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Support Weight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42초

An Improved Stereo Matching Algorithm with Robustness to Noise Based on Adaptive Support Weight

  • Lee, Ingyu;Moon, Byungi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2호
    • /
    • pp.256-267
    • /
    • 2017
  • An active research area in computer vision, stereo matching is aimed at obtaining three-dimensional (3D) information from a stereo image pair captured by a stereo camera. To extract accurate 3D information, a number of studies have examined stereo matching algorithms that employ adaptive support weight. Among them, the adaptive census transform (ACT) algorithm has yielded a relatively strong matching capability. The drawbacks of the ACT, however, are that it produces low matching accuracy at the border of an object and is vulnerable to noise. To mitigate these drawbacks, this paper proposes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an improved stereo matching algorithm that not only enhances matching accuracy but also is also robust to noise. The proposed algorithm, based on the ACT, adopts the truncated absolute difference and the multiple sparse windows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ompared to the ACT,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the average error rate of depth maps on Middlebury dataset images by as much as 2% and that is has a strong robustness to noise.

스테레오 영상에서의 적응적 영역 가중치 매칭의 효율적 근사화 방법 (An Efficient Approximation method of Adaptive Support-Weight Matching in Stereo Images)

  • 김호영;이성원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902-915
    • /
    • 2011
  • 영역기반 스테레오 매칭 분야에서 최근 인간의 시각체계(Human Visual System)에 기반하여 영역내의 밝기값과 거리값에 따라 적응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하는 적응적 영역 가중치(Adaptive Support-Weight, ASW) 방법이 좋은 매칭 결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좋은 매칭 결과에 비해서 많은 연산비용을 필요로 하게 되고, 매칭의 실시간 시스템화에 큰 장애요소로 작용한다. 이에 Bilateral filter 수식으로 근사화 후 Integral Histogram 기법을 적용하여 영역 윈도우의 크기에 상관없이 상수 시간 O(1) 내에 매칭을 수행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근사화 과정에서의 원 ASW 수식을 왜곡하기 때문에 매칭 정확도의 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영역 가중치 알고리즘의 매칭 정확도를 유지하면서 적응적 영역 가중치 알고리즘의 계산 비용을 줄이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영역내의 픽셀을 그룹화하여 근사화된 매칭을 수행하는 Sub-Block 방법과 영상의 에지 정보에 따라 적응적으로 시차 탐색 범위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기법은 기존 방식보다 좋은 매칭 정확도를 유지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계산 수행 시간을 줄이게 된다.

적응적 영역 가중치를 이용한 실시간 스테레오 비전 시스템 설계 (Design of a Realtime Stereo Vision System using Adaptive Support-weight)

  • 류동훈;박태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1호
    • /
    • pp.90-98
    • /
    • 2013
  • 지역적 정합방법을 이용한 스테레오 시스템은 알고리즘의 특성상 하드웨어 설계가 용이하여 많이 사용되나 낮은 정합률로 인해 정확한 깊이 영상을 얻기 힘들기 때문에 많은 응용 분야에 사용하기에 제한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스테레오 시스템은 픽셀의 변화도(gradient)를 기반으로 한 적응적인 가중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높은 정합 성능을 보이며 하드웨어로 설계하였을 때 실시간처리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적응적인 가중치 윈도우를 적용할 경우 중간 결과를 재사용하기 불가능하지만 행, 열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데이터를 재사용할 수 있고 따라서 처리성능이 개선되었다. 알고리즘에 필요한 지수 및 아크탄젠트 함수를 구현하기 위해 선형(PWL, piecewise linear) 및 계단(step) 함수 등으로 근사화한 뒤 에러를 분석하여 최선의 파라미터를 선택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실시간처리를 위하여 9개의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병렬처리를 하였으며, 동부하이텍 0.18um 라이브러리로 합성하였을 경우 최대 동작주파수 350MHz(33 fps)와 424K 게이트의 하드웨어 복잡도를 나타내었다.

On the Use of Adaptive Weights for the F-Norm Support Vector Machine

  • Bang, Sung-Wan;Jhun, Myoung-Shic
    • 응용통계연구
    • /
    • 제25권5호
    • /
    • pp.829-835
    • /
    • 2012
  • When the input features are generated by factors in a classification problem, it is more meaningful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rather than individual features. The $F_{\infty}$-norm support vector machine(SVM) has been developed to perform automatic factor selection in classification. However, the $F_{\infty}$-norm SVM may suffer from estimation inefficiency and model selection inconsistency because it applies the same amount of shrinkage to each factor without assessing its relative importance. To overcome such a limitation, we propose the adaptive $F_{\infty}$-norm ($AF_{\infty}$-norm) SVM, which penalizes the empirical hinge loss by the sum of the adaptively weighted factor-wise $L_{\infty}$-norm penalty. The $AF_{\infty}$-norm SVM computes the weights by the 2-norm SVM estimator and can be formulated as a linear programming(LP) problem which is similar to the one of the $F_{\infty}$-norm SVM. The simulation studies show that the proposed $AF_{\infty}$-norm SVM improves upon the $F_{\infty}$-norm SVM in terms of classification accuracy and factor selection performance.

