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jective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7초

표면 질감에 관한 사용자의 촉각적 인식 특성 (Users Characteristics on the Tactile Perception of Surface Texture)

  • 이동연;양승무;정광태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77-8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표면의 거칠기를 나타내는 척도인 요철의 깊이와 피치(pitch)의 변화에 따라 피실험자들이 느끼는 거칠기의 정도를 세 가지의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첫 번째 실험은 임의로 나열해 놓은 샘플들을 거칠기의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나열하도록 하는 실험이었는데, 작업을 수행하는데 소요된 시간을 척도로 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임의로 나열해 놓은 샘플들을 표면 거칠기가 같다고 느끼는 샘플들끼리 그룹핑하는 실험이었다. 이 실험 결과의 분석에서는 그룹핑된 그룹의 개수에 의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실험에서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시되는 샘플들을 만져보고, 그 샘플들의 거칠기 정도가 어떠한지 형용사 척도를 토대로 평가하는 실험이었다. 이상의 실험적 연구를 통하여, 요철의 깊이와 피치 모두 사용자들이 느끼는 거칠기의 정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요철의 깊이와 거칠기의 상관관계가 피치와 거칠기의 상관관계보다 훨씬 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사용자들은 요철의 깊이 변화에 대해 거칠기의 정도 차이를 더 많이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촉각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서 촉각에 의한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것이고, 그러한 사용자 특성이 반영될 때 제품의 사용 편의성은 더욱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경관형용사를 활용한 생태축 복원사업의 경관변화요인 분석 - 정면경관을 대상으로- (An Analysis of Landscape Change Factors on Restoration Project of Ecological Ridgeline using Landscape Adjectives -Focused on Frontal View-)

  • 이우성;박영대;권태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97-115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preference and image on landscape of before and after the restoration in the four study areas where the restoration project of Baekdudaegan ecological ridgeline was carried out and to explore the change factors of image preference according to restoration project. The study areas were Beoljae, Ihwaryeong, Bijoryeong, and Yuksimnyeong and 24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cognition analysis on restoration project of ecological ridgeline, the awareness of the project was low at 2.63, the satisfaction of the project was 3.42, and necessity of the project was 4.07. In terms of the preference analysis for landscape photographs, the all preferences of four sites were improved after the project than before. In the result of the landscape image evaluation, images such as 'lifeless', 'uniform' and 'ugly' were high before the project, however, images such as 'clean', 'tidy', and 'stable' were high after the projec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nge factors of imag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restoration project, adjectives such as 'beautiful-ugly' and 'open-closed' influenced the preference change in common.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as the base data for the planning direction for the construction of new ecological ridgeline or the landscape conservation of existing ecological ridgeline.

춘추용 생활한복 소재의 태에 관한 연구 (The Hand of Spring/Fall Fabrics for 'Saenghwal Hanbok')

  • 손형남;유효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9_10
    • /
    • pp.1453-146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and of spring/fall fabrics for 'Saenghwal Hanbok' on subjective hand, objective hand and the preference. In this study, 28 varieties of spring/fall fabrics such as cotton fabrics, synthetic fabrics, blended fabrics and a silk fabric for 'Saenghwal Hanbok' are used. To evaluate the subjective hand of fabrics, the holistic touch and preferences, 33 seven ranks' segmentic differential scale questions are developed with adjective pairs and are gathered by surveying experts on clothes. The mechanical properties, HV and THV of them are measured and calculated by KES-FB system. Through subjective hand,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hand expressions: 'bulky/extensibility', 'stiffness', 'feeling of weight', 'surface property', 'drapability' and 'moisture property'. Through mechanical proper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 of cotton fabrics are slight flexible, tough, rough, uneven, a bit heavy, thick and low resilience on tensile and compression, and then those of synthetic fabrics, blended fabrics and a silk fabric are thin and light, smooth, flat and bulkless. In correlation on subjective evaluations and the preference for 'Saenghwal Hanbok', cotton fabrics mainly depend on 'surface property' and 'moisture property' and then synthetic fabrics, blended fabrics and a silk depend on 'bulky/extensibility' and 'surface property' In correlation on objective hand and the preference for 'Saenghwal Hanbok'. people aren't satisfied with low resilience. high stiffness and low drape.

