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ministrative district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3초

커뮤니티센터 모델 개발을 위한 동사무소 시솔 및 프로그램 분석 (Public Service Facilities and Programs of District (Dong) Office as a Community Center)

  • 조재순;이경희;곽인숙;박정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21-13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ervice facilities and activity programs of district(Dong) office so as to develope a model of a service integrated community center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for this study: Field research and interviews with the managers have been done in four offices during July and August, 2000. The facilities and programs of twenty district((Dong) offices were analyzed and ninety visitors of two district(Dong) offices were surveyed.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visitors crime to the district(Dong) office for administrative services associated with the registration for citizenships. Visitors of district(Dong) office with activity programs were more Likely to factor to the service integrated community center than were those without. The size and kinds of facilities among district(Dong) office centers were varied and contrained by the size of the building but the activity programs were very similar and mainly arts and crafts, sports, music, and health for young housewives. Several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ere suggested to the model of a service integrated community center.

  • PDF

효율적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지구단위계획기법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strict Unit Planning Techniques to Activate Efficient Urban Regeneration)

  • 강태호;양정철;황경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45-55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단위사업의 개별적 추진에 따른 사업효과 확산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시재생사업과 합리적 토지이용계획 기반의 도시계획 수립 기법인 지구단위계획의 연계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제도의 변천과정과 선행연구를 이론적 배경으로 검토하고 제주특별자치도를 공간적 범위로 도시재생 전략계획과 지구단위계획 수립사례를 분석하여 계획간 유기적 연계성 강화를 위한 행정절차 일원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계획수립 단계에서부터 합리적 토지이용계획에 기반한 효율적 재생사업 추진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활성화지역간 우선순위를 선정함에 있어 주민참여도를 평가지표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주민의 자발적 사업 참여를 유도하고 민원요소를 사전에 파악하여 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가상의 대상지를 설정하여 유형별 지구단위계획 기법 적용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대상지의 입지여건과 주변환경에 따라 합리적 토지이용계획을 기반으로 지구단위계획을 통한 규제와 완화를 적절히 활용하여 주민의 자발적 사업참여와 활성화 효과의 확산을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간의 단순한 도시정비를 넘어 쇠퇴한 지역을 체계적인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활성화시키고 그 효과의 확산을 도모하기 위한 행정절차 개선 및 지역주도의 상향식 사업추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People Participation Towards Opisthorchis viverrini Prevention and Control in Chaiyaphum Province, Northeastern Thailand

  • Phongsiripapat, Rutjirapat;Chimplee, Kanokporn;Rujirakul, Ratana;Kaewpitoon, Soraya;Keawpitoon, Natthawu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1호
    • /
    • pp.177-181
    • /
    • 2016
  •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and qualitative study was aimed to study the people participation and their approaches toward the human carcinogenic liver fluke, Opisthorchis viverrini, prevention and control in Ban Chaun sub-district administrative organization (BCSAO) and Bamnet Narong sub-district municipality (BNSM), Bamnet Narong district, Chaiyaphum Province, Thailand between June 2013 and February 2014. Participants were purposive selected, included chiefs of sub-district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sub-district municipalities, sub-district health promotion hospitals (SHPHs), heads of village, and a further sample was selected with a multi-stage random sampling for public health volunteers, and villagers. The pre-designed questionnaire contained items for individualized status and the participatory steps of sharing ideas, decision-making, and planning, procession, evaluation, and mutual benefit, for the project O. viverrini prevention and control (POPC). In-depth interviews were used for collection of need approaches to POPC. With 375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people had a high level regarding to participate in the POPC, particularly in the process stage ($\bar{X}=3.78$, S.D. = 0.56), but the lowest level was found in sharing ideas, decision making, and planning step ($\bar{X}=3.65$, S.D. = 0.63). By comparison, participant status and organization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with people participation. In each step, Ban Chaun sub-district had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step of sharing ideas, decision making, and planning toward POPC, more than Bamnet Narong sub-district municipality (t=2.20, p=0.028). Approaches for POPC in Ban Chaun sub-district and Bamnet Narong sub-district municipality included requirements for budget support, annual campaigns for liver fluke prevention and control, campaign promotion, risk group observation, home visiting, community rules regarding reducing raw fish consumption in their communities, and a professional public health officer for working in their communities, BCSAO, BNSM, and SHPH, for O. viverrini prevention and control. This study indicates that people realize that eradication of the liver fluke needs a continuous people participation for O. viverrini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ir communities.

공원 분석 지표 개발 및 현황 분석: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Park Analysis Indicators and Current Status: A Case Study of Daejeon Metropolitan City)

  • 황재연;곽승연;김상규;박민주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1호
    • /
    • pp.99-112
    • /
    • 2022
  • 최근 무분별한 택지개발과 아파트 건설 등으로 도시공원의 확보와 접근성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전광역시도 낙후공원을 정비하고 새로운 공원을 조성하는 도시공원 관리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광역시는 행정구역별 공원 관리를 위해 공원데이터를 생성·관리하고 있는데 행정구별로 다른 데이터 양식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행정구역별로 생성된 공원 데이터를 하나의 양식으로 통합하고, 공원의 면적 정보를 반영하는 지리 정보 데이터를 생성해 대전 전체에 존재하는 공원들의 현황을 분석했다. 공원의 현황을 분석했을 때 행정구역별 공원의 불균형이 심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새로운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현황 진단 결과를 정규화한 후 순위로 도출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진행하여 실제 공원들과 분석 결과를 비교 후 데이터가 공원에 대한 정보를 잘 담고 있는지 살펴봤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공원에 대한 개선방안을 강구할 수 있고,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공원 평가 지표를 구성하여 공원을 객관화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형성하여 행정구역별 통합된 데이터 양식과 꾸준한 관리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의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가뭄대책 행정지원을 위한 지역논가뭄평가모형 ADEM의 개발 (Development of An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Model for Administrative Decision Support)

