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xophyes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산 맵시벌과(벌목) 3종의 새로운 숙주 보고 (New Host Records of Three Ichneumon Flies (Hymenoptera: Ichneumonidae) from South Korea)

  • 강규원;김성수;최진경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89-9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한국산 맵시벌과 3종 (운문점박이납작맵시벌, 잎말이나방살이뭉툭맵시벌, 안경꼬마자루맵시벌)의 새로운 숙주를 보고하고자 한다. 새로운 숙주는 각각 자나방과, 잎말이나방과, 풀명나방과에 속하며, 이 중 자나방과와 풀명나방과는 각각 쌍점박이납작맵시벌속, 안경꼬마자루맵시벌속의 숙주로써 처음으로 기록된다. 여기에 맵시벌과 3종의 간략한 특징과 우화된 표본의 사진, 숙주의 성충 사진을 제공하였다.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Appearances of Lepidoptera Larvae and Foodplants at Mt. Gyeryong National Park in Korea

  • Han, Yong-Gu;Nam, Sang-Ho;Kim, Youngjin;Choi, Min-Joo;Cho, Youngho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6권4호
    • /
    • pp.245-254
    • /
    • 201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time span of three years, from 2009 to 2011. Twenty-one surveys in total, seven times per year, were done between April and June of each year on major trees on trails around Donghaksa and Gapsa in Mt. Gyeryong National Park in order to identify foodplants of the Lepidoptera larvae and their characteristic appearances. During the survey of Lepidoptera larvae in trees along trails around Donghaksa and Gapsa, 377 individuals and 21 species in 8 families were identified. The 21 species were Alcis angulifera, Cosmia affinis, Libythea celtis, Adoxophyes orana, Amphipyra monolitha, Acrodontis fumosa, Xylena formosa, Ptycholoma lecheana circumclusana, Choristoneura adumbratana, Archips capsigeranus, Pandemis cinnamomeana, Rhopobota latipennis, Apochima juglansiaria, Cifuna locuples, Lymantria dispar, Eilema deplana, Rhodinia fugax, Acronicta rumicis, Amphipyra erebina, Favonius saphirinus, and Dravira ulupi. Twenty-one Lepidoptera insect species were identified in 21 species of trees, including Zelkova serrata. Among them, A. angulifera, C. affinis, and L. celtis were found to have the widest range of foodplants.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many species of Lepidoptera insects can utilize more species as foodplants according to the chemical substances in the plants and environments in addition to the foodplants noted in the literature. Also, it is thought that more species can be identified with a survey of various woody and herbaceous plants.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Phylogenic Analysis of Conserved Genes within the p74 Gene Region of Choristoneura fumiferana Granulovirus Genome

  • Rashidan, Kianoush Khajeh;Nassoury, Nasha;Giannopoulos, Paresa N.;Mauffette, Yves;Guertin, Claude
    • BMB Reports
    • /
    • 제37권6호
    • /
    • pp.700-708
    • /
    • 2004
  • The genes located within the p74 gene region of the Choristoneura fumiferana granulovirus (ChfuGV) were identified by sequencing an 8.9 kb BamHI restriction fragment on the ChfuGV genome. The global guanine-cytosine (GC) content of this region of the genome was 33.02%. This paper presents the ORFs within the p74 gene region along with their transcriptional orientations. This region contains a total of 15 open reading frames (ORFs). Among those, 8 ORFs were found to be homologues to the baculoviral ORFs: Cf-i-p , Cf-vi, Cf-vii, Cf-viii (ubiquitin), Cf-xi (pp31), Cf-xii (lef-11), Cf-xiii (sod) and Cf-xv-p (p74). To date, no specific function has been assigned to the ORFs: Cf-i, Cf-ii, Cf-iii, Cf-iv, Cf-v, Cf-vi, Cf-vii, Cf-ix and Cf-x. The most noticeable ORFs located in this region of the ChfuGV genome were ubiquitin, lef-11, sod, fibrillin and p74. The phylogenetic trees (constructed using conceptual products of major conserved ORFs) and gene arrangement in this region were used to further examine the classification of the members of the granulovirus genus. Comparative studies demonstrated that ChfuGV along with the Cydia pomonella granulovirus (CpGV), Phthorimaea operculella granulovirus (PhopGV), Adoxophyes orana granulovirus (AoGV) and Cryptophlebia leucotreta granulovirus (ClGV) share a high degree of amino acids sequence and gene arrangement preservation within the studied region. These results support a previous report, which classified a granuloviruses into 2 distinct groups: Group I: ChfuGV, CpGV, PhopGV and AoGV and Group II: Xestia c-nigrum granulovirus (XcGV) and Plutella xylostella granulovirus (PxGV). The phylogenetic and gene arrangement studies also placed ClGV as a novel member of the Group I granuloviruses.