헤어 염색시 톤에 대한 이미지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ferences of Hair Color Tone Images)

  • 하경연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1-71
    • /
    • 2005
  • Everything of the world we live in has its own unique color. Those colors move us, enrich our every day life, and make us happy. When we have our hairs dyed by a color we like, we may look different, feeling confident and activated. We select a color fur our hair color design depending on such symbolic aspects as our life styles, self-images or personalities. Namely, we tend to choose a color the image of which we like. Such a tendency implies that it should be important to study hair colors in multi-faceted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people's preferences of hair color tone image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and physical variables and thereby, deter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preferences and variables. For this purpose, hair colors tones were classified into 11 categories and thereby, subjects' preferences of hair ton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image adjective comb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subjects' preferences of hair color tones depending on their such demographic variables as gender, age group and marital status, it was found that males tended to prefer dark tones more than females, and that those in their 30's or older tended to select dark tones more than those in their 20's. On the other hand, the married preferred medium bright tones more than the singles. Furthermore, such physical variables as body size, weight and apparel size were found correlated with hair color tone preferences. To be specific, shorter people desired more to have their hair colors match with their natural ones not to be less exposed to other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hair color tone preferences and weight and apparel size, it was found that fat people tended more to prefer medium bright color tones than normal or slim people.

  • PDF

방향성 소재 디자인을 위한 향과 색의 복합 감성 연구 (A study on Compound Sensibility of Odors and Colors for Aromatic Fabric Design)

  • 우승정;조길수
    • 감성과학
    • /
    • 제6권2호
    • /
    • pp.37-47
    • /
    • 2003
  • 본 연구는 감성이 인체의 감각기관에 의하여 감지된 외부의 자극에 대하여 인체가 느끼는 복합감정이라는 특성을 고려하여, 향이라는 후각적 감각과 색이라는 시각적 감각이 복합적으로 어떠한 감성으로 표현되는지 알아보았다. 우선 향과 색 감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감성평가 척도제작을 위해 선행 연구를 통하여 향, 색, 의복 색채에 중복되는 19쌍의 형용사 어휘를 채택하였고, 예비 조사를 통하여 향 관련 어휘 1쌍을 첨부하여 총 20쌍의 감성 형용사를 양극 7점 척도로 감성평가 척도를 작성하였다. 전문가 집단인 시각디자인 전공 남녀 각 15명씩을 대상으로 개별 실험을 통해 후로랄 향, 자스민 향, 라벤더 향, 모과 향의 네 가지 향에 대하여 연상되는 색상을 I.R.I Hue&Tone 색채 표에서 선택하게 하고, 향과 선택한 색에 대한 감성평가를 실시하였다 향과 색에 대한 감성구조는 '심미성', '낭만성', '개성', '강도', '자연성'의 다섯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향 종류별 선택 색상의 빈도 분석결과 차이를 보였고, 성별의 선택색상 역시 다르게 나타났다. 향과 색에 대한 감성 척도 평균값을 구하여 감성을 기존 연구에서 밝힌 종류별 향에 대한 감성과 비교한 결과 유사하였다.

  • PDF

실내공간의 이미지 전회비교 평가를 통한 공간유형별 지각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ve characteristics of space type through comparative evaluation on the image rotation of Interior Space)

  • 최계영;김종하;이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179-187
    • /
    • 2010
  • For the user-centered interior space design, a designer needs to carefully focus on the details from which the user must keenly observe or concentrate on the space and how to deliberately check the image of the space. Following this view, for the user-centered interior space design this study analyzes the way which the space is re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mage assessment.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space image change in the form of cross-comparison between one space and a rotated space. With analyzing of an eye fixation by showing the space, the space images of "concentration-dispersion" and "strengthening-weaken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space. it confirmed that the method of space perception was changed by rotated the space. Second, With changing quantities of image and extraction of deviation from adjective in survey, it quantitatively graps that respondents of feel in space perception by changing the space and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for process of space choi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can provide important basis to judge the changing of space perception by visual perception.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image change rate and deviation rate,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change with space change can be analyzed.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study provide the evidence to support the image change by space rotating.

