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ipokine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4초

백출추출물이 TNF-α 유도 지방세포염증과 인슐린저항성 회복에 미치는 영향 (Ameliorating Effec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on TNF-α-induced 3T3-L1 Adipocyte Dysfunction)

  • 빈창현;송춘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2권3호
    • /
    • pp.116-123
    • /
    • 2015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extracts(AMK) on the improvement of adipocyte dysfunction induced by TNF-${\alpha}$ in 3T3-L1 adipocytes. We examined whether AMK could directly influence the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in 3T3-L1 adipocytes. Methods : Potential roles of AMK in the lipolysis, production of inflammatory adipokines and ROS,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and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ults : Our data demonstrated that TNF-${\alpha}$ significantly increased lipolysis, levels of MCP-1, IL-6, and ROS and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while TNF-${\alpha}$ reduced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in adipocytes, suggesting that TNF-${\alpha}$ induced a condition with the occurrence of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Those alterations induced by TNF-${\alpha}$ were prevented by the treatment of AMK. AMK down-regulated the phosphorylation of ERK, JNK, and $I{\kappa}B{\alpha}$ protein and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PPAR{\gamma}$ and C/EBP${\alpha}$ on TNF-${\alpha}$-induced inflammation and insulin resistance. Conclusions : Thus, our results indicate that AMK can be used to prevent from the TNF-${\alpha}$-induced adipocyte dysfunction through MAPK, $NF{\kappa}B$ and $PPAR{\gamma}$ pathways.

An Exploration on physiology of Vasa, Meda, Majja in Ayurveda w.s.r. to adipose tissue.

  • Agrawal, Sonam;Verma, Vandana;Gehlot, Sangeeta
    • 셀메드
    • /
    • 제9권3호
    • /
    • pp.3.1-3.7
    • /
    • 2019
  • Recent researches on adipocytes in human and mice model have reported that the adipocytes are not only the fat depots but having role in maintenance of physiology and metabolism through adipokines released by them in accordance to their anatomical location. Ayurveda scholars too have mentioned different tissues like Vasa (inter muscular fat), Meda (visceral fat) and Majja (bone marrow) which are predominantly rich in adipocytes similar to adipose tissues, with a different sites, functions, compositions and pathological outcomes. The metabolic effect of Meda and Majja Dhatu on other tissues like muscle (Mamsa Dhatu), bone (Asthi Dhatu) and reproductive tissue (Shukra Dhatu) shows their functional interdependence.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rapeutic indications of Vasa and Majja under Snehakarma (oleation therapy) illustrates that clinical physiology of these tissues have been elaborated rather than general physiology.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mprehend the physiological aspect of Vasa, Meda and Majja retrospectively on the basis of their therapeutic indication for the management of variety of disorders, in the form of Sneha through different therapeutic procedures. An effort has been also taken to distinguish Vasa, Meda, Majja based on the functional peculiarities of adipocytes present in different sites of body like omentum, muscle and bone marrow. Critical observation of explanations of Vasa, Meda and Majja in Ayurveda compendia and advanced research in field of adipocytes reflected that Ayurveda scholars had deep insights regarding the various dimensions of adipocytes, most of which are in consistent with the advanced physiology and biomolecular studies of adipocytes.

임신 중 BDE-47 및 BDE-209에 노출된 어미와 새끼 Sprague-Dawley 랫드의 Global DNA 메틸화 양상과 비만 감수성과 연관된 유전자 발현 (Global DNA Methylation Patterns and Gene Expression Associated with Obesity-Susceptibility in Offspring of Pregnant Sprague-Dawley Rats Exposed to BDE-47 and BDE-209)

  • 박병민;윤옥진;이도훈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8-39
    • /
    • 2017
  •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은 후성학적 메커니즘과 비만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는 주요한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 중 하나이며, 난연제로 널리 쓰인다. 출생전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과 같은 내분비교란물질에 노출시 LINE-1 (long interspersed nuclear elements)의 global DNA 메틸화와 비만 위험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임신한 스프라그-돌리 백서를 이용하여 태반과 모유를 통하여 전달된 BDE-47, BDE-209가 LINE-1에서의 후성학적인 변화와 obesogen으로서 발달과정에 따른 유전적 비만 감수성의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보고자 하였다. 어미와 새끼에서 LINE-1의 광범위 DNA 메틸화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은 methylation-sensitive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 (MS-HRM), direct bisulfite sequencing와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을 사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MS-HRM 결과는 출생 후 4일의 노출군 새끼에서 (4마리 중 2마리) LINE-1의 광범위 DNA 저메틸화 양상을 보여주었지만, bisulfite sequencing은 노출군과 비노출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beta}$-산화 경로와 adipokines과 관련된 어미의 유전자 발현은 두 그룹간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새끼의 유전자 발현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beta}$-산화 경로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중 $PPAR-{\alpha}$를 제외하고는 출생 시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BDE-47, BDE-209의 동시 노출이 태반과 모유를 통해서 새끼에서의 후성학적인 변화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alpha}$ and PPAR-${\gamma}$ in the lung tissue of obese mice and the effect of rosiglitazone on proinflammatory cytokine expressions in the lung tissue

