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sion properties

검색결과 1,680건 처리시간 0.027초

Expression Analysis of the Ligand to Ly-6E.1 Mouse Hematopoietic Stem Cell Antigen

  • Hwang, Dae-Youn;Min, Dul-Lei;Sonn, Chung-Hee;Chang, Mi-Ra;Lee, Mi-Hyun;Paik, Sang-Gi;Kim, Young-Sa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권1호
    • /
    • pp.157-164
    • /
    • 1997
  • Ly-6E.1 antigen was proposed as a regulatory molecule of T lymphocyte activation, a hematopoietic stem cell marker, a memory cell marker, and an adhesion molecule. Though there were several reports suggesting the presence of Ly-6 lig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ligand was not yet performed, As an attempt to screen the expression of Ly-6E.1 ligand, we prepared a probe for detecting Ly-6E.1 ligand by producing a fusion protein between Ly-6E.1 and $hlgC_{r1}$, A mammalian cell expression vector with Ly-6E.$1/hlgC_{r1}$ chimeric cDNA was transfected in SP2/0-Ag14 myeloma cells, and stable transfectants were selected. The fusion protein was produced as a dimer and maintained the epitopes for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 for Ly-6E.1 and for anti-human lgG antibody. The purified fusion protein through Gammabind G column was used for FACS analyses for the expression of Ly-6E.1 ligand. The fusion protein interacted with several cell lines originating from B cells, T cells, or monocytes. The fusion Protein also strongly stained bone marrow, lymph node, and spleen cells, but thymic cells weakly, if any. The staining was more obvious in C57BL/6 $(Ly-6^b)$ than Balb/c $(Ly-6^a)$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 of Ly-6E.1 with Ly-6E.1 ligand may function both in the stem cell environment and in the activation of mature lymphocytes. The fusion protein may be a valuable tool in characterization of biochemical properties of the Ly-6E.1 ligand and, further, in isolating its cDNA.

  • PDF

모발 내부 지질 함량이 모발 부피 변화 및 잔머리 프리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ipid Contents in Human Hair on the Hair Volume and Hair Frizzing Phenomena)

  • 송상훈;임병택;황병우;주장호;손성길;강내규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9-103
    • /
    • 2020
  • 모발이 부스스하게 떠서 부피가 커졌거나 정발된 모발에서 이탈한 잔머리를 프리즈 모발이라고 하는데 어떤 요인이 프리즈 현상을 일으키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모발 내부 지질은 탄력, 인장강도 등 물성과 관계되는데, 프리즈에 관해서는 인종 간 연구에서 프리즈 모발이 많은 아프리칸 모발과 지질량과의 관계가 보고되어 있다. 모발 외부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모발의 내부 지질량을 조절하는 방법은 세정에 의한 소실이 유일하지만 세정횟수와 지질 소실량은 비례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컨디셔닝 폴리머와 극성이 서로 다른 오일을 사용한 샴푸 처방으로 모발을 세정하여 모발 내부 지질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오일의 극성도가 높을수록 지질량이 많이 보존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방법을 인디언 프리즈 모발에 적용하여 프리즈 정도를 평가한 결과 지질량이 적은 모발일수록 부피가 커지는 볼륨 프리즈 정도가 심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잔머리 프리즈 모발 부피는 지질량이 많은 모발에서 더 넓게 관찰되었다. 아울러 모발 표면 마찰력은 처리한 오일에 따른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모발 프리징은 오일간 점착력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모발 내 지질량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티 프리즈 기술을 구현하는데 모발 내부 지질 조절이 중요한 해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 합성과 성능평가 (Synthesis and performance assessment of modified epoxy resins containing fatty acid)