Ident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Phylogenic Analysis of Conserved Genes within the odvp-6e/odv-e56 Gene Region of Choristoneura fumiferana Granulovirus

  • Rashidan, Kianoush Khajeh;Nassoury, Nasha;Giannopoulos, Paresa N.;Mauffette, Yves;Guertin, Claude
    • BMB Reports
    • /
    • 제37권2호
    • /
    • pp.206-212
    • /
    • 2004
  • The genes that are located within the odvp-6e/odv-e56 region of the Choristoneura fumiferana granulovirus (ChfuGV) were identified by sequencing the 11 kb BamHI restriction fragment on the ChfuGV genome. The global GC content that was calculated from the data obtained from this genomic region was 34.96%. The open-reading frames (ORFs), located within the odvp-6e/odv-e56 region, are presented and compared to the equivalent ORFs that are located at the same region in other GVs. This region is composed of 14 ORFs, including three ORFs that are unique to ChfuGV with no obvious homologues in other baculoviruses as well as eleven ORFs with homologues to granuloviral ORFs, such as granulin, CfORF2, pk-1, ie-1, odv-e18, p49, and odvp-6e/odv-e56. In this study, the conceptual products of seven major conserved ORFs (granulin, CfORF2, IE-1, ODV-E18, p49 and ODVP-6E/ODV-E56) were used in order to construct phylogenetic trees. Our results show that granuloviruses can be grouped in 2 distinct groups as follows: Group I; Choristoneura fumiferana granulovirus (ChfuGV), Cydia pomonella granulovirus (CpGV), Phthorimaea operculella granulovirus (PhopGV), and Adoxophyes orana granulovirus (AoGV). Group II; Xestia c-nigrum granulovirus (XcGV), Plutella xylostella granulovirus (PxGV), and Trichoplusia ni granulovirus (TnGV). The ChfuGV conserved proteins are most closely related to those of CpGV, PhopGV, and AoGV. Comparative studies, performed on gene arrangements within this region of genomes, demonstrated that three GVs from group I maintain similar gene arrangements.

헤어리베치 재배과원에서 해충과 천적의 발생 (Occurrence of Insect Pests and Natural Enemies in Pear Orchard with Hairy Vetch)

  • 최용석;황인수;박덕기;최광렬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48-453
    • /
    • 2013
  • 배 과원에 심겨진 헤어리베치가 배의 주요해충인 4종 나방류(복숭아순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조팝나무진딧물 및 점박이응애의 발생과 천적인 기생봉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과 바랭이가 주요 초종인 일반과원에서 4종 나방류의 발생에는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조팝나무진딧물은 6월 20일 헤어리베치구에서 신초 당 95마리가 1회 확인되었을 뿐 전체적으로 발생되지 않았다. 배 잎의 점박이응애 밀도는 헤어리베치가 심겨진 배 과원에서 월등히 낮았다. 2012년과 2013년에 조사된 기생봉류의 발생은 헤어리베치의 개화시기에 각각 398마리와 798마리로 일반초생구의 9마리와 22마리보다 월등히 높았고, 하고시기에도 헤어리베치구가 114, 172마리로 일반초생구 8, 5마리보다 월등히 많았다. 헤어리베치는 4종 나방류, 조팝나무진딧물, 점박이응애 발생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오히려 천적인 기생봉류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배 과원의 피복 및 녹비작물로써 이용가능성이 높으므로, 천적에 저독성 농약선발을 통해 농약방제 체계를 개선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해충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 페로몬 합성과 생물활성 시험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Test of the Sex Pheromone of the Summer Fruit Tortrix Moth)

