vogue and US GQ for the year 2002. Six kinds of roles/relationships were found: (1) Narcissism (representing self absorption), (2) sexually enticing opposite-sex relationships, (3) close/romantic same-sex relationships, (4) friend relationships, (5) family relationships, and (6) independent relationships. Of these, narcissism predominated, however, a small number of sexually provocative ads appeared as well as same-sex romantic relationships. Because sole (single) models were more typical, they also were examined to determine ways in which they relate to the audience. Characteristics examined included body presentation & pose, eye gaze, and facial expression. Direct eye gaze was the typical way to engage the audience. Gender differences were apparent: smiling was more typical of women, indifference for men. The symbolic meaning and values investigated from this research are the blurring of gender identity portrayed in homosexual imagery, family values, and the value of youth. The consistency of models' race in ads does not portray the diversity reflected in the demographic census.

크리에이티브 직군들의 직급에 따른 스트레스 유형 차이에 관한 연구 -국내 광고대행사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Classes-related Stress Typical Difference of Creative′s - Regarding Advertisement Agency in Korea-)

  • 김도광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1-220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고 크리에이티브 직무 종사자들의 직급별 스트레스 유형 차이에 관한 실태를 연구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광고 크리에이티브는 광고대행사내의 핵심적인 부문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그들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에서 우선 그들이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직급별 스트레스에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든 광고 크리에이티브 직군들이 가장 높게 느끼는 스트레스 유형은 광고주에 대한 스트레스였다. 스트레스 세부 항목 중의 상위 5개 항목의 평균에서 부국장 국장급의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순으로는 사원 대리급, 차장 부장급의 순으로 나타났다. 부국장 국장급의 특이점은 스스로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나는 점이었다. 차장 부장 급에서는 주말 휴일 근무로 인한 가족불평의 지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이 달랐다. 사원 대리급에서는 타 직급에 비해 많은 업무량에 대한 스트레스 지수가 높았다. 프레젠테이션 등의 상황적 변인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부국장 국장급에서 타 직급보다 높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 크리에이티브 업무 종사자들의 스트레스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황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그 중에서도 그들의 직급에 따른 내부적 스트레스 구조를 부분적이나마 밝히게 되었다. 이러한 직급의 구조로 인한 스트레스는 대부분 바로 해소시킬 수 없는 것들이어서 장시간에 걸쳐 형성되면 그것은 크든 작든 조직전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직급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스트레스 원인 규명 외에도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연구를 계속하여야 한다. 성공적인 크리에이티브는 광고대행사의 조직적인 시스템에서 나오는 것이지만, 그 조직이란 결국 크리에이티브 직군들 개개인의 노력과 자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PDF

문화콘텐츠로서 뮤지컬의 선택 및 만족요인 (Choice & Satisfaction Factors of Musical as Culture Contents)

  • 최태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05-214
    • /
    • 2011
  • 본 연구는 뮤지컬의 선택요인 및 만족요인을 규명하고, 이 두 요인 간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뮤지컬 <김종욱 찾기>의 관람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선택요인과 만족요인에 대한 요인분석 및 선택요인이 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뮤지컬 선택 요인으로는 가격 및 시설, 제작연출, 마케팅, 작품성, OSMU 등 다섯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뮤지컬 만족 요인으로는 제작사 및 광고신뢰, 예술적 표현, 출연진의 조화, 주연배우의 수준 등 네 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뮤지컬 선택요인이 만족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관람객은 공연 가격 및 시설수준이 적합하다고 생각할수록 해당 공연에 대한 높은 만족을 기대한다는 점이 밝혀졌다. 그리고 제작연출 및 작품성을 기준으로 공연을 선택한 관객일수록 예술적 표현을 중요한 만족요인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의 품질에 비해 과장된 마케팅은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뮤지컬 공연의 기획 및 제작, 마케팅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시사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