  • 이동찬;김진욱;최중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34-64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약용매에서 용해될 수 있는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였고, 합성한 수지의 용해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합성하기 위하여 비스페놀A형, 페놀 노볼락형 및 오르소 크레졸 노볼락형의 3종류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였고, 여기에 지방산, dodecyl phenol (DP), toluene diisocyanate (TDI)를 도입하였다. 합성조건은 당량기준으로 에폭시수지/지방산 = 1/0.5, 지방산/DP = 0.25/0.25, TDI 0.5이었고, 에폭시수지 종류에 따라 12종류의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가 합성되었다. 합성된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에 대하여 점도 및 용매${\surd}$가용성을 평가한 결과, 벤젠고리와 글리시딜기의 함량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약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용매에 용해성이 우수한 지방산 변성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투명 도료를 제조하여 물성을 평가한 결과,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지방산/DP/TDI의 당량비가 1.0/0.25/0.25/0.5인 것과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수지/지방산/DP의 당량비가 1.0/0.25/0.25인 조성에서 건조시간, 접착력, 도막경도, 내충격성, 내알칼리성에서 양호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콘크리트 피착체의 표면수율에 따른 단면복구용 고유동성 SBR 개질 모르타르의 부착특성 (Adhesive Properties of High Flowable SBR-modified Mortar for Concrete Patching Material Dependent on Surface Water Ratio of Concrete Substrate)

  • 도정윤;김두기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2호
    • /
    • pp.124-1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고유동성의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 성능을 바탕으로 콘크리트의 보수용 재료에 매우 중요한 요구성능인 부착강도에 대한 피착체의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수량의 영향을 검토하는 연구가 수행하였다.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기초적인 성능을 토대로 부착강도, 잔갈림성, 재료분리 저항성이 좋은 시험체를 선택하였다. 시험체는 C:F=1:1인 경우 P/C=20%, 30%의 시험체 2개, C:F=1:3인 경우 P/C=50%의 시험체 1개, 총 3개가 선택되었으며 이 3개의 배합에 대하여 피착체의 표면수량에 따른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표면수는 콘크리트 피착면의 단위 면적 ($cm^2$) 당 각각 0, 0.006, 0.012, 0.017, 0.024 g이 균등하게 살포되었으며, 이에 따른 연도변화, 플로우값, 부착강도, 부착파괴형상, 내균열성 및 재료분리여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콘크리트 피착체에 살포된 표면수는 고유동성 SBR 개질 시멘트 모르타르의 부착강도를 증진하는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실크필름에 배양한 망막색소상피세포의 거동 (Behavior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s Cultured on Silk Films)

  • 이소진;김혜윤;김슬지;양재원;이선의;박찬흠;주천기;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3호
    • /
    • pp.364-370
    • /
    • 2014
  • 망막색소상피(RPE)는 건강한 망막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RPE의 퇴화는 많은 망막질병을 유발한다. RPE 이식은 최근 망막 퇴화에 대한 가능성 있는 치료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RPE 세포를 안전하게 이식하기 위해서는 지지체가 필요하므로 독특한 기계적 성질과 생체적합성을 갖는 실크를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크필름의 FTIR, 접촉각 및 생분해성을 측정한 후, RPE 세포를 실크필름에 파종하여 그 영향을 확인하였다. MTT 분석, SEM, 면역형광염색, RT-PCR을 통해 세포의 부착, 생존도, 형태유지, 특이적 mRNA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크필름에 배양한 RPE 세포의 부착, 증식 및 표현형 유지가 뛰어남을 확인함으로써 실크필름의 망막 재생을 위한 조직 공학적 지지체로의 응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복합 폐플라스틱 골재 치환 콘크리트의 기초 물성 평가 (Characterization of Concrete Composites with Mixed Plastic Waste Aggregates)

