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04.673

A Study on the Relapse and Recovery Experience of Female Drug Addicts  

Kim, Jin-Sook (조선대학교 행정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pecifically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maintenance, relapse, and recovery after the abstinence of female drug addicts. For such purpose, ten females who repeated drug addiction and are currently in recovery were selected as the study participants to carry out in-depth interviews. The original material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s of Giorgi.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most participants experienced discrimination and inhospitable treatment in their childhood. They began taking drugs as an escape from their difficult realities or out of curiosity and worked at adult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living as a drug addict for a long time. Drugs gave them extreme sexual pleasure and it was difficult for them to recover as their body became dependent on drugs. However, as they experienced religious awakening or existential existence, they gained an opportunity for newly understanding themselves. Social support was an essential resource for their recovery. However, various kinds of trauma that they experienced in their lives acted as a factor to worsen drug addic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is study proposes spirituality, actual programs, and trauma treatment approach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restructuring of life.
Keywords
Drug Addicts; Female; Relapse; Recove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현상학과 현대철학, 제24권, pp.91-121, 2005.
2 임해영, 김학주, "회복기 마약중독자의 영성 체험에 과한 연구 - 기독교.가톨릭인 회복자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98-112, 2018.   DOI
3 최미란, 조희선, "알코올중독자 남편을 둔 여성배우자의 자아주체성 회복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3호, pp.576-589, 2019.   DOI
4 오창순, 알코올 중독의 재발예방을 위한 지침, 서울: 아시아미디어리서치, 2003.
5 강선경, 양동현, 문진영, "마약중독자들의 재발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교정연구, 제70권, pp.89-114, 2016.
6 박성수, "마약류 중독자 강제치료 현황과 대책,"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3권, 제1호, pp.1-24, 2013.
7 이인영, "특집 중독과 형사사법: 약물중독자에 대한 형사책임과 처우에 관한 고찰: 뇌과학에 의한 약물중독의 인식변화와 관련하여," 한국형사정책학회, 제26권제1호, pp.59-106, 2014.
8 최은미, NA자조모임을 통한 마약의존자의 회복경험탐색, 평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9 이근무, 알코올중독자의 재발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0 이근무, 약물 의존자의 빠져 있음의 구조와 본질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 W. White, Toward a New Recovery Movement: Historical Reflections on Recovery, Treatment and Advocacy, Recovery Community Support Program Conference, 2000.
12 윤명숙, 이준석, 지홍, 김성혜, "알코올중독자의 성장기 가정폭력 외상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우울, 재발위험성의 매개효과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3호, pp.87-115, 2012.
13 최송식, "한국사회에서 알코올중독자의 재발예방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문화, 제48권, pp.307-348, 2013.
14 강준혁, 이혁구,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과 실존체험에 관한 연구," 생명연구, 제54집, pp.185-219, 2019.
15 강준혁, 도박중독자의 회복과정과 실존체험,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6 백형의,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17 최송식, 최윤정, "정신장애인의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통합의 경로분석," 재활복지, 제14권, 제4호, pp.225-255, 2012
18 강선경, 문진영, 양동현, "마약중독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자기 삶 재건에 대한 연구," 재활복지, 제20권, 제1호, pp.87-111, 2016.   DOI
19 R. Boughton and O. Falenchuk. "Vulnerability and comorbidity factors of female problem gambling," Journal of Gambling Studies, Vol.23, pp.323-334, 2007.   DOI
20 이근무, 강선경, 탁평곤, "단도박자들의 도박중독행위 재발경험에 대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3권, 제2호, pp.5-31, 2015.
21 N, M. Petry, "A comparison of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 treatment-seeking pathological gamblers," Gerontol, Vol.42, pp.92-99, 2002.   DOI
22 S. Rizeanu, "Pathological Gambling and Depression,"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78, pp.501-505, 2013.   DOI
23 A. Guise, D. Horyniak, J. Melo, R. McNeil, and D. Werb, "The experience of initiating injection drug use and its social context: a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and thematic synthesis," Addiction, Vol.112, pp.2098-2111, Jul. 2017.   DOI
24 채정아, 단도박의 회복유지과정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5 M. Wendee, W. W. Wechsberg, S. G. Craddock, L. Robert, and R. L. Hubbard, "How Are Women Who Enter Substance Abuse Treatment Different Than Men?: A Gender Comparison from the Drug Abuse Treatment Outcome Study (DATOS)," Drugs & Society, Vol.13, 1998.
26 우재희, "남.여 알코올 중독자의 외상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1호, pp.298-307, 2014.   DOI
27 L. Nelson-Zlupko, E. Kauffman, and M. Morrison Dore, "Gender Differences in Drug Addiction and Treatmen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with Substance-Abusing Women," Social Work, Vol.40, No.1, pp.45-54, Jan. 1995.
28 강성군, 도박 행동과 문제의 성차: 내국인 카지노 출입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29 박진실, "마약류사범재범방지를 위한 해외 사례 및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법학회, 제19권, 제3호, pp.187-220, 2017.
30 김란종, 마약류중독에 의한 정신범죄사범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1 안상원, "마약류 사범의 동향 및 통제전략에 관한 고찰," 한국중독범죄학회보, 제9권, 제5호, pp.87-109, 2019.
32 백형의, 한인영, "약물중독자의 지역사회 내 회복경험 : 세상에서의 되살이 경험,"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2권, 제3호, pp.151-177, 2014.
33 김연실, 김석선, "약물중독자를 위한 자기초월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혼합설계연구 적용," 정신간호학회지, 제26권, 제1호, pp.1-13, 2017.   DOI
34 윤혜진, "집중명상 프로그램이 마약중독자의 갈망, 자아존중감 및 단양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불교학보, 제75권, pp.285-313, 2016.
35 A. Giorgi, "The theory, practice, and evaluation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 as a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Vol.28, No.2, pp.235-260, 1997.   DOI
36 A. Giorgi, "The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psychological method," Journal of Phenomenological psychology, Vol.43, No.1, pp.235-26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