  • 강석구;안상순;김정한;이정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5-70
    • /
    • 1988
  •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의 성 유인물질 (Z)-9-인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와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2)를 합성하여 생물활성시험을 수행하였다. 1,8-옥탄디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8-브로모옥탄-1-올 THP 에테르를 1-헥신의 리튬음이온과 알킬화시켜 9-테트라데신-1-올 THP 에테르를 얻었다. 이를 Pb/BaSO4 촉매하에서 수소환원시킨 후 PPTS로 보호기를 제거하여 (Z)-9-테트라데센-1-올을 얻었으며 이를 아세틸화시켜 (Z)-9-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를 합성하였다. 한편 1,10-데칸디올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10-브로모데칸-1-올 THP 에테르를 아세틸렌나트륨음이온과 알킬화시켜 11-도데신-1-올 THP 에테르를 얻는다. 이를 다시 부틸리튬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리튬음이온을 브로모에탄과 반응시켜 11-테트라데신-1-올 THP 에테르를 형성시켰다. 이를 Pd/BaS$O_4$ 하에서 수소환원, 보호기제거 후 (Z)-11-테트라데신-1-올을 거쳐, 아세틸화시켜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 (2)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성 페로몬에 대한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숫컷의 성 유인력을 시험해본 결과 활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해충 종류 및 발생 양상 (Occurrence of Insect Pests in Rubus coreanus Miquel)

  • 임주락;최선우;김주희;이기권;정성수;류정;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97-103
    • /
    • 2010
  • 2006년에서 2008년까지 전북지역의 복분자딸기에서는 차응애, 박쥐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장미흰깍지벌레 등 5종의 해충이 주로 발생하였다. 복분자딸기에서 발생하는 차응애와 무궁화잎밤나방 발생소장 조사결과 차응애는 5월 중순 발생을 시작하여 6월 하순, 7월 중순, 8월 하순 3회 발생피크를 보였고, 발생밀도는 엽당 10마리 이상이었다. 무궁화잎밤나방은 6월 중순부터 발생을 시작하여 7월 하순 발생피크를 보인 후 줄어들다가 10월 상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복분자딸기 수확 전에 발생하는 해충은 28종이었으며, 주요 해충은 차응애, 점박이응애, 대만총채벌레, 톱니무늬애매미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초록장님노린재, 검정배줄벼룩잎벌레 7종이었다. 수확 후에 발생하는 해충은 19종이었고, 주요 해충은 차응애, 박쥐나방, 무궁화잎밤나방, 애모무늬잎말이나방, 검정배줄벼룩잎벌레, 장미흰깍지벌레 6종이었다. 해충관리를 하지 않고 방치한 포장에서는 복분자딸기의 생육이 저하되고, 수량은 매년 7%정도 감소하는 경향이었지만, 농약으로 해충관리를 한 포장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제주도에서 재배되는 망고, 용과, 아떼모야의 주요 해충과 피해 (Pest Lists and Their Damages on Mango, Dragon Fruit and Atemoya in Jeju, Korea)