Geodesic Support-weight 기반 깊이정보 추출 알고리즘의 효율적인 VLSI 구조 (Efficient VLSI Architecture for Disparity Calculation based on Geodesic Support-weight)

  • 류동훈;박태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9호
    • /
    • pp.45-53
    • /
    • 2015
  • 적응적 가중치 윈도우 알고리즘은 기존의 지역적 정합방법의 단점인 낮은 정합률을 보완하면서 전역적 방법에 비하여 실시간 하드웨어 설계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를 분리하는데 더 유리한 지오데식 가중치 윈도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실시간 처리가 가능한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효율적인 하드웨어 설계와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데이터 의존성에 따른 스케줄링을 분석하였고 계산시간이 가장 긴 가중치 계산을 기준으로 계산 단계를 최소화하여 병렬 처리를 적용하였다. 지수함수 연산은 에러분석을 기반으로 계단(step) 함수로 구현하여 하드웨어 자원을 줄이고 설계 효율을 높였다. 설계한 시스템은 verilogHDL로 설계되었으며 동부하이텍 0.18um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Synopsis를 통해 합성하였고 츠쿠바 영상을 기준으로 2.22%의 에러율과 260MHz(25fps)의 최대 동작주파수, 182K 게이트의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한다.

Multi Sparse Windows 기반의 TAD-Adaptive Census Transform을 이용한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 (Stereo Matching Algorithm Using TAD-Adaptive Census Transform Based on Multi Sparse Windows)

  • 이인규;문병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59-1562
    • /
    • 2015
  • 최근 3 차원 깊이 정보를 활용하는 분야가 많아짐에 따라, 정확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특히 ASW(Adaptive Support Weight)는 기존의 영역 기반 알고리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ACT(Adaptive Census Transform)는 폐백 영역이나 경계 영역에서 정확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깊이 맵 (depth map)을 추출하기 위해, 기존의 ACT를 개선한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는 잡음에 강하고 재사용성이 높은 MSW(Multiple Sparse Windows)를 기반으로, TAD(Truncated Absolute Difference)와 ACT 두 개의 정합 알고리즘을 동시에 사용하여 폐색 영역과 울체의 경계 영역에서 정확도가 낮은 기존의 방법을 개선한다. Middlebury에서 제공하는 영상을 사용한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평균적으로 약 1.9% 낮은 에러율(error rate)을 가짐을 보여준다.

Disparity-based Error Concealment for Stereoscopic Images with Superpixel Segmentation

  • Zhang, Yizhang;Tang, Guijin;Liu, Xiaohua;Sun, Changmi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9호
    • /
    • pp.4375-4388
    • /
    • 2018
  • To solve the problem of transmission errors in stereoscopic image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error concealment (EC) method using superpixel segmentation and adaptive disparity selection (SSADS). Our algorithm consists of two steps. The first step is disparity estimation for each pixel in a reference image. In this step, the numbers of superpixel segmentation labels of stereoscopic images are used as a new constraint for disparity matching to reduce the effect of mismatching. The second step is disparity selection for a lost block. In this step, a strategy based on boundary smoothness is proposed to adaptively select the optimal disparity which is used for error concealment.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compared with other methods, the proposed method has significant advantages in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assessment.

자폐성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한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Study on smart contents development directions for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o enhance adaptive behavior)

  • 한동욱;강민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0호
    • /
    • pp.123-131
    • /
    • 2013
  • 본 연구의 목표는 초등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적응행동 향상을 위해 적응행동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수학교 교사 및 장애학생 교육기관 전문가들의 AHP설문을 통해 스마트 콘텐츠의 개발의 필요성 및 효과에 대한 적응행동기술의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어떠한 적응행동기술 분야가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하기에 적합한지 앱개발 전문가들의 토론과 설문을 통해 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 콘텐츠로 개발에 적합하고 그 효과가 높은 적응행동 기술은 언어이해, 시간이행 및 엄수, 이동기술, 옷입기, 개인위생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교육당국은 단편적인 교육용 스마트 콘텐츠 개발보다는 효과적이고 활용도가 높은 자폐성장애 아동들의 특성 및 특수교사나 부모의 요구에 맞는 스마트 콘텐츠 개발 및 지원체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해야 한다.

로봇에 적용하기 위한 빠른 스테레오 매칭 (Fast Stereo Matching for Mobile Robot)

  • 문진석;강행봉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41-842
    • /
    • 2008
  • 스테레오 매칭(Stereo Matching) 기법에 대한 전역적인 방법과 지역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최근의 적응적 영역 가중치 방법(Adaptive Support-Weight)은 매우 뛰어난 결과에 비해 많은 계산 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로봇시스템에서 스테레오 매칭을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분리 가능한 Bilateral 필터를 이용하여 빠른 스테레오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 PDF

초기 일반 지식을 갖고 있는 점증 적응 학습 알고리즘 (Incremental Adaptive Aearning Algorithm with Initial Generic Knowledge)

  • 오규환;채수익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3B권2호
    • /
    • pp.187-196
    • /
    • 1996
  •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fixed weights and proposes an algorithm for classification by adding this concept to vector space separation method in LVQ.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competitive learning. It uses fixed weightsfor generality and fast adaptation efficient radius for new weight creation, and L1 distance for fast calcualtion. It can be applied to many fields requiring adaptive learning with the support of generality, real-tiem processing and sufficient training effect using smaller data set. Recognition rate of over 98% for the train set and 94% for the test set was obtained by applying the suggested algorithm to on-line handwritten recogn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