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to smartphone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33초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 이은지;김윤경;임수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3권4호
    • /
    • pp.525-533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on, school adjustment, parent-child bonding, parental control and smartphone addiction, and to identify factors which influence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183 middle school students from 3 middle schoo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April to May, 2017. Data were analyzed using ${\chi}^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with SPSS Ver. 21.0. Results: The mean score for smartphone addiction was 29.40. Of the adolescents, 21.3% were in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der (OR=7.09, 95% Cl: 2.57~19.52), school life (OR=0.86, 95% Cl: 0.79~0.93), smartphone usage time (OR=1.32, 95% Cl: 1.04~1.66), and parental control (OR=4.70, 95% Cl: 1.04~21.29) were effect factors for the smartphone addiction risk group.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school satisfaction was an important factor in adolescents' smartphone addiction. Control oriented parent management of adolescents' smartphone use did not reduce the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may have worsen the addiction.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improve understanding of how teachers and parents will manage their adolescents' use of smartphones.

보건계열 대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수준 정도에 따른 주의력 조절, 대인관계 지지에 미치는 비교영향 분석 (Comparative Impact Analysis of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According to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 추연기;배원식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83-192
    • /
    • 2021
  • Purpose :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addiction on attention control and interpersonal support. Methods : 184 people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and agreed to fill out the questionnaire were randomly sampled. The smartphone self-diagnosis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Attentional Control Questionnaire (ACQ) was used as a tool to measure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In addition, th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 (ISEL) was used to measure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Results : In comparison of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major, and grad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daily use time of smartphones (p <.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tten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high risk, potential risk, general user group) (p <.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terpersonal support. Conclusion : Th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was relative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and users who used it for a long time per day were more addicted. It also showed that attention control was further reduced in highly addictive users.

간호대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신체증상 및 정신건강: 인터넷 윤리의식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of Smartphone Addiction to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Nursing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Internet Ethics)

  • 단현주;배노연;구종모;오향화;김미영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7-286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us of smartphone addiction among nursing student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et ethic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 and June 23, 2014. Participants were a convenience sample of 214 nursing students of one university in Seoul.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degree of smartphone addiction, physical symptom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ternet ethics. Data was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Of the nursing students, 14.5% had high level of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and 16.8% had potential risk. Higher frequency of physical symptoms and lower level of Internet ethics were related to the higher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Voluntary-control in Internet ethic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physical symptom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smartphone addiction may lowered in nursing students by intensifying Internet ethics especially voluntary-control. Based on these findings, Internet ethics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to facilitate the effective use of smartphones.

청소년의 SNS 이용실태 및 학습도구로써의 활용방안 (SNS Utilization of Youth and Use as a Learning Tool)

  • 강현주;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3-101
    • /
    • 2020
  • Korea, as a leader of Internet and game sector in IT industry,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its industrial development. This country has won the first place in wireless broadband usage and contributed to Internet game industry development. This means that Korean use smartphones most. It is juveniles that use Internet and smartphones most among Korean who use teenage., the number of the teenagers who overuse smartphones or Internet has surpassed 200,000. The number of the adolescents who spend more time using smartphone and Internet is about 180,000 and the number of the teens who are over-dependent to smartphone having trouble living their lives is over 22,000. The SNS usage rate of the contents that teens are most likely to use has accounted for over 80 percent. Among teens, SNS is being considered as a major means that builds relationship due to smartphone technology and the prevalence of smartphones. However, the use of SNS among youths has two sides; one is positive, the other negative. Not only does SNS have a positive function that it keeps relationship but it also has a negative function that it can lead to smartphone addiction.

모바일 사용행동에 대한 실증연구 - 스마트폰 사용 중독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Mobile Usage Behavior - Focusing on Smartphone Usage Addiction -)

  • 신호경;이민석;김흥국
    • 정보화정책
    • /
    • 제18권3호
    • /
    • pp.50-6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폰의 사용 행동 중에서 사용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효과를 분석하고, 스마트폰 사용 중독이 사용자의 사회적 위축을 가져 오는지를 실증 분석을 통해 규명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자기 감시, 외로움,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특성을 중심으로 한 변수들이 스마트폰 사용 중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스마트폰 사용 중독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더불어 실증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자 31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 기법의 한 통계 프로그램인 PLS(Partial Least Square)를 이용하여 측정 모형 및 가설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스마트폰 사용자의 자기 감시, 외로움 및 스마트폰의 특성은 스마트폰 사용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스마트폰 사용 중독은 다시 사용자의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아울러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기술하였다.