감성공간디자인의 실증적 연구 - 몸의 움직임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Emotional Space Design Focused on human body movement -)

  • 오영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83-90
    • /
    • 2010
  • Emotional interest in the 1970s, Japan started from the technical and engineering beyond the scope, period late structuralist entering the world has been the subject of interest, as well as in academic research is becoming the main theory. In addition, communication between various disciplines such as humanities through the study of consilience and fusion, the human life to continue as a subject, its importance has risen. So this study are to design for the study of emotion through the human heart in space and how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can be validated in a study. GSD to evaluate the action (verb) and emotional words (adjective) related to two variables to measure the degree of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 experiment to find out. Picasso painting,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special', 'interesting', 'not interested', 'confused', 'fun', 'anxious', 'dark', 'cool', 'hard' to have relevance, such as the distribution of emotional words, and as a result of the move was a lot of work. This resul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arcane resistance of the cubist paintings that make a lot of body movements. In Renoir painting 'stable', 'warm', 'soft', 'easy to understand', 'bright', 'boring', 'curious', such as emotional words ranged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is behavior is less motion in space. This resul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Impressionist paintings that are less body movements. As a result, space design, emotional design in the evaluation (GS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at evaluated the feasibility and future of the emotional space of the design could be based in the area is considered.

인간의 감성을 고려한 보도경관 설계모형에 관한 연구 (Design of Sidewalk Landscape Considering Human Sensibility)

  • 이병주;박상명;남궁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9-127
    • /
    • 2006
  • 최근 도시의 급속한 발전과 시민들의 교통문화 의식이 향상되어 물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한 보다 나은 보행환경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소의 물리적인 설계 기준만을 충족시킨 기존의 보행공간이 보행 기피의 한 원인이 되고 있으므로 보행환경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보행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보행자들이 편안하고 쾌적하게 느끼는 보행환경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D 척도의 조사기법을 이용하여 인간의 정서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는 감성공학을 적용한 보행환경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D 척도에 의한 감성형용사의 감성인지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LISREL 모형을 이용하여 보도경관의 인지평가 모형과 보도 설계요소의 감성인지 모형을 구축하였다 그 결과 보도 설계시 감성공학을 도입함으로써 쾌적하고 편안한 보도환경 구현이 가능하며 가로수 등의 식재를 통한 녹색환경을 조화롭게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생물분류탐구과정에서 호르몬 변화를 이용한 부정감성예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Negative Emotion Prediction Model by Cortisol-Hormonal Change During the Biological Classification)

  • 박진선;이일선;이준기;권용주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185-19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생물분류탐구과정에서 나타나는 부정감성을 호르몬 변화로 예측할 수 있는 부정감성 예측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통합적인 과학 탐구가 가능하도록 깃털 분류 탐구 활동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호르몬 변화 측정에 문제가 없는 서울, 안산, 청주 소재 중학교 2학년 47명(남 18, 여 29)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개인별로 깃털 분류 탐구 활동을 수행하였다. 깃털 분류 탐구 활동 전과 후에 형용사 이모티콘 척도법을 이용하여 부정감성 검사를 하였고, 타액 시료를 채취하여 코르티솔 호르몬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정감성 변화량과 타액 코르티솔 변화량 사이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R=0.39, P<0.001)가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생물분류탐구에서 나타나는 타액 코르티솔 변화량을 이용한 부정감성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 PDF

감성적 접근방법에 의한 공중전화기 디자인에 대한 연구 (Public Telephone Design by Approach Method of Human Sensibility)

  • 홍현주;정석길;이상도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3호
    • /
    • pp.35-44
    • /
    • 1998
  • 자급제용 공중전화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소비자의 디자인 감성을 파악하는 것은 소비자의 개성추구 경향을 반영한 제품을 만드는 토대가 되며, 이를 통해 제품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자급제용 공중전화기에 대한 소비자 욕구(감성)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였다. 1차 도출된 168개의 감성어휘를 SD척도로 실시한 결과 35개의 감성어휘가 추출되었으며 이를 대상으로 SD척도 7단 구성을 이용하여 남녀 대학생 30명에게 기존 10개의 제품 이미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감성어휘의 요인들간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분류를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디자인요소와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를 예측하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감성어휘는 심미성, 기능성, 안전성의 3가지 요인으로 구분되었고, 디자인요소인 몸체, 핸드 셋, 다이얼 조립 판, 다이얼 버튼, 제어버튼, 칼라(몸체), 재질에 대해서 소비자가 느끼는 감성어휘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다. 본 연구는 기존의 디자이너 개인의 감각에 의존하는 것보다 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키는 공중전화기 디자인의 개발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