  • Ryu, Seung Lok;Shim, Jae Won;Kim, Duk Soo;Jung, Hye Lim;Park, Moon Soo;Park, Soo-Hee;Lee, Jinmi;Lee, Won-Young;Shim, Jung Ye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4호
    • /
    • pp.151-158
    • /
    • 2013
  • Purpose: We investigated the mRNA level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alpha}$, PPAR-${\gamma}$, adipokines, and cytokines in the lung tissue of lean and obese mice with and without ovalbumin (OVA) challenge, and the effect of rosiglitazone, a PPAR-${\gamma}$ agonist. Methods: We developed 6 mice models: OVA-challenged lean mice with and without rosiglitazone; obese mice with and without rosiglitazone; and OVA-challenged obese mice with and without rosiglitazone. We performed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leptin, leptin receptor, adiponectin,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PPAR-${\alpha}$ and PPAR-${\gamma}$ from the lung tissue and determined the cell counts and cytokine leve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Results: Mice with OVA challenge show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The lung mRNA levels of PPAR${\alpha}$ and PPAR-${\gamma}$ increased significantly in obese mice with OVA challenge compared to that in other types of mice and decreased after rosiglitazone administeration. Leptin and leptin receptor expression increased in obese mice with and without OVA challenge and decreased following rosiglitazone treatment. Adiponectin mRNA level increased in lean mice with OVA challenge. Lung VEGF, TNF-${\alpha}$, and TGF-${\beta}$ mRNA levels increased in obese mice with and without OVA challenge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ol mice. However, rosiglitazone reduced only TGF-${\beta}$ expression in obese mice, and even augmented VEGF expression in all types of mice. Rosiglitazone treatment did not reduce airway responsiveness, but increased neutrophils and macrophage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Conclusion: PPAR-${\alpha}$ and PPAR-${\gamma}$ expressions were upregulated in the lung tissue of OVA-challenged obese mice however, rosiglitazone treatment did not downregulate airway inflammation in these mice.

비만에서 adipose tissue 호르몬에 의한 metabolic signaling (Metabolic Signaling by Adipose Tissue Hormones in Obesity)

  • 장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87-294
    • /
    • 2023
  • 건강한 adipose tissue는 대사 항상성 통해 비만을 막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dipose tissue는 포도당과 지질 대사를 통해 에너지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양분 상태에 따라, adipose tissue는 지질을 저장하여 커지기도 하고, 지질 분해를 통해 에너지를 소비하기도 한다. 게다가, adipose tissue는 호르몬 분비기관으로 작용이 부각되고 있다. 다양한 adipose tissue 호르몬이 존재하며, metabolic signaling을 통해 다른장기와 조직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면, adipose tissue에서 분비하는 대표적인 펩타이드 호르몬(adipokine)은 섭식조절을 위해 뇌의 중추신경을 자극한다. 또한 adipocytes도 염증성 cytokines을 분비하여 adipose tissue의 immune cells을 표적으로 한다. 당연하게도, adipocytes는 지질에서 만들어지는 호르몬(lipokine)이 분비되어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여 paracrine 및 endocrine으로 영향을 준다. 이러한 adipose tissue 호르몬에 의한 장기 조직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부적인 adipocytes 및 다른 표적 세포에서 metabolic sig- naling이 규명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과체중이나 비만의 건강하지 못한 adipose tissue에서는 metabolic sig- naling의 비정상적인 조절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다. 새로운 adipose metabolic signaling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는 항 비만 약물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본 총설논문은 비만과 대사질환 관점에서 adipose tissue 호르몬과 metabolic signaling의 최신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한다.

HFD 유도 C57BL/6J 비만 mice에서 AMPK/ACC/CPT-1 경로 촉진을 통한 산딸기 추출물의 비만 및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에 대한 보호 효과 (Protective Effect of Rubus crataegifolius Extracts Against Obesity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via Promotion of AMPK/ACC/CPT-1 Pathway in HFD-induced C57BL/6J Obese Mice)