  • 이준;김경민;조영근;김호규;김영욱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317-324
    • /
    • 2020
  • 플라스틱은 우수한 물성과 가공성 및 경제성으로 소비가 급증하고 있는 반면에, 분리,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재활용률이 저조한 실정이다. 특히, 생활폐기물 발생 폐플라스틱은 이물질과 혼합배출로 분리, 선별 공정 비용이 증가하여 재활용이 상대적으로 저조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활폐기물 발생 복합 폐플라스틱을 콘크리트용 골재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폐플라스틱 종류(복합재질 1종류 및 단일 재질 2종류) 및 치환율(잔골재 용적 대비 25%, 50% 및 75%)에 따른 콘크리트 특성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복합재질의 폐플라스틱 굵은 골재는 양호한 입도 분포로 부순 굵은 골재 대비 밀도는 낮고 흡수율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단일재질의 폐플라스틱 잔골재는 균일한 크기의 입자로 구성되었으며 부순 잔골재 대비 밀도와 흡수율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합재질 굵은 골재 치환 콘크리트는 가장 많은 폐플라스틱 치환량에도 양호한 입도 분포로 재료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공기랑도 증가량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플라스틱 골재의 낮은 강도, 소수성으로 인한 시멘트 수화반응 억제, 폐플라스틱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 사이의 낮은 부착력 등으로 폐플라스틱 골재 치환량이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는 감소하였으며, 입도 분포가 양호한 복합재질의 폐플라스틱 굵은 골재를 치환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휨강도의 저하 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폴리에틸렌 이민과 혼합된 PEO 복합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에 미치는 실리카 필러 첨가 효과 (Silica Filler Addition Effect on the Ion Conductivity of PEO Composite Electrolytes Blended with Poly(ethylene imine))

  • 김주현;김광만;이영기;정용주;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65-469
    • /
    • 2011
  • 본 연구는 이온전도도와 계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EO, poly(ethylene oxide)와 PEI, poly(ethylenimine)의 블렌드에 무기 필러인 실리카를 첨가한 고분자 전해질을 조사하였다. 리튬염으로 $LiClO_4$를 사용하고 무기 필러로서 실리카($SiO_2$)를 고분자 복합체 전해질에 첨가해서 전해질 응용 가능성 측정을 위해 AC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임피던스 측정에서 무기 필러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원의 크기가 점점 감소하는 것은, 이온전도도가 첨가량이 20 wt%가 될 때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첨가량이 20 wt% 이상이 되었을 때는 앞서 측정한 이온전도도와 큰 차이가 없어 무기 필러가 포화 상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XRD 분석을 이용하여 PEO의 회절 피크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는데, 무기 필러의 첨가로 인해 결정화도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전해질 막의 형태학 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SEM 분석을 이용하였는데, 실리카 함량이 높을 때, 더 비균일한 형태학적 구조, 즉 실리카가 강한 결착력을 지니는 PEI로 인해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보였다.

A STUDY ON THE ADHESION OF A SOFT LINER CONTAINING 4-META TO THE BASE METAL ALLOY AND ITS VISCOELASTIC PROPERTY

  • Park Hyun-Joo;Kim Chang-Whe;Kim Yung-Soo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32-746
    • /
    • 2003
  • Statement of problem. Soft lining materials, also referred to as tissue conditioning materials, tissue heating materials, relining materials, soft liners or tissue conditioners, were first introduced to dentistry by a plastic manufacturer in 1959.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materials to the dental field, their material properties have been continually improved through the effort of many researchers. Soft lining materials have become widely accepted, particularly by prosthodontists, because of their numerous clinical advantages and ease of manipulation. Unfortunately, few reports have been issued upon the topic of increasing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base metal alloy used in cast denture bases and PMMA soft liner modified with 4-META, nor upon the pattern of debonding and material change in wet environment like a intra oral situation.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comparing the bond strength between base metal alloy used for the cast denture bases and PMMA soft liner modified with 4-META, and describing the pattern of debonding and material property change in wet environment like the intraoral situation. Material and Methods. This study consisted of four experiments: 1. The in vitro measurement of shear bond strength of the adhesive soft liner. 2. The in vitro measurement of shear bond strength of the adhesive soft liner after 2 weeks of aging. 3. A comparison of debonding patterns. 4. An evaluation the Relation time of modified soft liner. The soft liner used in this study was commercially available as Coe-soft (GC America.IL.,USA), which is provided in forms of powder and liquid. This is a PMMA soft liner commonly used in dental clinics. The metal primer used in this study was 4-META containing primer packed in Meta fast denture base resin (Sun Medical Co., Osaka, Japan). The specimens were formed in a single lap joint desist which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apparent shear bond strength of adhesively bonded metal plate by tensile loading. Using the $20{\times}20mm$ transparent grid, percent area of adhesive soft liner remaining on the shear area was calculated to classify the debonding patterns. To evaluate the change of the initial flow of the modified adhesive soft liner, the gelation time was measured with an oscillating rheometer (Haake RS150W/ TC50, Haake Co., Germany). It was a stress control and parallel plate type with the diameter of 35mm. Conclusion. Within the condi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s. 1.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of bond strength in the 5% 4-META, 10% 4-META containing groups and in the primer coated groups versus the control group(P<0.05). 2. After 2 weeks of aging, no significant increase in bond strength was found except for the group containing 10% 4-META (P<0.05). 3. The gelation times of the modified soft liner were 9.3 minutes for the 5% 4-META containing liner and 11.5 minutes for the 10% 4-META liner. 4. The debonding patterns of the 4-META containing group after 2 weeks of aging were similar to those of immediaely after preparation, but the debonding pattern of the primer group showed more adhesive failure after 2 weeks of aging.

