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초

치유농업 활동이 성인발달장애인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Healing Agriculture Activities are Brain Waves of Individuals with Adult Developmental Disabilitie Impact On )

  • 박경남;이재면;정재연;허계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13-722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 farming activities on the brain waves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eptember 2022 to December 2022, with a total of 16 sessions held once a week. For 28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15 participants in the care farm program and 13 participants who did not participate were used as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care farming activities, participants' self-esteem, happiness levels, and brain function indices were measured through surveys and electroencephalography (EEG). Consequently,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activity, and as for the brain function index, the left brain activity index related to stress, attention, brain function, and emotional state in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specially intellectual disabilities. Notably, the effect of care farming activities was greater for women than for 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consider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are farming activities based on the type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sex, it is deemed advantageous to primarily apply these activities to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rder to maximize the healing effect of care farming.

건강한 성인과 경미한 지적장애를 가진 성인의 보행 중 운동학적 데이터 비교 (Comparison of Kinematic Data during Walking between Healthy People and Person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 진다현;황영인
    • PNF and Movement
    • /
    • 제20권1호
    • /
    • pp.19-29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ait pattern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healthy adults based on collected kinematic data on the lower extremities and to investigate the gait patterns of intellectually disabled people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in one group of healthy adults (n = 9) and on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n = 9). 3D motion analysis (Myomotion) was used to collect kinematic data from each group while the participants walked 3 times over 10 m. As a statistical method, each group's kinematic data during walking was analyzed and compared us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Comparing the kinematic data of the lower extremities during walking between the group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e healthy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hip and ankle joints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s. Conclusion: The analysis suggests that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kinematic differences compared with healthy peo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rehabilitation programs for joint stabilization, exercise for increasing joint range of motion,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proprioception training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insufficient physical function.

Effects of Slime Program on Hand Function and Problem Behavior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Jang, Woo-Hyuk;Kim, Su-Hyun;No, Seo-Yeong;Moon, Ji-Yeong;Lee, Eun-Byeol;Jeon, Se-Hyu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32권4호
    • /
    • pp.250-25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aining using the slime on the hand function and problem behavior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ethods: Fiv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were judged as Level 1 or Level 2 were selected. The training consisted of one session (50 min)/day, one day/week for 10 weeks (preparatory activities: 5 min, slime activities: 40 min, finishing activities: 5 min) The functions of the hand (Purdue Pegboard Test [PPT], grip strength test [GST]) and problem behavior (Korean Behavior Problems Inventory [KBPI]) were assessed three times (first assessment; pre, second assessment; post-5 weeks, third assessment; post-10 weeks).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used to analyze changes in the subjects'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In the PPT, the use of the non-dominant hand wa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remaining results, but the mean value increased. In addition, although the problem behavi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 increase in the problem behavior score was noted. Conclusion: The training using the slime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effective in hand function improvement and reducing problem behavior.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활동이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ding Activities Using Picture Fairy Tales on Receiving Vocabulary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siding in Facilities)

  • 류정미;김충명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8-55
    • /
    • 2021
  • 목적: 지적장애인은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사용에 취약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그림동화를 활용하여 읽기 교육을 지도한 후에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거주시설에서 거주하는 20~40세미만의성인지적장애인 12명이다. 이들은 중재집단 6명과통제집단 6명으로나누어서 매회기 당 60분씩 총 12회기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지도를 중재하였다. 결과: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 활동을 시행한 중재집단에서는 수용어휘의 사용이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표현어휘의 활용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통제집단에서는 모두 유의한 결과가 나타나지 아니했다. 결론: 본 연구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그림동화를 활용한 읽기를 지도한 후에는 수용어휘와 표현어휘의 활용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었다. 이 결과는 이 분야의 연구에 기초가 되리라 평가한다.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 합창경험 유무에 따른 비교 (Comparison of the Singing Pitch Characteristics i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ased on Their Choir Experience)