  • PDF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과 마음건강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A Study on Relationships between Youth Smart Phone Addiction and Mind Health, and Parameter Effect of School Life Adaptation)

  • 하태현;백현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7-159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마음건강의 주 효과를 검증하고, 이들 관계에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봄으로써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다양한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지역 소재 초등학교 2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마음건강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설정해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생활적응은 마음건강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매개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는 Sobel 검증을 통해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건강이 학교생활적응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발생을 감소시켜주며, 이는 다시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 가능성을 낮춰주는데 영향이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해 마음건강 향상과 같은 보호요인의 강화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매개 변인으로서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생활적응과 같은 위험요인을 관리하기 위한 장 단기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인터넷 환경에서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성향 비교 (Comparison on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the Lifestyle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s on Internet Environment)

  • 김경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85-192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에 따른 세분집단 간 스마트폰 중독성향을 통합적으로 비교연구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라이프스타일은 '경제지향형', '적극적 활동형', '유행추구형', '자아신뢰형', '물질지향형', '자유추구형' 등의 여섯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여섯 개의 요인들을 기초로 집단을 유형화 한 결과 '유행추구형 집단', '자아신뢰형 집단', '적극적 자아신뢰 물질추구형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각 세분집단별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유행추구형 집단'이 스마트폰 중독성향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최근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적으로나 건강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기초적인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다중 클래스 SVM을 이용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시스템 (Self-diagnostic system for smartphone addiction using multiclass SVM)

  • 피수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1호
    • /
    • pp.13-22
    • /
    • 2013
  • 무선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실행하고 수많은 응용 프로그램들을 통신 접속이 없어도 실행이 가능하다는 점으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이 인터넷 중독보다 심각한 상태이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개발한 스마트폰 중독 검사 척도인 S-척도는 문항수가 많아 응답자들이 진단 자체를 회피할 수도 있으며 인구통계학적 변인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체크한 문항들에 대한 총점만으로 중독여부를 진단하므로 정확하게 진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포함한 여러 문항들을 추가한 자료들을 대상으로 먼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들을 추출해 보았다. 추출한 축소문항을 대상으로 데이터마이닝기법 중 하나인 신경망을 이용하여 분류를 하였다. 신경망 학습알고리즘 중에서 BP학습 알고리즘과 다중 SVM을 이용하여 학습을 시켜 비교, 분석 해 본 결과 다중 SVM의 학습율이 조금 더 높게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다중 SVM을 이용하여 학습을 한 자가진단 시스템을 이용하면 자료들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뛰어난 적응성을 가지므로 빠른 시간 내에 자신의 중독여부를 정확하게 자가진단 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impact of smartphone addiction on adolescents' school adaptation - Focusing on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 Gull L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231-239
    • /
    • 2024
  •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대상은 현재 광주광역시 중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자료 분석은 SPSS 26.0을 활용하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빠져드는 유인요인과 강제유인을 중심으로 학교적응 영향요인을 살펴보았으며, 자료분석 결과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끄는 유인요인에서 익명성과 욕구충족이 학교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이 스마트폰에 과의존하게 하는 강제요인에서는 온라인게임, 온라인채팅, 온라인중독, 사회적상호작용, 정보검색 모두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견된 두 가지 요인들이 지적하는 사항들을 고려하여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nd Oral Health in Adolescents

  • Ahn, Eunsuk;Han, Ji-Hyou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4-50
    • /
    • 2020
  • Background: Smartphones are a modern necessity. While they are convenient to use, smartphones also have side effects such as addiction. This study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use, a part of everyday life in modern society, and oral health. Methods: A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data. The propensity score estimation algorithm used logistic regression and 1:1 matching algorithm using nearest-neighbor matching. After matching, a total of 15,032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ntaining 7,516 teenagers each who did and did not use smartphones, respectively. Results: Comparison of oral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smartphone use reveal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tooth brushing per day,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intake of foods harmful to oral health, and experience of oral health education (p<0.05). The factors affecting oral pain experience of adolescents were examined. Compared to male participants, female participants had an odds ratio of 1.627 for oral pain (p<0.05). According to the household income level, compared to the group with higher income, the group with lower income showed higher oral pain experience (p<0.05). Oral pain experience was 1.601 times more frequent among teenagers using smartphones (p<0.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use of smartphones by adolescents affected their oral health.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improved oral health management through the use of effective school oral health programs and individual counseling by oral health professionals, promotion of information dissemination through public media, and development of prevention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