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herent cell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ison of surface roughness effects upon the attachment of osteoblastic progenitor MC3T3-E1 cells and inflammatory RAW 264.7 cells to a titanium disc

  • Noh, Se-Ra;Im, Tae-Yoon;Lee, Eun-Young;Jang, Ha-Na;Dung, Tran D.;Kim, Myung-Soo;Yoo, 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37-42
    • /
    • 2009
  • The attachment and adhesion of RAW 264.7 and MC3T3-E1 cells to titanium (Ti) discs with various degrees of roughness was investigated. The attachment, adhesion, and proliferation of these cells were evaluated after 4 hr, 24 hr and 7 day incubations. Both RAW 264.7 and MC3T3-E1 cells showed a time-dependant correlation between attachment and adhesion on the surface of the titanium discs. Both types of cells tended to have higher survival rate on these discs as the surface roughness increased. The percentage of adherent inflammatory RAW 264.7 cells was greater than MC3T3-E1 cells at 24 hr, but this was reversed at 7 days in culture. The morphology of osteoblastic MC3T3-E1 cells at 24 hr, determined using a surface emission microscope (SEM), appeared flattened and spread out while inflammatory RAW 264.7 cells were predominantly spherical in shape. The adhesion of both cell types on the titanium discs was dependant on the levels of fibronectin adsorbed on the disc surface, indicating that serum constituents modulate the efficient adhesion of these cells. Our data indicate that the cellular response to the titanium surface is dependent on the types of cells, surface roughness and serum constituents.

Biotransformation of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s of Ginseng Saponin to Biologically Active Fatty-acid Conjugates

  • Hasegawa Hideo;Saiki Ikuo
    • 고려인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고려인삼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317-334
    • /
    • 2002
  • Ginsenosides are metabolized (deglycosylated) by intestinal bacteria to active forms after oral administration. 20(S)-Protopanaxadiol $20-O-{\beta}-D-glucopyranoside$ (M1) and 20(S)-protopanaxatriol (M4) are the main intestinal bacterial metabolites (IBMs) of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type glycosides. M1 was selectively accumulated into the liver soon after its intravenous (i.v.) administration to mice, and mostly excreted as bile; however, some M1 was transformed to fatty acid ester (EMl) in the liver. EM1 was isolated from rats in a recovery dose of approximately $24mol\%.$ Structural analysis indicated that EM1 comprised a family of fatty acid mono-esters of M1. Because EM1 was not excreted as bile as Ml was, it was accumulated in the liver longer than M1. The in vitro cytotoxicity of M1 was attenuated by fatty acid esterification, implying that esterification is a detoxification reaction. However, esterified M1 (EM1) inhibited the growth of B16 melanoma more than Ml in vivo. The in vivo antitumor activity paralleled with the pharmacokinetic behavior. In the case of M4, orally administered M4 was absorbed from the small intestine into the mesenteric lymphatics followed by the rapid esterification of M4 with fatty acids and its spreading to other organs in the body and excretion as bile. The administration of M4 prior to tumor injection abrogated the enhanced lung metastasis in the mice pretreated with 2-chloroadenosine more effectively than in those pretreated with anti-asialo GMl. Both EM1 and EM4 did not directly affect tumor growth in vitro, whereas EM1 promoted tumor cell lysis by lymphocytes, particularly non-adherent splenocytes, and EM4 stimulated splenic NK cells to become cytotoxic to tumor cells. Thus, the esterification of IBM with fatty acids potentiated the antitumor activity of parental IBM through delay of the clearance and through immunostim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atty acid conjugates of IBMs may be the real active principles of ginsenosides in the body.

