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Freshme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3초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Freshmen Enrolled in Nursing at a Junior College)

  • 양경희;이정란;박복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5-13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of freshmen enrolled in nursing at a Junior College.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s filled out by 312 nursing students in two schools at J and I city from March 7-11, 2011.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18 program. Result: Self-esteem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higher than previous advanced research showed, self-efficacy was moderate and stress to school life was lower than other studies. School adaptation level was related to satisfaction of friendship, school life and the nursing program. The subjects who have chosen nursing by themselves and male students scored higher in their school adaptation. The greatest factors affecting 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stress respectively. Conclusion: Inpre-admission, enough information about nursing school life through experience of previous students must be given. Then, a school adaptation program which incorporates counseling and mentoring should be provided for supporting understanding of school life.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Leadership, Humanity, and Resilience of Nursing Students on College Life Adaptation)

  • 방설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409-41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의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시 지역 간호학과 신입생 190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20년 12월 1일부터 1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 학교생활만족도, 친구 수였으며,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성(β=.659, p<.001)이었고, 셀프리더십(β=.274, p=.001), 친구 수(β=.258, p=.003)순이었다. 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51.2%이었다(F=40.72, p<.001). 또한 셀프리더십, 인성, 회복탄력성과 대학생활적응은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므로 간호학과 신입생의 인성과 셀프리더십을 향상시켜 대학생활적응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하다.

대학 신입생 대상 전략교양 교과 콘텐츠의 팀티칭 운영 효과 -지역대학(중등특수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Effects of Team Teaching on Strategic Cultural Curriculum Contents against Freshmen -focused on case of Local University(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 류숙열;박혜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310-326
    • /
    • 2016
  • 새로운 대학생활과 학습 환경의 적응 및 교우 교수자와의 관계 형성에 부담을 가져야 하는 대학 신입생들을 돕기 위하여 많은 대학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들의 학교 적응 등을 돕기 위한 하나의 방안인 지역 대학 전략교양 교과('의사소통과 대인관계')의 팀티칭 운영(지도 교수 별 팀티칭 시행, 표준 교재 중심 지도 vs. 자율 멘토링 지도)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신입생 대상 수강인원 31명과 교수자 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도구는 대학 전략교양 교과 개발팀이 제공한 '의사소통능력 평가지' 및 '교과 만족도, 대학 적응감, 친밀도' 그리고 관련 의견에 대한 간단한 설문을 제작 적용하였다. 이에 대한 자료 분석은 대응 및 독립 표본 T-검정과 평정척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이 전략교양 교과의 수업목표측면(의사소통능력 개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지도 중심 운영 팀이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둘째, 두 가지 유형의 팀티칭 운영에 따라 전략 교양 교과를 이수한 수강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대학생활 적응 측면(대학 적응감, 친밀감)에의 변화가 어떠한지를 알아본 결과, '표준 교재 중심 운영 팀'이 각 각 유의한 차이의 변화를 나타내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전략교양 교과의 이러한 팀티칭 교육과정 운영에 대해 학습자(수강생)들과 교수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전반적인 교과의 만족도와 관련 의견이나 인식(강 약점, 개선 의견)그리고 기타 변화 상황 등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중심 팀티칭의 교수 형태와 표준 콘텐츠 운영 방안의 교육적 함의점을 고찰하고 제안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대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및 스마트폰 중독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Basic Psychological Needs, Smartphone Addictio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University Students)

  • 권명순;이보영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40-553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smartphone addiction and degree of adaptation to their university life,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hrough July in 2017 for 235 university freshme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study showed that the group living in the dormitory or other places rather than living with family and satisfying in family life [ED highlight - please clarify this, I cannot infer your intended meaning; however, this text can likely be deleted.] adapted easily to university life. Moreover,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martphone addiction, but positively correlated with basic psychological needs. Consequently,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residence type,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smartphone addiction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ere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university life.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lead students to participate in programs that can meet basic psychological needs or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to help university freshmen adapt to university life.

캠프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조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mp-type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ontrol of Smartphone Use in University Students)

  • 권명순;김미헌;유정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5-34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camp-type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for controlling smartphone usage amongst university stud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Method: This wa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pre-test and post-test design). A total of 38 freshmen (17 experimental and 21 control) participated in the study. Experimental subjects attended a two nights and three days camp, wher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ncluded meetings for basic psychological needs (e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Results: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Z=-2.91, p=.003)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Z=-3.47, p<.001).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tained in the degre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p=.194), mea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 and post-test changed from the level of potential risk users to general users. Conclusion: The current findings indicate that by considering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ur program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controlling smartphone usage amongst college students. Therefore, we propose that a camp-type counseling program could be considered for application as group therapy for programs associated with preventing smartphone overdependence.

1학년 시각장애대학생의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현상학 연구 : 휴학의 기로에서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the Meaning of Visually-impaired Undergraduate Freshmen's University Entrance and their School Life Experiences: At a crossroads before taking a leave of absence)

  • 최선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36-50
    • /
    • 2018
  • 본 연구는 부산시 소재의 S대학교 1학년 과정을 마치고, 현재 휴학을 고려하고 있는 3명의 시각장애대학생을 대상으로 2018년 3월부터 7월 동안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대학진학의 의미와 학교생활경험에 대한 본질적 의미와 구조를 탐색 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첫째, 대학진학의 의미는 무엇인가? 둘째, 입학 후 학교생활 경험은 무엇인가? 이며, 연구결과 "캠퍼스생활의 설렘과 대학생이라는 이름", "부모의 권유", "안마사 말고 다른 무엇", "누구나 들어가는 곳 인가? 특별한 곳인가?","대중 속의 고독", "모든 것이 장애물","포기한건 아니지만 여전히 애매한 시간 속으로", "또 다시 갈등 시작", "대학재학은 현재가 아닌 미래를 위한 것". 이라는 10개의 중심주제가 도출되었으며, 대학에 진학한다는 것, 그 의미(범주1), 대학생활 적응과 현실(범주 2), 입학 1년후: 대학 재학의 의미(범주 3)라는 주제로 범주화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이 시각장애인학생들의 초기 대학생활적응을 위해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지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