PEGA/BMA 공중합체의 코팅을 통해 CD34 단일클론항체가 고정화된 폴리우레탄 표면 (CD34 Monoclonal Antibody-Immobilization on Polyurethane Surface by Poly(PEGA-co-BMA) Coating)

  • 정윤기;황인규;박기동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602-607
    • /
    • 2009
  • 심혈관용 소재로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포획을 통해 in vivo 내피세포화가 가능한 표면을 가진 폴리우레탄 표면을 개발하였다.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점착을 유도하는 CD34 단일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 mAb)를 표면에 도입하기 위해, poly (poly (ethylene glycol) acrylate-co-butyl methacrylate), poly (PEGA-co-BMA) 공중합체가 합성되었고, 이를 폴리우레탄 표면에 코팅하여 CD34 단일클론항체를 화학적으로 고정화하였다. 중합된 공중합체의 $^1H$-NMR 분석은 원하는 조성을 가진 poly(PEGA-co-BMA)의 합성이 가능함을 확인해 주었다. 이전 연구에서 개발된 PEG가 그래프트된 폴리우레탄과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조된 poly(PEGA-co-BMA)가 코팅된 폴리우레탄 표면이 CD34 mAb의 고정화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CD34 mAb의 표면밀도와 활성도가 32배 이상 증가된 결과를 통해 증명되었다. 개질된 폴리우레탄 표면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XPS와 물 접촉각, AFM에 의해 분석되었으며, 각각의 개질된 표면에 따른 표면의 특이적 성질을 잘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들은 poly(PEGA-co-BMA)의 코팅을 통해 제조된 표면이 CD34 mAb의 고정화에 효과적임을 설명하였으며, 실제로 심혈관용 소재의 개발에 적용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증명해 주었다.

각막 내피세포 성장 거동에 대한 락타이드 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 필름과 세포외 기질의 효과 (Effect of Extracellular Matrix on the Growth Behavior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to Poly(lactic-co-glycolic acid) Film)

  • 김은영;김혜민;송정은;이현수;주천기;강길선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702-707
    • /
    • 2014
  • 각막 내피세포는 각막 가장 안쪽의 단일 세포층이며, 데스메막 위에 놓여있다. 데스메막은 피브로넥틴, 콜라겐, 라미닌, 단백당 등의 포함하는 세포외 기질이라 불리는 다양한 단백질들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조직공학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락타이드 글리콜라이드 공중합체를 이용하여 투명한 필름을 제작하였으며, 표면에 다양한 부착 분자들(피브로넥틴, 콜라겐 타입 I, IV, 라미닌, FNC 코팅 믹스)을 코팅한 후, 세포 형태 관찰, 세포 증식 및 부착, ZO-1과 $Na^+/K^+-ATPase$의 발현을 확인하였으며, RT-PCR을 통해 각막 내피세포의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실험결과, in vitro 상에서 PLGA 필름은 각막내피세포 전달체로서 역할을 하며 코팅된 세포외 기질들은 각막 내피세포의 거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