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diction recovery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35초

중독 회복을 위한 SMART Recovery의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SMART Recovery for the Recovery of Addiction)

  • 허은정;김나미;김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67-468
    • /
    • 2019
  • Alcoholics Anonymous(AA)/Narcotic Anonymous(NA)의 12 단계 중독 회복 프로그램과 선배 회복자의 지지는 중독 치료 모델에서 성공적인 회복에 기여하는 주요한 역할을 한다. 12단계 중독회복 프로그램의 특징은 특정 종교를 기반으로 하지 않지만 자신의 무력감과 영적 존재에 대한 인정을 바탕으로 한다. 어떤 이들에게는 성공의 요인으로 작용하는 이 특징이 일부 참여자에게 거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AA/NA의 오프라인 모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부작용으로 인해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지만 사회적 지지를 포기하는 이탈이 발생하여 참석자의 회복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이에 서구 여러 나라에서 AA/NA와 유사하지만 오프라인뿐만 아니라 온라인 모임이 가능하고, 외부의 존재에 대한 의존이 아닌 중독자 스스로가 중독을 극복하게 도와주며 다양한 형태의 중독의 문제를 다루도록 돕는 SMART(Self Management and Recovery Training) Recovery가 대안으로 부상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독회복에 상호자조집단의 도움이 필요하지만 12단계 프로그램이나 오프라인 모임 외에 다른 대안이 없는 국내 상황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SMART Recovery에 대한 정보와 접근방법들을 심도 있게 탐색하고자 한다.

  • PDF

Chaotic Dynamics in Tobacco's Addiction Model

  • Bae, Youngchul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4권4호
    • /
    • pp.322-331
    • /
    • 2014
  • Chaotic dynamics is an active area of research in biology, physics, sociology, psychology, physiology, and engineering. This interest in chaos is also expanding to the social scientific fields such as politics, economics, and argument of prediction of societal ev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dynamic model for addiction of tobacco. A proposed dynamical model originates from the dynamics of tobacco use, recovery, and relapse. In order to make an addiction model of tobacco, we try to modify and rescale the existing tobacco and Lorenz models. Using these models, we can derive a new tobacco addiction model. Finally, we obtain periodic motion, quasi-periodic motion, quasi-chaotic motion, and chaotic motion from the addiction model of tobacco that we established. We say that periodic motion and quasi-periodic motion are related to the pre-addiction or recovery stage, respectively. Quasi-chaotic and chaotic motion are related to the addiction stage and relapse stage, respectively.

Case Reports of Binge Eating Patterns in the Recovery Phase of Anorexia Nervosa Patients With and Without Food Addiction

  • Younjoo Song;Min-Jung Park;Hyung Jin Choi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5권1호
    • /
    • pp.66-74
    • /
    • 2024
  • Food addiction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individuals exhibit addictive-like behaviors toward food, like those observed in substance abuse. Although still debated, evidence supporting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concept of food addiction is growing. Food addiction is particularly associated with obesity and eating disorders involving binge eating. This study discusses the cases of two adolescent patients who presented with anorexia nervosa. During the recovery phase of anorexia nervosa, binge eating was observed, and the patterns of binge eating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food addiction. Therefore, healthcare professionals treating eating disorders should be aware of food addiction and modify their treatment strategies accordingly.

Coping Mechanisms Utilized by Individuals With Drug Addiction in Overcoming Challenges During the Recovery Process: A Qualitative Meta-synthesis

  • Agus Setiawan;Junaiti Sahar;Budi Santoso;Muchtaruddin Mansyur;Syamikar Baridwan Syamsir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7권3호
    • /
    • pp.197-211
    • /
    • 2024
  • Objectives: Recovery from drug addiction often poses challenges for the recovering person. The coping mechanisms employed by these individuals to resist temptations and manage stress play a key role in the healing proces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coping strategies or techniques that individuals with addiction use to handle stress and temptation while undergoing treatment. Methods: A qualitative meta-synthesis approach was utilized to critically evaluate relevant qualitative research.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PRISMA) 2020 guidelines were used for article selection, with these standards applied to 4 academic databases: Scopus, PubMed, ProQuest, and CINAHL. The present review included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4 and 2023, selected based on pre-established inclusion criteria. The quality of the studies was assessed using the Critical Appraisal Skills Programme Qualitative Studies Checklist. This review was registered with the International Prospective Register of Systematic Reviews (PROSPERO) under the registration number CRD42024497789. Results: The analysis of 13 qualifying qualitative articles revealed 5 major themes illustrating the coping mechanisms employed in the pursuit of recovery by individuals who use drugs. These themes include seeking social support, as well as psychological coping strategies, spiritual experiences, professional interventions, and the enhancement of awareness. Conclusions: Among individuals with drug addiction, coping mechanisms are crucial for resisting stress and temptations throughout the recovery process. Healthcare professionals, as medical specialists, can establish more thorough and effective plans to support these patients on their path to recovery.

