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ive Contrast

검색결과 238건 처리시간 0.026초

적응형 콘트라스트 제어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Adaptive Contrast Controller System)

  • 김철순;권병헌;곽경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8-46
    • /
    • 2002
  • 본 논문은 디스플레이상에서 동영상 화질 향상을 위한 적응형 콘트라스트 조절장치를 설계하고 이를 구현하였다. 제안한 방식은 입력되는 영상 신호의 중간 값을 이용함으로써 화면의 중간 자기 에 따라 적응형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또한 프레임 메모리를 사용하는 대신에 입력 화소들을 실시간으로 처리함으로써 기존의 방식에 비해 하드웨어 구성이 간단하여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분야에 쉽게 적용 가능하다. 기존 방식들이 정지영상을 기준으로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킨 것에 반해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식은 정지영상 뿐만 아니라 동화상에서도 효과적으로 콘트라스트 향상이 가능하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VHDL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FPGA를 통하여 구현하였다.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작하여 테스트한 결과, 콘트라스트가 효과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utomatic Method for Contrast Enhancement of Natural Color Images

  • Lal, Shyam;Narasimhadhan, A. V.;Kumar, Rahul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3호
    • /
    • pp.1233-1243
    • /
    • 2015
  • The contrast enhancement is great challenge in the image processing when images are suffering from poor contrast problem.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an automatic method is proposed for contrast enhancement of natural color images. The proposed method consist of two stages: in first stage lightness component in YIQ color space is normalized by sigmoid function after the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is applied on Y component and in second stage automatic color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 is applied on output of the first stage. The proposed algorithm is tested on different NASA color images, hyperspectral color images and other types of natural color images. The performance of proposed algorithm is 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existing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s in terms of colorfulness metric and color enhancement factor. The higher values of colorfulness metric and color enhancement factor imply that the visual quality of the enhanced image is good.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proposed algorithm provides higher values of colorfulness metric and color enhancement factor as compared to other existing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s. The proposed algorithm also provides better visual enhancement results as compared with the other existing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s.

IAFC 모델을 이용한 영상 대비 향상 기법 (An Image Contrast Enhancement Technique Using Integrated Adaptive Fuzzy Clustering Model)

  • 이금분;김용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 /
    • pp.279-282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n image contrast enhancement technique for improving the low contrast images using the improved IAFC(Integrated Adaptive Fuzzy Clustering) Model. The low pictorial information of a low contrast image is due to the vagueness or fuzziness of the multivalued levels of brightness rather than randomness. Fuzzy image processing has three main stages, namely, image fuzzification, modification of membership values, and image defuzzification. Using a new model of automatic crossover point selection, optimal crossover point is selected automatically. The problem of crossover point selec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two-category classification problem. The improved MEC can classify the image into two classes with unsupervised teaming rule.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some experimental images with 256 gray levels and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histogram equalization technique. We utilized the index of fuzziness as a measure of image quality.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than the histogram equalization technique.

  • PDF

An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Based Local Technique for Contrast Preserving Image Enhancement

  • Lee, Joonwhoan;Pant, Suresh Raj;Lee, Hee-Sin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5권1호
    • /
    • pp.35-44
    • /
    • 2015
  • The main purpose of image enhancement is to improve certain characteristics of an image to improve its visual quality.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for image contrast enhancement that can be applied to both medical and natural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is designed to achieve contrast enhancement while also preserving the local image details. To achieve this, the proposed method combines local image contrast preserving dynamic range compression and contrast limited adaptive histogram equalization (CLAHE). Global gain parameters for contrast enhancement are inadequate for preserving local image details. Therefore, in the proposed method, in order to preserve local image details, local contrast enhancement at any pixel position is perform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local gain parameter, which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current pixel neighborhood edge density. Different image quality measures are used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more information about the image details, which can help facilitate further image analysis.

적응 알고리즘에 의한 흉부 방사선 영상의 국부 대조도 개선 (Local Contrast Enhancement of X-ray Chest Image using Adaptive Algorithm)

  • 이세현;조병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66
    • /
    • 1988
  • Because the amount of radiation emerging from the thorax behind the lungs is often literally thousands of times that exiting behind the mediastinum, the dynamic range of X-ray chest image is very large. In order to solve the dynamic range problem, we propose a signal adaptive algorithm which enhances the local contrast and contracts the enhancement of quantum noise by local mean/valiance estimator.

  • PDF

비선형 마스킹 기법 기반의 적응적 파라미터를 이용한 영상의 인지적 대비 향상 (Cognitive Contrast Enhancement of Image Using Adaptive Parameter Based on Non-Linear Masking)

  • 김경수;김종성;이철희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365-1372
    • /
    • 2011
  • 본 논문은 어두운 영상의 낮은 인지적인 대비를 향상하기 위해 비선형 마스킹 기법을 이용한 영상의 인지적 대비 향상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주요 속성인 색도의 변화를 최소화 하면서 어두운 영역의 밝기를 향상시키기 위해, 비선형 마스킹 기법 기반으로 영상에 적응적인 파라미터를 이용한 대비 향상방법을 제안하 였다. 제안하는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테스트 영상에 대해 SSR(Single-Scale Retinex), MSR(Multi-Scale Retinex), 기존의 비선형 마스킹 기법의 결과와 색도 및 채도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와, z-score를 이용한 정성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결과 제안한 방법이 낮은 색도 변화와 향상된 인지적 대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방향성 정보와 적응적 언샾 마스크를 이용한 영상의 화질 개선 (Image Contrast Enhancement using Adaptive Unsharp Mask and Directional Information)

