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6초

COVID-19 progression towards ARDS: a genome wide study reveals host factors underlying critical COVID-19

  • Shama Mujawar;Gayatri Patil;Srushti Suthar;Tanuja Shendkar;Vaishnavi Gangadhar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2호
    • /
    • pp.16.1-16.14
    • /
    • 2023
  •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is a viral infection produced by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virus epidemic, which was declared a global pandemic in March 2020.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recorded around 43.3 billion cases and 59.4 million casualties to date, posing a severe threat to global health. Severe COVID-19 indicates viral pneumonia caused by the SARS-CoV-2 infections, which can induce fatal consequences, including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ARD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etter understand the COVID-19 and ARDS pathways, as well as to find target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To accomplish this, we retrieved over 100 patients' samples from the Sequence Read Archiv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These sequences were processed through the Galaxy server next generation sequencing pipeline for variant analysis and then visualized in the Integrative Genomics Viewer, and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t-tests and Bonferroni correction, where six major genes were identified as DNAH7, CLUAP1, PPA2, PAPSS1, TLR4, and IFITM3. Furthermor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 genomes of COVID-19-related ARDS will aid in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treatment of target proteins. Finally, the discovery of novel therapeutics based on discovered proteins can assist to slow the progression of ARDS and lower fatality rates.

급성 호흡기감염 환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분포와 경구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연구 (Penicillin Resistant Distribution and in-vitro Susceptibility of Oral Antibiotics against Streptococcus pneumoniae, isolated from Pediatric Patients with Community-Acquired Respiratory Infections in Korea)

  • 강진한;김선미;김종현;허재균;이경일;신영균;박수은;마상혁;홍영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호
    • /
    • pp.40-47
    • /
    • 2005
  • 목 적 : 인체의 세균성 호흡기감염 및 중추신경계 감염에 제일 중요하고 흔한 병원균인 폐구균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발생되기 시작하여 점차 증가하며 최근에는 고도 내성균에 의한 중증 감염이 임상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5세 이하의 어린 소아 연령에서 더욱 빈번하게 호흡기감염과 중추신경계 감염을 일으키는 특성이 있어 폐구균에 대한 항균력 평가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이런 배경에 따라 국내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 환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에 대하여 페니실린 내성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에서 이들 질환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경구용 항생제인 amoxicillin, amoxicillin-clavulanate, cefaclor에 대한 항균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방 법 : 2000년 5월부터 2003년 6월 사이에 가톨릭의대 성모자애병원, 여의도 성모병원, 성빈센트병원, 성바오로병원, 대전성모병원, 고려의대 안산병원, 부산의대병원, 마산파티마병원, 인하의대병원에 외래 방문 또는 입원한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을 지닌 환아에서 분리 동정된 156개의 폐구균을 대상으로 하였다. 2003년 NCCLS의 기준에 의한 한천배지 희석법으로 페니실린에 대한 MIC를 일차적으로 확인하여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을 파악하였고,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에서의 내성률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amoxicillin, amoxicillin-clavulanate, cefaclor에 대한 내성 정도를 파악하고 $MIC_{50}$$MIC_{90}$을 확인하여 감수성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 중이염, 급성 부비동염 및 폐렴 환아로부터 분리된 156 폐구균 검체에서 페니실린에 78.2%(중등도 내성률; 46.2%, 고도 내성률; 32.0%)의 높은 내성률이 확인되었고, 질환별로는 급성 부비동염의 페니실린 내성률이 71.4%, 급성 폐렴의 경우는 73.4%이었으나 급성 중이염의 경우는 92.7%로 두 질환에 비해 현저히 높은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2003년 NCCLS 판정 MIC 기준에 따른 amoxicillin의 내성률은 16.7%(중등도 내성; 15.4%, 고도 내성; 1.3%)로 나타나 페니실린의 내성 결과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amoxicillin-clavulanate의 경우는 내성률이 9.6%(중등도 내성 9.6%, 고도 내성; 0%)로 역시 penicillin 내성 결과와 현저히 다른 결과를 알 수 있었으며, amoxicillin보다도 내성률이 낮았고 고도 내성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cefaclor의 내성 결과는 95.5%(중등도 내성 1.9%, 고도 내성; 93.6%)의 결과를 보여 매우 심각한 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로 소아 급성 호흡기감염 환아로부터 분리된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이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급성 중이염 환아에서 분리된 폐구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이 가장 높아 급성 중이염 환아에게 항생제의 사용이 많았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amoxicillin과 amoxicillin-clavulanate에 대한 항균력을 평가한 결과 amoxillin과 amoxicillin-clavulanate의 폐구균에 대한 내성은 페니실린보다 현저히 낮았고, 특히 amoxillin의 고도 내성률은 1.3%이었고, amoxicillin-clavulanate에서는 고도 내성을 보인 폐구균이 없는 결과를 보여 국내에서는 이들 항균제의 표준 용량으로 폐구균에 의한 소아 급성 호흡기감염 치료가 일차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국내에서 경구 cephalosporin제 중 제일 사용이 많은 cefaclor의 경우는 95.5%의 내성을 보여 일차 약제로서의 역할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흉부외상 환자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xperience of ventilator therapy in chest trauma)