단도박자의 감각 회복 체험 (The Experiences of Gambling Abstinences' Sense Recovery)

  • 강준혁;이혁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4호
    • /
    • pp.121-150
    • /
    • 2016
  • 본 연구는 도박에 중독되고 회복되는 과정에서 주체의 감각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단도박자 10인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Giorgi(1970; 1985)가 제안한 현상학 방법으로 분석했다. 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여러 의미단위(meaning unit)를 18개의 '드러난 주제'로 재구성했으며, 드러난 주제들 간의 관련성을 검토하여 총 6개의 '본질적 주제'로 통합했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도박중독 과정에서 시각, 청각과 같은 특정 감각에만 모든 정신을 집중시킴으로써 다른 감각들을 상실해갔다. 둘째, 참여자들은 회복 과정에서 '금단의 고통'을 겪었지만 이를 통해 잃어버린 감각을 회복해 갔다. 셋째, 참여자들의 체험에 관한 주제들을 일관적 진술로 통합한 결과 참여자들에게 있어서 회복은 일종의 '도박으로 잃어버린 감각 회복 과정'이었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감각에 대한 정보 제공', '자극과 관련된 프로그램 개발', '감각회복훈련 적용'과 같은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했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패턴연구 (Pattern Study on smartphone addiction group)

  • 김은엽;김석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07-1215
    • /
    • 2015
  •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패턴을 파악하여 스마트폰 중독 경향을 파악한다. 총1429부를 배포하여 689개를 회수하여 회수율이 48.22%이였다. 최종 650명의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 3그룹으로 스마트폰 중독 낮은그룹, 주의그룹, 심각그룹으로 구분하였다. 본인이 스마트폰 중독이 되었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하여 스마트폰 중독 심각그룹 135명 86.5%, 스마트폰 주의그룹 165명 50.2%, 스마트폰 중독 낮은 그룹 59명 35.5%가 '아니다'라고 응답하였다(p<0.001). 대화중 스마트폰을 사용하는가에 대하여 스마트폰 중독 심각그룹과 주의그룹이 50%를 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중독이 심한 그룹일수록 취침시간이 자정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소 취침 시간에 대한 조사 결과 스마트폰 중독이 높을수록 자정을 넘겨 늦게 취침하는 경향을 보여 수면이 부족한 현상을 보였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개인의 요인들과의 패턴을 파악하여 패턴 유형에 따른 스마트폰 중독의 발생 정도를 사전에 예측하여 건전한 생활이 될 수 있는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텍스트마이닝과 CONCOR을 활용한 중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addiction using text mining and CONCOR)

  • 이솔지;윤기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99-110
    • /
    • 2023
  • 이 연구는 한국의 중독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지난 3년간 국내 전문학술지 게재 논문 817 건을 대상으로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중독 관련 키워드가 나타났으나 스마트폰, 게임, 인터넷, 도박, 관계중독 등 모바일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에서의 행위중독 관련 중독 연구들이 주요 상위 키워드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TF-IDF 분석결과 중독연구에서 지난 3년 간 스마트폰이나, 게임, 인터넷, 일 중독과 같은 행위중독 관련 중독연구가 많이 수행되었고 특히, 아직 임상적으로 중독문제로 진단화 하고 있지 않은 스마트폰이나 게임, 인터넷 등에 대한 중독문제들에 대한 연구수행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2-gram 분석 결과 스마트폰이나 게임, 인터넷 등 주로 행위중독에 해당 되는 단어들이 중독이라는 키워드와 나란히 등장하는 비율이 매우 높으며, 그 가운데 스마트폰과 중독문제와 관련하여 쌍을 이루는 단어들이 연구논문에서 많이 언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CONCOR 분석결과 알코올사용장애, 인터넷 등 보편적 중독문제에 관한 연구, 마약과 도박중독의 회복 관련 연구, 모바일기기와 미디어 중독 관련 연구, 행위중독 관련 최신 경향 연구, 그 외 기타 중독 문제 관련 연구로 5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중독 관련 연구를 위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마약중독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자기 삶 재건에 대한 연구 -질적 사례연구접근- (A Study on the Reconstruction of Self-Life of the Recovering Substance Addicts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