  • 김은진;김수지
    • 재활복지
    • /
    • 제21권3호
    • /
    • pp.165-186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부르기 시 음도산출 특성을 알아보고 이를 대상자의 합창경험 유무에 따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모두 남성으로 장애인 합창단에서 활동하고 있는 12명과 장애기관을 이용하고 있으며 합창경험이 없는 9명의 성인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음도산출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Praat을 사용하여 편안한 음역대에서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도록 하여 녹음하였고, 음도 도약이 포함된 특정구간('합니다-사랑하는')을 발췌하여 음절별 개별 산출음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합창단원 그룹의 경우 음역대가 넓고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저음과 최고음에서는 모두 합창단원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일 축하> 노래 중 구간에서의 개별 음절별 산출음도를 분석한 결과, 기대음도와 실제 산출음도 간 차이가 있었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정확도가 모든 음절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절 '다'와 '하' 완전 5도, 완전 8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음도산출치의 경우, 음절 '니','다', '하', 완전5도, 완전 4도, 완전 8도에서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합창단원 그룹의 음도산출 정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선율윤곽의 경우 개인이 부른 멜로디의 음도가 얼마나 기대음도에 유사하게 진행되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것으로 합창단원의 경우 음도산출 정확도의 수준에 관계없이 기대되는 선율진행의 윤곽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처럼 합창단원 그룹의 확장된 음역대와 음도산출 정확도는 일정수준의 노래 부르기 지속 시 음도 훈련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향후 성인지적장애인의 노래 부르기 능력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Study on Perception of Group Home for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Worker on Sexually Problematic Behavior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임해영;홍영준;전주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575-586
    • /
    • 2019
  • 이 연구는 발달장애인을 돌보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 6명을 대상으로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관한 이들의 인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여, 장애인복지실천 현장에 필요한 유용한 논의점을 제시하기 위해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과 성인식 2가지 본질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고, 성문제 행동은 '성적 욕구를 과도하게 표출하는 존재', '성범죄로 연결될 수 있는 부적절한 성행동' 2개의 하위주제로, 성인식에서는 발달장애인 성문제에 대한 '적절한 해결방안의 부재', '성적 매력을 갖기에는 불리한 조건', '좌절된 성', '딜레마의 문제', '비장애인과 다르지 않는 성', '연애와 성관계는 OK, 임신과 결혼은 NO' 라는 6개의 하위 주제로 총 8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은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성문제 행동에 대한 적절한 해결 방안이 없다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으며, 발달장애인의 성규범을 강화하고 재생산해내는 주요 주체로서의 역할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들은 발달장애인의 성규범과 관련하여 가치관 혼란도 함께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발달장애인 성에 대한 종사자들의 고정관념적 시각에 관해 되짚어보고, 그들의 성을 바라보는 시각에 관하여 담론형성의 장과 발달장애들의 성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마련에 관한 보다 실효성 있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청년기 지적장애인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 직업훈련 프로그램 참여자의 개인적 요인을 중심으로 (Determinant Factors of Maintaining Employment in a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Personal Factors of Participants Employed after Vocational Training Program)

  • 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19-529
    • /
    • 2015
  • 이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성인기 준비를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신체능력, 작업능력, 정서 행동 영역, 기능적 적응 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청년기 지적장애인들의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64명의 청년기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수료 이후 6개월 시점에의 추적 조사를 통해 고용 유지 여부를 알아보았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고용 유지 결정 요인을 알아본 결과, 신체능력 중 양손 기민성(OR = 2.175), 작업 능력 중 소도구 사용 손기민성(OR = 1.123), 정서 행동 영역 중 불안(OR = .733)과 사회화 영역(OR = .429), 기능적 적응행동 영역 중 학습기술(OR = 1.077)과 직업기술 영역(OR = 1.542)이 고용 유지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드러난 고용 유지 결정요인은 선행연구들에서 제시한 고용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 유지에 효과적인 진로 및 직업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서는 고용 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활승마가 지적장애 성인의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rapeutic Horse Riding, Adaptive Behavior i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안정훈;박윤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61-66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가 있는 성인들에게 재활승마 프로그램이 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에 있다. 대상자는 지적 장애를 가진 16명의 성인이었다. 그들은 12주 동안 일주일에 2회, 60분으로 이루어진 재활승마 프로그램에 참가하였다. 참가자의 적응 행동 수준은 사회성숙도 검사(Social Maturity Scale, SMS) 도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12주 전과 후에 측정되었다. 데이터는 SPSS를 사용하여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재활승마 프로그램의 12주 후에, 자조, 업무, 자기 규제 및 사회화에 상당한 개선이 있었다. 그러나 운동, 의사소통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를 종합하면 재활승마는 자조, 업무, 자기 조절 및 사회화에서 지적장애를 가진 성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지적장애가 있는 성인에게 재활승마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적 장애인의 감각처리능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ensory Processing Skill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정병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280-288
    • /
    • 2017
  •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들의 감각처리 유형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고자 진행하였다. 장애인복지시설에 생활하는 98명의 지적 장애인을 대상으로 청소년/성인 감각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감각처리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지적 장애인들의 감각처리능력은 4가지 영역(낮은 감각등록, 감각찾기, 감각민감성, 감각회피)에서 모두 평균보다 낮은 점수를 보여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적거나 매우 적은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연령을 청소년기(11세에서 17세)와 성인기(18세 이상)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에서는 낮은 감각등록, 감각찾기, 감각민감성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 등급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은 낮은 감각등록과 감각회피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차후 연구에서는 지적 장애인의 거주 환경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확인하고,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장애등급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자기결정에 미치는 영향 - 기회제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 and Environmental Character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on Self-Determina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

  • 이복실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5-28
    • /
    • 2013
  •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자기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기회제공의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자기결정에 대한 논의를 실천적 차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실시되었다. 수도권, 영남권, 호남권에 거주하는 생활시설 성인지적장애인 219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접방식으로 서베이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지적장애인의 개별적 특성 중 자기결정 개념인지, 실천가와의 관계인식과 환경적 특성 중 시설위치, 시설규모가 자기결정 수준에 영향을 미치며 이 과정에서 기회제공이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당사자주의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고, 선택과 결정 기회를 극대화시키는 방식으로 지원하며, 거주환경의 세부적인 개편 등 자기결정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