  • 서강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1호
    • /
    • pp.59-63
    • /
    • 1993
  • A clinical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a population of 49 patients of chest trauma, who were diagnosed to undergo ventilator therapy, and had gone through ventilator therapy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Kyungpook University Hospital. One of most common causes of chest trauma was vehicle accidents [77.5%] with the prevalent age group being their forties. The common findings were multiple rib fractures [89.8%], hemopneumothrax [81.6%], lung contusion [61.2%] and flail chest [44.9%]. Their common combined injuries were the orthopedics and neurosugical injuries [86.7%]. Complications caused by chest trauma were pneumonia, respiratory failure, atelectasis, barotrauma and empyema. Pulmonary infections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mechanical ventilation in the long term group and were best prevented by using bronchial hygiene therapy.The mortality rate was 5.8% of the total patients and that was 38.8% of the patients, who needed ventilator therapy. The causes of death were pneumonia, respiratory failure, acute renal failure and hypovolemic shock. Mechanical ventilation has an important plac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severe chest trauma.

  • PDF

대구지역 단일병원에서 입원 환아의 호흡기 바이러스 역학 및 임상 양상: 2010-2012년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s of Respiratory Viruses in Pediatric Inpatients in a Single Medical Center in Daegu from 2010 to 2012)

  • 이은경;이윤영;최광해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0권2호
    • /
    • pp.95-100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respiratory viral infection in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From 2010 to 2012, we tested nasopharyngeal swab specimen in 1,584 hospitalized children with multipl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s to identify 10 kinds of respiratory viruses (including influenza virus A, B (FluA, FluB),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human metapneumovirus (MPV), adenovirus (AdV), human coronavirus (CoronaV), human enterovirus (HEV), human bocavirus (HBoV), parainfluenza virus (PIV), and human rhinovirus (Rhinovirus)). We analyzed the positive rate,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and clinical features (respiratory tract and non-respiratory tract) according to the retrospective review of medical records. Results: Respiratory viruses were detected from 678 (42.8%) of 1,584 patients. The most common detected virus was RSV (35.0%), and then AdV (19.0%), HEV (18.1%). The critical period of the respiratory viral infection was during the first 12 months of a child's life. PIV increased by 8.4%, 12.1%, and 21.1% annually. Bronchiolitis was most frequently caused by RSV, and croup was frequently caused by PIV. The most common cause of meningitis was HEV. Hepatitis-associated respiratory virus was developed 111 in 678 cases. Conclusion: Although this study was confined to a single medical center for three years, we identified the epidemiology and clinical feature of respiratory viruses in Daegu from 2010 to 2012. Future surveillance will be necessary for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급성 호흡기 감염증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이재숙;서현주;우정주;장성희;이진아;송미옥;박화영;안영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75-82
    • /
    • 2007
  • 목 적 : hMPV는 paramyxovirus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2001년 van den Hoogen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영아와 노인에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많지 않다. 최근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아들에서 hMPV를 확인한 바 있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을지병원,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소아과에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방문한 443명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hMPV RT-PCR을 시행하였고, 양성인 15명의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443명 중 15명에서 hMPV PCR 양성을 보여 양성율은 3.4%이었다. 남아가 7명, 여아가 8명이었고 연령은 1개월에서 62개월(정중값 31.5개월)이었다. 이중 24개월 미만의 환아가 53.3%(8/15)이었다. 진단명은 폐렴 9명, 모세기관지염 3명, 상기도염 2명, 후두염 1명이었다. 그 중 1명에서 천식이 있었고 나머지 환아에서는 기왕력이 없었다. 임상 증상으로는 기침이 15명(100%)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열감 12명(80%), 콧물 10명(67%), 구토 4명(27%), 호흡 곤란 4명(27%), 설사 3명(20%), 발진 1명(7%)이 있었다. 신체 검진 상 인두 발적이 가장 흔하게 보이는 소견이었으며 나음 6례, 흉부 함몰 4례, 빈호흡 2례, 천명 2례, 천음 1례가 관찰되었다. 말초 혈액 검사만으로 hMPV 감염을 시사하는 특징적인 소견은 없었다. 15명 중 2명에서 아데노바이러스와 중복감염이 있었다. 평균 발열 기간은 $4.9{\pm}2.8$일이었으며 입원 치료를 하였던 13명의 평균 재원 기간은 $5.6{\pm}0.9$일이었고 모두 대증적 치료 후 합병증 없이 증상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다. 결 론 : hMPV는 상기도 및 하기도 호흡기 감염의 중요 원인 바이러스 중 하나로 생각되며 우리나라에서의 임상적, 역학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제주도 소아에서 2000년 4월부터 6월까지 발생한 장 바이러스 감염의 임상 양상 및 장 바이러스 71형 감염의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pidemiology of Nonpolioenteroviral infections, including Enteroviruis 71 in Children in Jeju-do, Korea between April and June 2000)

