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2초

The Mental Health of Ethnic Minority Youths in South Korea and Its Related Environmental Factors: A Literature Review

  • Lee, Yeeun;Lee, Minji;Park, Sub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0권3호
    • /
    • pp.88-99
    • /
    • 2019
  • Objectives: With increasing concerns for the rapidly growing minority population in South Korea, this literature review addressed a range of mental health risks among multiethnic youths (MY) in South Korea by 1) comparing mental health outcomes with those of native-born youths and 2) identifying multiple layers of relevant environmental factors, from family and school relationships to culture. Methods: We reviewed 54 studies that fulfilled specific inclusion criteria. Results: Multiple common risk/protective factors, including family separation, family relationship quality, parental socioeconomic and mental health status, social relationships at school, and cultural acceptance, were noted. Conclusion: In general, empirical evidence indicates that minority youths have relatively heightened risks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Future studies must elucidat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multipl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nd the long-term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service utilization of MY.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 능력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Other-awareness in Multicultural Adolescents upon Psychosocia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 이화명;김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595-606
    • /
    • 2021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의 다문화 가정 중학교 청소년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타인인식은 자기조절능력과 심리사회적 적응에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조절능력은 심리사회적적응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청소년의 타인인식과 심리사회적적응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조절능력은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향상을 위해서는 자기조절능력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야 하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제고를 위한 학교 및 지역사회의 제도적인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간 갈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부모 수용성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 of Parental Acceptance on Psyshological Adjustment of Adolescent'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 박은희;정혜정;이주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5호
    • /
    • pp.39-5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adolescent's perception of interparental conflict and parental acceptance on psychological adjustments(self-esteem, depressive mood).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ith 55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arental conflicts, parental acceptanc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s according to adolescents' sex and perceived level of living standard. Second, interparental confli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arental acceptance and self-esteem, and were positively related to depressive mood. Parental accept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steem, and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ve mood. Third,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is showed that both indices of psychological adjustments(self-esteem and depressive mood) were influenced by sex, perceived level of living standard, and parental acceptance. Specifically, the most powerful variable affecting psychological adjustments was parental acceptance. Finally, the parental acceptance moderated the influence of interparental.

중학생들에서의 체 질량 지수와 삶의 질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BODY MASS INDEX IN MIDDLE SCHOOL STUDENTS)

  • 장원석;양재원;정유숙;홍성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7권1호
    • /
    • pp.3-9
    • /
    • 2006
  • 비만이 청소년에 미칠 수 있는 사회 심리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471명의 중학생에서의 체 질량 지수와 삶의 질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 참여 학생 중 우울 위해 CDI검사를 성향을 보이는 학생들을 배제하기 실시하였고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 $PedsQL^{TM}$ 4.0을 사용하였다. 체 질량 지수를 기준으로 저 체중 군, 정상 체중 군, 비만위험 군으로 나누어 삶의 질을 비교하였다. 중학생에서의 체 질량 지수는 삶의 질과 관계가 있으며 비만 중학생들의 경우 정상 체중 중학생들에 비해 자신의 삶의 질을 낮게 평가한다.

  • PDF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in Korean adolescents)

  • 김정현;윤여진;정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1-85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 및 스트레스 대처 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 방식이 매개효과로 작용하는지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경기도 소재 17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123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중학생들은 학업소진의 하위요인 중 공부에 대한 반감과 냉담 등의 심리적 소진증상을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학업소진은 학교생활적응 및 스트레스 대처 중 적극적 대처인 문제지향과 사회적지지 추구와는 부적상관관계를, 학교생활적응과 스트레스대처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학업소진과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스트레스 대처 중 문제지향과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스트레스 대처 중 문제지향 및 사회적지지 추구 대처는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 감소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학업소진을 경감시켜 만족한 학교생활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학업스트레스 등에 적극적 대처 행동을 실천 할 수 있도록 능동적 대처능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도입 등의 체계적인 교육 및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Support and Monitoring and School Adjustment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 임양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55
    • /
    • 2019
  • 본 연구는 어머니의 한국어능력을 통제한 상황에서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이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대상은 다문화 가정의 중학교 1학년 자녀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 청소년 패널자료 중 어머니가 외국인이고 아버지가 한국인인 국제결혼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자료(1,325명)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대상 자료에 대해 IBM SPSS 25.0 및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일원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 및 감독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부모의 지지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부모 감독의 영향력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의 지지 및 감독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모두 매개함으로써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 다문화 가정 중학교 1학년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 부모의 양육행동 및 자아탄력성의 영향이 규명됨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수준을 높이고, 학교생활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이 연계한 부모교육 실시의 필요성 및 가정과 교과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과 진로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Depression on Their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and Career Attitude)

  • 박순진;백진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139-15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고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과 진로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MAPS) 7차(2017)년도 데이터에서 1,079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구조방정식과 Bootstapping 등의 분석방법을 통해서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진로태도는 다문화청소년의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에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수립과 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가구 빈곤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amily Poverty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 구자민;윤희선;이상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94-807
    • /
    • 2021
  • 빈곤은 청소년의 발달 및 적응을 규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널리 평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문화 청소년의 발달 및 적응에 미치는 빈곤의 영향에 대한 파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가구 빈곤의 영향을 경험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중적 어려움을 지닌 빈곤가구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실천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APS) 7차 자료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연구문제 분석에는 OLS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다문화 가구의 빈곤은 다문화 특성 변수들과 함께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가구 빈곤은 하위 변인인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청소년들에서도 가구 빈곤이 학교적응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보여주는 바로, 이들의 학교적응 제고를 위해서는 다문화 특성 뿐 아니라 빈곤과 같은 가구의 경제적 상태에도 정책적 관심과 주목이 적극 요청됨을 시사하여 준다. 특히, 다문화 및 빈곤의 이중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빈곤가구 다문화 청소년에게는 보다 적극적인 지원 및 개입, 관리의 필요성을 환기하여 준다.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의 감독과 청소년의 적응 간 관련성 (Marital Conflict,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al Monitoring Related to Adjustment of Adolescents)

  • 이형실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083-109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fference i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nd depress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marital conflict, parenting behavior, parent's monitoring on adolescents' problem behavior and depression. Data obtained from 453 students in middle school was used for final analysis. This study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showed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male adolescents. Male adolescents reported higher level of marital conflict than female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female adolescents showed more mother's monitoring than male adolescents. Path analysis revealed that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s monitoring were negatively influenced by marital conflict. Adolescents' depression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parenting behavior, but problem behavior was not influenced by parenting behavior. Father's monitoring had an impact on problem behavior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Depression was influenced directly by marital conflict, but problem behaviors were not directly influenced by marital conflict.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yles, Adolescent Academic Achievement, and Behavioral Adjustment among Korean Families

  • Chang, Yo-O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1권2호
    • /
    • pp.25-37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styles, academic achievement, and behavioral adjustment of adolescents in Korea. Using a sample of 181 parents and their children (13-15 years old), parents completed the Parental Authority Questionnaire and adolescents filled out the Youth Behavior Checklist (CBCL) and provided their school grade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PAQ to confirm the psychometric properti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mpu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arenting styles, academic performance, and children's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style was positively related with adolescents' grades in English. However, father's permissive was negatively related with adolescents' grades in English, Mathematics, and Science. Mother's permissive parenting styles showed negative effect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hereas father's permissive parenting styles showed positive effect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