  • 최경산;양진영;박영미;김소라;최활란;유동표;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45-51
    • /
    • 2013
  • 제주도에서 열대과수로 망고(mango; Mangefera indica), 용과(dragon fruit; Hylocereus undatus), 아떼모야(atemoya; Annona cherimola ${\times}$ A. squamosa) 등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이들 작물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망고 해충 중 총채벌레, 진딧물, 깍지벌레, 나방류 피해가 많았다.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와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는 망고 전 재배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오이총채벌레는 주로 잎을 가해하였지만 볼록총채벌레는 잎과 과실을 심하게 가해하였다. 나방류 해충은 주로 잎을 가해하였지만, 일부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es honmai.) 유충은 망고 과경지를 중심으로 과실표면에 서식하여 과실 피해를 유발하였다.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신초에 피해를 주었고,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kraunhiae) 등 깍지벌레는 망고줄기와 과실에 많이 발생하였다. 용과는 개미와 목화진딧물(A. gossypii)에 의한 과실 피해와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유충은 줄기를 심하게 가해하였다. 아떼모야는 주로 나방류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과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 피해가 심하였다.

과원 환경과 경관 요소가 사과원 주요 나방류 해충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chard Environments and Landscape Features on the Population Occurrence of Major Lepidopteran Pests in Apple Orchards)

  • 김향미;정철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79-90
    • /
    • 2021
  • 농업생산생태계 내 경관의 구조와 구성은 해충과 천적을 비롯한 생물다양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 연구는 경남 거창군 80개 사과원을 대상으로 경관 구조가 나비목 해충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조사하였다. 과수원의 지정학적 특징, 농약 사용패턴과 과원 관리 방법 등에 대한 정보는 설문 조사를 통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과수원 주변 경관 구조는 인공위성자료에 바탕하여 추출하였다. 복숭아순나방 발생량이 가장 많았고, 사과굴나방, 복숭아심식나방, 사과잎말이나방 순으로 발생하였다. 농가에서는 살균제와 살충제를 각 12.4회, 살비제는 2.4회 살포하였다. 대부분 사과원 주변 식생은 사과 또는 논이었으며, 자두, 복숭아, 포도 또는 폐과원이 있을 경우 복숭아순나방 밀도가 특히 높았다. 복숭아심식나방 역시 주변에 복숭아나 포도가 있을 경우 그 발생량이 더 높았다. 사과굴나방은 복숭아, 포도, 폐과원 그리고 대추가 있는 지역에서 발생량이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 지역에서 경관 관리는 농촌 어메니티 개선뿐 아니라 병해충 관리의 차원에서 기능적 다양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단감수출단지 과원과 수출단감 병해충 조사 (A Survey on Diseases and Insect Pests in Sweet Persimmon Export Complexes and Fruit for Export in Korea)

  • 정영학;유은주;손대영;권진혁;이동운;이상명;추호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57-169
    • /
    • 2014
  • 단감 병해충의 관리와 원활한 수출 정보를 위하여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전남 순천, 경남 진주, 창원(동읍과 북면), 김해, 그리고 울산 울주지역의 수출과원과 비수출과원과 수확과에서 병해충을 조사하였다. 수출 단감과원에서 확인된 병은 모무늬낙엽병, 탄저병, 둥근무늬낙엽병, 흰가루병, 잿빛곰팡이병이었고, 그 중 둥근무늬낙엽병의 피해가 높은 편이었다. 과일에서는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와 Colletotrichum acutatum 탄저병의 피해가 문제였다. 발견된 해충은 5목 20과 32속 33종이었고 점박이응애도 발생하였다. 그 중 애무늬고리장님 노린재와 식나무깍지벌레, 애모무늬잎말이나방이 비교적 넓은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었고, 담배거세미나방, 차잎말이나방 등도 발생하고 있었다. 해충에 의한 피해는 매우 낮았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과 감꼭지나방은 거의 발생하지 않았거나 문제가 되지 않았고,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선과장과 수출과에서는 이들 검역대상 해충인 복숭아명나방, 감꼭지나방, 감나무애응애, 온실가루깍지벌레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고, 깍지벌레와 점박이응애가 낮은 비율로 발견되었다. 병으로는 진주와 김해의 저장고 수확과에서 C. acutatum탄저병 이병과가 1개 과에서만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