  • PDF

PSII를 이용한 마그네슘 이온 주입 임플란트에 대한 MC3T3-E1 골모양 세포 반응 연구 (Cell study on the Magnesium ion implanted surface with PSII)

  • 신형주;김대곤;박찬진;조리라;이희수;차민상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61-374
    • /
    • 2009
  • 임플란트와 골 반응을 개선하기 위한 생화학적 표면 처리 방법으로 다양한 이온을 이용한 이온주입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플라즈마 상태의 마그네슘 이온을 임플란트 표면에 주입하여 이온 피막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표면 처리를 한 임플란트에 대한 MC3T3-E1 골모양 세포의 초기 반응을 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티타늄 디스크를 네 가지 군으로 표면처리를 달리하였다. A군은 연마만 하였고 B군은 연마 후 마그네슘 이온을 주입하였다. C군은 알루미늄 입자분사 하였고, D군은 알루미늄 입자분사 후 마그네슘 이온을 주입하였다. 조골세포의 반응을 세포 부착, 증식, 분화의 단계별로 평가하였다. 세포 부착을 평가하기 위해 MC3T3-E1 골모양 세포를 4시간, 24시간, 48시간 금속 표면에서 배양하여 주사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포분화도평가는 세포를 4일간 배양 후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 분석을 통해 시행하였다. 세포외기질의 세포내 발현은 RT-PCR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사현미경 관찰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포 부착량은 증가하였으며, 마그네슘 이온을 주입한 시편에서 더 많은 양 세포 증식이 관찰되었으며 분화정도도 더 높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2. RT-PCR 분석시 알루미늄 입자분사 후 마그네슘 이온을 주입한 시편에서 c-fos와 osteonectin의 발현이 증가된 소견을 보였다. 3. 알칼리성 인산분해효소 활성도 분석시 금속 표면처리 방법에 따른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Mg 이온이 주입된 군의 세포가 Mg 이온이 주입되지 않은 군보다 초기의 세포반응이 더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허혈-재관류에 의해 유도된 백혈구-혈관내피세포 유착에 대한 Videomicroscopy 영상소견 (Leukocyte-Endothelial Cell Adhesion Induced by Ischemia and Reperfusion Observed with in vivo Videomicroscopy)

  • 이영배;강한석;박신병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0호
    • /
    • pp.1289-1295
    • /
    • 2000
  • Purpose : Recent evidence suggests a possible role for leukocytes in brain injury following ischemia and reperf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temporal profile of ischemic tissue damage and leukocyte response after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MCAO) with reperfusion in the mouse. Methods : Focal cerebral ischemia was made by temporary occluding of the stem of the proximal MCA. Two groups of the mouse were investigated : (1) sham operation(n=10), and (2)those having the arterial occlusion released after 90 minute(n=20). By 4 hours(n=10) and 24 hours(n=10) after the onset of ischemia-reperfusion, fluorescein videoimages were under-taken in the pial venules of the mouse using a closed cranial window technique. Rhodamine 6G was administered as a $80-100{\mu}l/min$ i.v. loading dose and a $30-40{\mu}l/min$ i.v. maintenance dose in saline to selectively label circulating leukocytes. Neuropathologic evaluation for brain injury was accomplished using the histochemical stain 2,3,5-triphen-yltetrazolium chloride(TTC) and hematoxylin and eosin(H & E) stain. Results : The mean number of adherent leukocytes to cerebral venules in the 90 minutes MCAO and 24 hours reperfusion group were $306{\pm}24$ compared with $72{\pm}8$ in the sham operation group. In the TTC staining method, the cortical infarct affecting 34.8% of hemispheric volume were created in all of animals (n=10) undergoing 90 minute MCAO with 24 hours reperfusion, but the infarcted area were not found in the other(sham operation and 90 minute MCAO with 4 hours reperfusion)groups. In the H & E stain, the brain tissue following 90 minute MCAO with 4 hours reperfusion revealed only a pyknosis of the nuclei with shrunken cytoplasm, but infiltrated leukocytes were not observed. After 24 hours of reperfusion, a many leukocytes were infiltrated within parenchyma and blood vessle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feasiblity of continous in vivo monitoring of leukocyte adherence in cerebral venules and suggest that reperfusion induced leukocyte adherence to venular endothelium may contribute to tissue injury following focal cerebral ischemia.