  • 강선경;문진영;양동현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87-111
    • /
    • 2016
  • 본 연구는 마약중독에서 탈출하여 회복의 길을 걷고 있는 회복자 5명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마약 중독자들의 회복과 그 내용에 대한 이해는 사회적 실천적 효용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인들의 지극히 사적이고 민감한 주제를 다루기 때문에 질적연구 방법이 적합하다. 연구자들은 질적연구 방법 중 질적 사례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으며,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자료를 구성하였다. 자료는 Creswell(2007)이 제안한 사례 내 사례 간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연구참여자들의 개별적인 사례를 기술하고 그들의 경험과 중독, 탈중독 과정의 주요 문제점들을 파악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사례 내 분석을 토대로 마약중독 회복경험 전체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주제들을 결집하여 공통주제로 전환하였다. 5명의 개별사례에서 마약중독 회복과 관련하여 총 19개의 주제를 도출했고, 이를 공통성 차원에서 결집한 결과, 첫째, 현실감각의 회복, 둘째, 자기실존 양식 떠안기, 셋째,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기 재구성, 넷째, 자기애의 4가지 공통주제를 발굴했다. 연구결과와 논의에 근거하여 마약중독자의 회복과 재활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차원에서의 제언을 하였다.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과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애착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Child Attachment)

  • 김영혜;손현미;양영옥;조영란;이내영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3권4호
    • /
    • pp.383-389
    • /
    • 2007
  • Purpose: In this study, the Internet game addiction level was assessed, and parent-child attachment level associated with the addiction was analyzed. Method: From December 5 to 23, 2005, self-reported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990 Busan Cit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the 5th and 6th grad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ir characteristic features in playing Internet games based on the K-scale developed by KADO.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0.0 program. Frequency, percentage, arithmetic mean, and standard deviation, $X^2$-test, ANOVA analysis and Scheffe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1. With regard to the level of Internet game addiction, 71.2%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general users, and 6.3%, at high risk for addiction. Mean scores were 103.3 for the high-risk group, 77.7 for the potential risk group, and 55.86 for the general user group. The total mean was 63.74. 2. Mean scores for parent-child attachment levels were 97.1 and 99.6 for father and mother,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llaborative program to educate and counsel parents to increase the parent-child attachment level needs to be established in protection and recovery programs for Internet game addiction.

  • PDF

여성마약중독자의 회복과 재발경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pse and Recovery Experience of Female Drug Addicts)

  • 김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73-685
    • /
    • 2020
  • 본 연구는 여성마약중독자의 단약 후 유지·재발 및 회복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마약에 중독된 이후 재발을 반복하다가 회복중인 여성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원자료는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적 방법에 근거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결과, 대부분 여성참여자들은 성장과정에서 주변으로부터 차별과 냉대를 겪었다. 어려운 현실로부터 탈피하기 위해 또는 호기심 때문에 마약에 빠져들었다. 마약 살 돈을 벌기 위해 유흥업소를 전전하였고 판매상으로 전락하기도 했다. 이들은 오랜기간 동안 마약의 늪에 갇혀 있었다. 이들이 선택한 마약은 극한 성적쾌락을 주었고 마약에 길들여진 몸으로 인해 쉽게 회복이 어려웠다. 재발이 반복되면서 몸과 마음은 더 피폐해졌다. 생애과정에서 경험한 다양한 트라우마는 마약중독을 더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하지만 종교적 회심 또는 실존적 각성, 사회적 지지는 회복과정에서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삶의 재구성에 기여할 수 있는 영성과 실존 프로그램과 트라우마 치료접근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