  • 이임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7-3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명암대비(contrast)를 개선시키는 언샾 마스킹 방법을 제안한다. 언샾 마스킹은 이미지가 가지고 있는 에지와 디테일 정보를 개선시키는데 일반적인 샤프닝 마스크 보다 효과적이기에 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제안하는 방법은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블록 단위의 언샾 마스킹 방법으로 영상을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DCT(Discrete Cosine Transform)를 이용하여 각 블록에서 패턴의 방향성 정보를 얻어낸다. DCT 결과로부터 해당 블록들의 방향성 타입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언샾 마스크를 적응적으로 적용한다. 블록의 분류는 평탄영역, 텍스처, 에지 그리고 나머지 형태로 구분되어 진다. 평탄 영역에 속하는 블록은 잡음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언샾 마스킹을 적용하지 않으며 텍스처와 에지영역에 대해서는 고주파 성분을 강조하기 위해 블록타입에 맞는 적응적 언샾 마스킹을 적용한다. 실험을 통하여 영상에서 평탄 영역은 잡음에 의한 훼손을 줄이며 에지들이 포함된 텍스처 영역은 적응적으로 강조하여 시각적으로 우수한 명암대비 개선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최적화된 적응적 컨트라스트 기법을 이용한 의료영상의 증진 (The enhancement of medical image using optimized adaptive contrast method)

  • 신충호;정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1782-1790
    • /
    • 2011
  • 영상처리의 목적은 관측자를 위해서 영상의 시각적인 일면을 증진하는 것이다. 영상증진의 목적은 특정 응용분야에 따라서 달라지며, 또한 특정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영상 증진 기법들은 다른 응용분야에는 적용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히스토그램 쉬링크 및 평활화, 보수적인 적응적 컨트라스트 증진 필터등에 대해서 살펴 보고져 한다. 그리고 적응적인 컨트라스트 증진 필터 기법을 의료영상에 맞게 구성하는 변수들의 적용값을 최적화했으며, 후 처리로 히스토그램 평활화 기법을 사용했다. 결과적으로 입력치인 의료영상들을 사용하여 적용한 결과 제안한 필터를 적용한 결과치 영상들의 에지가 강조됨을 보였고, 또한 후처리로 인해서 영상외형의 컨트라스트를 향상시켰다.

시각 감지 기반의 저조도 영상 이미지 적응 보상 증진 알고리즘 (Adaptive Enhancement of Low-light Video Images Algorithm Based on Visual Perception)

  • 이원;민병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51-60
    • /
    • 2024
  • 저조도 환경에서 영상 이미지의 콘트라스트가 낮고 식별이 어려운 문제를 목표로 사람의 시각 감지 기반의 콘트라스트 적응 보상 증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첫째, 저조도 환경에서 평균 밝기, 평균 대역폭 요인의 영상 이미지 특징 요인을 추출하고, 원본 영상의 회색/색도 차이에 따라 사람의 시각적 콘트라스트 해상도 보상의 수학적 모델을 설정하며, 실제 컬러의 3원색에 대해 각각 비례 적분하여 보상한다. 다음으로 보상 정도가 명시각 차이를 적절하게 구별할 수 있는 것보다 낮을 때 보상 임계값 선형 보상이 명시각에서 전체 대역폭으로 설정된다. 마지막으로 주관적인 이미지 품질 평가와 이미지 특성 요인을 결합하여 비례 계수를 보상하는 자동 최적화 모델을 구축한다. 실험 테스트 결과는 영상 이미지 적응 증진 알고리즘이 우수한 증진 효과와 우수한 실시간 성능을 가지며 다크 비전 정보를 효과적으로 마이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나리오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대조비 개선을 위한 비대칭도 특성을 이용한 적응적인 레티넥스 방식 (Adaptive Retinex Algorithm using Skewness for Contrast Enhancement)

  • 오종근;홍민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0호
    • /
    • pp.77-83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영상의 대조비 개선을 위한 비대칭도 특성을 이용한 적응적인 대조비 개선 레티넥스 방식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 휘도 성분의 저조도 정도를 예측하기 위해 휘도 성분의 비대칭도 함수로 표현되는 매개변수를 정의하고, 정의된 매개 변수 및 예측 반사 성분을 이용하여 반사 성분을 보정하기 위한 비선형 함수를 제안한다. 더불어, 추정된 반사 성분의 통계 특성을 이용하여 비선형 함수의 이득 및 오프셋을 결정하는 방식에 대해 기술한다. 연산량 절감을 위해 색차 성분의 보정 과정을 위해 입력 영상의 휘도 성분과 보정된 휘도 성분을 이용한다. 실험을 통해 색신호 성분의 대조비 및 색신호 왜곡의 개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