  • PDF

Progesterone의 이화(異化)효소, 20α-hydroxysteroid dehydrogenase의 활성 및 활용에 관한 연구 II. 비장내(脾臟內) macrophage의 활성 및 난소에서의 조직학적 변화 (Activity and application of 20α-hydroxysteroid dehydrogenase in rat II. Changes in activities of the splenic macrophages and ovarian histological findings)

  • 강정부;곽수동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73-880
    • /
    • 1994
  • Progesterone catabolizing enzyme, the enzyme $20{\alpha}$-hydroxysteroid deltydrgenase($20{\alpha}$-HSD) is pivotal in the regulation of ovarian function in rodents, which catabolizes progesterone into biologically inactive $20{\alpha}$ hydroxypregn-4-en-3-one($20{\alpha}$-OHP).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he influence of $20{\alpha}$-HSD activity to ovarian function and regulation such as ovulation, formation of corpus luteum, maintenance of estrous cycles and pregnancy, we investigated changes in activities of the splenic macrophages and ovarian histological findings in rat. During the estrous cycles, the ratious of phagocytotic macrophage in splenic adherent cells were highest on the proestrous, but they were lowest on metestrous. During the pregnancy, the ratious of phagocytotic macrophages in splenic adhrent cells were lowest by 1 day and then significantly increased toward the pregnancy, which were highest pregnancy on day 12. On histological findings in rat ovary, the mean number of growing, antral and mature follicles were 15.9(72.9%), 3.4(15.9%), and 2.4(11.2%), respectively. Growing follicles reached to lowest number at diestrus and mature follicle reached to lowest number at metestrus. The numbers of corpus luteums per tissue section of the ovary were 14.4 and the number of normal and atretic follicles were 11.0(76.4%) and 3.4(23.6%), respectively. The number of corpus luteum with vacolated cell were 1.7(11.8%). In this study suggests splenic macrophages are as a source of the substance which maintainer progesterone secretion from luteal cells, and are recognized pass the vessels and reside in the fresh corpora lutea soon after ovulation via inflammatory reactions, and these macrophages are felt to have a stimulatory effect on the formation of cropora lutea. In view of the results include previous report, ovarian $20{\alph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enzyme and splenic macrophages consider play central role in the control and maintenance of estrous cycles and pregnancy, and also applicable to both clinical and research in a wide variety such as control of reproductive system.

  • PDF

마우스 Collectin-Placenta 1 유전자의 발현 연구 (Expression Study of The Mouse Collectin-Placenta 1 Gene)

  • 김근호;김연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477-484
    • /
    • 2019
  • 포유류에 존재하는 Collectin-Placenta 1 (CL-P1)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scavenger 수용체는 주로 내피 세포, 대식 세포 및 평활근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분자이다. 이들 분자는 산화 된 저밀도 지질 단백질 (oxLDL)에 결합하여 처리 할 수 있는 세포 표면 당 단백질이다. 이들 분자 중 케르세틴이 CL-P1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였다. 케르세틴은 산화 반응을 담당하는 자유 라디칼의 제거제 역할을 하여 산화를 중지시키는 항산화제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우스 CL-P1 유전자 promoter 부분의 전사 시작 점부터 -500 번째 염기까지의 단편을 DNA 중합효소를 이용하여 클로닝 하였다. 그 후에 대식세포 계열인 RAW264.7 및 섬유아세포계열의 NIH3T3 세포에 도입하여 케르세틴이 CL-P1 유전자 발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이 부위에는 세포주기 조절 인자인 E2F 결합부위를 비롯해서 여러 종류의 전사 인자가 결합하는 염기서열이 다수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500염기 단편을 pGL4.10 기본 벡터 및 프로모터에 연결시킨 후 세포에 도입시켰다. 그리고 배양 중에 케르세틴을 처리하여 유전자 발현양을 형광 색소 발현기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유전자 발현이 시작되는 앞쪽 부분의 -250에서 -350사이의 염기들이 CL-P1 단백질을 만드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E2F결합 부위가 결정적인 것 이라는 것을 DNA 돌연변이 실험을 통해 확인 하였다. 또한 부착 세포인 RAW264.7 배양액에 케르세틴을 첨가 한 결과, 배양용기 표면에서 탈락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즉 발현된 CL-P1단백질이 케르세틴에 의해 세표 표면의 부착 분자에도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Modified simulated body fluid에 침전한 티타늄 표면에서 침전 기간에 따라 나타나는 파골 세포의 분화억제 양상 (Inhibi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based on precipitation time of titanium surfaces immersed in modified simulated body fluid)