  • 이영익;이희진;표수진;박용현;이명민;손호용;조진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967-977
    • /
    • 2023
  • Rubus crataegifolius (RC)는 장미과에 속하는 전통적인 아시아 약용 식물이다. RC 열매는 항산화 작용을 통해 성인병을 예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RC 열매 추출물(RCex)이 비만과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에 미치는 영향을 동물 모델을 통해 평가하였다. 28마리의 수컷 C57BL/6J 마우스에 8주간 비만을 유도한 후, 추출물을 8주간 경구 투여하였다. 그룹 1은 일반 대조군으로 표준사료를 섭취하였다. 그룹 2는 HFD 대조군으로, 그룹 3에는 심바스타틴(6.5 mg/kg/일)을, 그룹 4에는 RCex (200 mg/kg)을 투여하였다. RCex투여는 실험 마우스의 체중, 지방 조직, 간 무게를 감소시켰으며, 또한 지질 대사(ALT, AST, TC, TG, LDL, HDL)를 포함한 생화학적 바이오마커를 개선하였다. AMPK의 활성화는 지방생성 유전자(LXR, SREBP-1c, FAS, ACC1)의 발현을 감소시켰으며, RCex에 의한 CPT 활성 증진 효과를 검증하였다. RCex는 또한 에너지 소비 및 신진대사와 관련된 호르몬(adiponectin 및 leptin)의 혈장 수준에도 영향을 미쳤다. 또한, RCex가 HFD로 유도된 비만 mice의 포도당 불내성을 개선했음을 확인 하였다. RCex는 AMPK의 인산화를 통해 지방산 산화 및 지방산 합성을 조절함으로써 항비만 및 항NAFLD 효과를 가짐을 처음으로 입증하였다. 이는 R. crataegifolius가 비만 및 관련 NAFLD 예방에 좋은 보충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달맞이순 (Oenothera laciniata) 에탄올 추출물 섭취가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 마우스에서 항산화 및 비만억제효과 (Antioxidant and antiobesity activities of oral treatment with ethanol extract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곽충실;김미주;김선기;박순영;김인규;강흔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6호
    • /
    • pp.529-5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달맞이순의 항산화 및 항비만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달맞이순 50% 에탄올 추출물 (OLE)을 이용하여 4가지 방법으로 in vitro 항산화효과를 측정하였고, C57BL/6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 (45%Kcal fat)를 14주 동안 섭취시켜 비만을 유도하면서 OLE를 경구 투여하여 항비만효과와 in vivo 항산화효과를 알아보았다. OLE의 DPPH 라디칼 소거능과 SOD 유사 활성을 측정한 결과 IC50은 각각 26.2 ㎍/mL과 327.6 ㎍/mL이었으며, FRAP 측정 결과 100 ㎍/mL 농도에서 56.7 ㎍ AA eq./mL의 효능을 보였다. 또한, hUC-MSC 세포에 OLE (200 ㎍/mL)를 처리 한 결과 노화로 인하여 감소된 GSH 수준을 65.1% 증가시켰다. 한편,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와 함께 OLE를 저수준 (50 mg/kg BW; OL50)과 고수준 (100 mg/kg BW; OL100)으로 경구 투여한 결과 체중증가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각각 41.5%와 42.2% 감소하였고, 내장지방량은 각각 40.5%와 45.9% 감소하였으며, 부고환지방세포의 크기는 각각 33.1%와 35.3% 감소하여 매우 우수한 비만억제효과를 보였다 (p < 0.05). OLE의 경구 투여는 고지방식이 대조군에 비하여 혈중 렙틴 농도와 중성지방 농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특히 OL100군에서는 동맥경화지수 및 혈중 MDA 농도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마우스 지방조직에서 측정한 catalase와 SOD-1의 활성은 고지방식이섭취로 인하여 증가하였으나 OLE 경구 투여 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5). 또한, 부고환 지방에서 지방대사 관련 인자들의 mRNA 발현량을 RT-PCR로 측정한 결과 OLE의 경구 투여는 고지방식이 섭취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렙틴, PPARγ와 FAS의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킨 반면 고지방식이 섭취로 감소되었던 아디포넥틴의 발현량은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p < 0.05). 고지방식이로 인하여 증가하였던 CPT-1의 발현량은 OLE 투여시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SREBP-1c의 발현량은 실험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in vitro 항산화효과가 우수한 OLE를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게 경구 투여하였을 때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를 낮추고, 지방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체중과 내장 지방량의 증가를 억제시키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OLE는 항산화기능식품 또는 비만 및 비만관련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기능성 천연소재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이 마우스의 조직 아연 농도와 아연수송체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fat diet induced obesity on tissue zinc concentrations and zinc transporter expressions in mice)

  • 민별초롱;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1권6호
    • /
    • pp.489-49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군과 저지방식이를 공급한 대조군에서 각 조직의 아연 농도와 아연수송체 발현 수준을 비교하여, 비만 상태가 아연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C57BL/6J mice를 두 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15마리씩 고지방식이 (비만군) 또는 저지방식이 (대조군)를 총 15주간 공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비만군은 대조군에 비해 체중 증가량, 부위별 지방조직, 혈청과 간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농도, 혈청 ALT 및 AST 활성 등이 모두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혈청 렙틴과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의 농도도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조직 별 아연 농도를 비교한 결과, 간, 소장, 신장, 췌장 등의 측정한 모든 조직에서 비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대변으로 배설되는 아연 함량은 비만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 아연 농도의 경우 두 군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혈청 내 아연-의존 금속효소인 ALP 활성은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나 아연의 기능적인 결핍을 확인하였다. 내인성 아연의 체외 배출에 관여하는 췌장 조직에서의 ZnT1 mRNA 수준은 비만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식이 아연 흡수에 관여하는 소장에서의 Zip4와 ZnT1의 mRNA 수준은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간 조직의 경우, ZnT1과 Zip10 mRNA이 모두 비만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비만 상태는 아연의 배설 증가와 조직 내 아연 농도 감소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아연 대사의 변화는 췌장과 간 조직의 아연 수송체 발현 수준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비만인들에서 아연 영양상태가 결핍되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비만으로 인한 아연 대사의 이상 (dysfunction)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아연 수송체 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한 이해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