  • 장민원;정하우;박기욱
    • 농촌계획
    • /
    • 제9권2호
    • /
    • pp.29-37
    • /
    • 200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n agricultural drought evaluation model based on administrative boundaries and to assist the effective drought-related decision-making of local governments. The model which was named ADEM(Administrative Drought Evaluation Model for Paddies) is designed to simulate daily water balance between available water quantities from various agricultural water facilities such as reservoirs, wells, pump stations, etc. and water requirements in paddies. And in order to numerically describe the agricultural drought severity, two indices were defined; One is ADFP(Agricultural Drought Frequency for Paddies) which is calculated with a frequency analysis of monthly water deficit, and the other is ADIP(Agricultural Drought Index for Paddies) with a scale of $-4.2{\sim}+4.2$. The developed model was applied to Yeoju district and showed good correspondence with the historical records of drought.

문헌분류법에서의 지역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e of Geographical Division in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 남태우;백혜경;이형미;정수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189-214
    • /
    • 2008
  • 본 연구는 현 KDC 4판의 지역구분체계가 가지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주요 분류법들을 십진과 비십진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류법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원칙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한국, 미국, 일본의 국가기관에서 채택한 지역구분 기준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KDC 4판 한국지역구분표의 개선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국민편의를 위해 마련된 공공기관의 행정구역분류체계와의 연관성 및 일관성 유지 방안과 아울러 행정지리에 의한 구분 이외의 다양한 지리현상을 반영한 추가적인 지역구분기준의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요인분석을 통한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Factor Analysis on the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ervice of Community)

  • 최락인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99-310
    • /
    • 2006
  • 본 연구는 지방행정구역의 개편의 일환으로 도시지역와 농촌지역이 통합을 이룬 도농복합 형태의 지역사회가 주민에게 제공하는 행정서비스가 주민 만족도 및 삶의 질의 제고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전국 46개 도농통합시 중에서 1995년 1월 통합한 순천시, 광양시, 나주시 및 1998년 4월 자발적 통합을 이룬 여수시 등 전남지역 4개 도농복합 형태의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주민들을 대상으로 경험적 조사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도농통합 지역사회 주민 270명을 유효 표본으로 추출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SPSSWIN 프로그램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지역사회 대주민 행정서비스의 만족도는 행정서비스의 형평성, 행정서비스의 대주민 대응성, 행정서비스의 능률성, 행정기관의 접근용이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 PDF

혼합효과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이용한 대전광역시 코로나 발생 동향 분석 (Mixed-effects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for analyzing the spread of COVID-19 in Daejeon)

  • 김광희;이은지
    • 응용통계연구
    • /
    • 제34권3호
    • /
    • pp.375-388
    • /
    • 2021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서 나타난 확진자 증가 현상을 분석하여 COVID-19의 확산을 방지할 대책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계획되었다. 확진자 증가의 원인이 시민들의 잦은 이동과 장기간 지속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피로와 방심에 있다고 보고, 각 행정동의 주별 확진자 수를 반응변수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흐른 시간, 행정동의 버스 하차 인원을 설명변수로 하여 이들의 관계를 모형화하였다. 행정동별 확진자 수가 주 단위로 반복측정 되었고, 포아송분포로 기대되는 0보다 더 많은 0이 관측될 수 있기 때문에 혼합효과 영과잉 포아송 회귀모형을 적용하였다. 행정동의 성격에 따라 확진자 발생 동향이 다를 수 있어서서 서로 유사한 성격을 갖는 행정동을 군집화하여 이를 범주형 설명변수로 사용하였다. 또한 버스 하차 인원의 효과가 행정동의 성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두 변수 간의 교호작용항을 포함하였고 상대적으로 번화한 행정동에서 그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수준=0.1). 모형 적합 결과 인구수의 증가와 번화한 행정동이라는 요인, 그리고 버스 하차 인원의 증가가 확진자 수의 증가와 중요한 연관 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보였다. 한편, 추정된 모형에 따르면 인구수와 버스 하차량이 고정되었을 때 번화한 집단의 확진자 수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훨씬 적을 것으로 기대되었는데, 이는 코로나 고위험 지역에 대한 시 차원의 강력한 대응이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공간정보기반의 행정경계 정비를 위한 기초연구 (A Fundamental Study on the Maintenance of Administrative Boundaries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 윤지예;박홍기;최윤수;남대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47-57
    • /
    • 2012
  • 행정경계는 지리적 지역적 범위를 표현하는 행정업무의 기반정보이다. 스마트세상이 도래한 요즈음 산업체의 다목적 활용 및 국민의 생활편의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나 현재 행정구역체계의 골격인 지적공부에 정비된 경계선 간 중첩 혹은 이격문제가 내재되어 있어 정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국가가 일정한 방법 및 절차의 공시 없이 행정경계를 일괄 정비 등록할 경우, 각 지자체 및 관할부서 간의 갈등을 야기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행정경계 갈등의 사전 예방과 원활한 정비를 위해서는 합리적인 행정경계 정비방안이 우선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 정비업무 시 활용이 가능하도록 행정경계 정비방안과 정비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행정경계의 개념과 특성, 연혁과 현황 고찰 및 현황에 내재된 문제점을 파악한 후 현장답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후, 합리적으로 행정경계를 확인 정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간정보자료의 활용, 이해관계자의 참여, 인접 구(區)간 행정경계 정비안을 제시하였다. 이로써, 현행 행정경계 정보의 불일치성을 해소하고, 합리적 행정경계의 정비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지적 재조사사업에 있어서 본 정비 방안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