  • 장현민;허성주;김성균;곽재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42-149
    • /
    • 2019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티타늄 디스크를 Modified simulated body fluid (mSBF)에 침전시켰을 때, 침전 시킨 기간에 따른 파골 세포 분화 억제 변화 양상을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Machined surface와 anodized surface를 가진 티타늄 합금(Ti grade III)디스크를 각각 증류수와 mSBF에 침전 시켰다. 침전 기간은 7일, 14일, 21일, 28일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기간 동안 대조군은 증류수에 침전하였다. 파골 세포로 분화 가능한 RAW 264.7 세포를 점주하여 침전 기간에 따른 부착된 세포 수 측정, TRAP 활성 측정, western blot을 통한 NFATc1의 발현양상을 측정하였다. 결과: Machined surface와 anodized surface 모두에서 mSBF에14일 이상 침전하였을 때, 파골 세포의 분화를 억제하는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침전 기간과 세포의 부착은 상관관계가 없었다. 14일 이상 침전시켰을 때, TRAP 활성은 감소되었으며, NFATc1의 발현은 억제되었다. 14일 이상 침전 시켰을 때, TRAP활성 감소 및 NFATc1 발현 억제 양상은 변함이 없었다. 결론: 티타늄 합금 디스크를 14일 이상 mSBF에 침전시키면 RAW 264.7 세포가 파골 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침전기간이 증가해도 분화 억제 양상은 변화하지 않는다.

설사 증상의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용혈성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의 인체로부터 분리된 균주로의 전이 (Transfer of Gene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xin of Hemolyt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eces of Pig Suffering Diarrhea to Human Isolates)

  • 이계남;정병열;이연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6-294
    • /
    • 2004
  • 1997년과 1998년 사이에 설사 증상을 보이는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총56균주의 Escherichia coli를 분리하여 이중 용혈성을 나타내는 38균주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한천 희석법으로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36균주$(94.7\%)$가 tetracycline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고, 27주$(71.0\%)$는 ampicillin에 내성, 26균주$(68.4\%)$는 chloramphenicol에 내성, 그리고 21균주$(55.2\%)$는 tri-methoprim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aztreonam, amikacin, norfloxacin에 내성을 나타낸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중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multiple drug resistance, MDR)을 보인 균주는 총 38 균주 중 21균주$(55.3\%)$였다. 또한 이중 디스크 시험법(Double Disk Synergy Test)을 수행한 결과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를 생산하는 균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수의 균주가 내열성 독소$(ST,89.5\%)$를 생산하였고, 다음으로 베로 독소(VT와 VTe, 각각$47.4\%$)와 이열성 독소$(LT,31.6\%)$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8균주$(21.0\%)$는 57만을 생산하였던 반면에 12균주$(31.6\%)$는 LT와 ST를 동시에 생산하였고, 13균주$(34.2\%)$는 ST, VT, VTe를 동시에 생산하였으며, 5균주$(13.2\%)$는 VT와 VTe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 가지 독소를 동시에 생산하는 균주는 없었다. 또한 이 균주들은 매우 다양한 혈청형(serotype)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람에 직접적인 유해성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사람 방광 유래의 T-24세포와 장내 표피 유래의 Caco-2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시험하였을 때, 16균주$(42.1\%)$가 T-24방광 세포에, 그리고 17균주$(44.7\%)$가 Caco-2장세포에 대해 강한 부착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11균주$(28.9\%)$는 두 세포 모두에 강한 부착능을 가지고 있었다. Filter mating method를 수행하여 이들 균주들의 독소 생산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사람에서 분리된 균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설사 중상을 나타내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용혈성 E. coli의 독성과 세포 부착능력, 그리고 항생제 내성간의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동물 분리 세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 능력이 유전자 전달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세균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인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