  • 윤소희;김의종;홍정연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6권1호
    • /
    • pp.73-79
    • /
    • 2009
  • 목 적: 장 바이러스 감염은 소아에서 중요한 바이러스 감염중 하나이며 우리 나라에서도 최근 장 바이러스 71형의 감염이 산발적으로 보고되고 있기에 장 바이러스 감염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분석하고, 또한 그 중 장 바이러스 71감염으로 확인된 환아들의 임상양상과 장 바이러스 71형이 아닌 장 바이러스 감염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0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제주의료원 소아과 외래를 방문하거나 입원한 소아 239명을 대상으로, 바이러스를 확인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배양검사와 RT-PCR 방법을 사용하였고 EV71 확인을 위해서 VP1 유전자의 유전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 분석을 통하여 성별, 연령, 발병 시기 및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고 환자들을 주된 진단명에 따라 A군(피부 발진이나 구협염 등의 장 바이러스 감염 증세를 보이면서 식욕부진, 복통, 구토와 설사등 급성 위장관염 증세가 주된 환자들), B군(피부 발진이나 구협염 등의 장 바이러스 감염 증세를 보이면서 하기도 감염 증세가 주된 환자들), C군(상기도 감염증세와 함께 구내 궤양이나 피부 발진 등을 보이는 환자들), D군(주로 두통, 마비, 수막염 증세 등 신경학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들)으로 나누어 임상양상을 분석하였다. 결 과: 전체 87명 중 A군은 16명(18%), B군은 21명(24 %), C군은 42명(48%), D군은 8명(9%)이었으며 전체(87명)적으로 포진성 구협염은 63명(71%), 발진은 40명(46%), 발열 증상은 50명(57%)에서 있었고 평균 발열 기간은 3.3일이었다. 장 바이러스 71형 양성 반응 환자 11명에서 A군이 1명, B군이 2명, C군 7명, D군이 1명이었으며 피부 발진 8명(73%), 포진성 구협염 9명(82%), 발열 증상이 8명(73%)로 나타났고 평균 발열기간은 2.71일이었다. 위장관 증상은 8명(73%)에서 나타났고 신경학적 증상을 보인 환자는 2명 있었다. 결 론: 2000년 4월부터 6월까지 3개월 동안 제주도 소아에서 발생한 장 바이러스 감염은 특징적인 장바이러스 감염의 임상 소견을 보인 수족구병이나 구협염 및 무균성 수막염 외에도 하기도 감염, 급성 위장관염, 등과 함께 많은 경우에 동반되었다. 장바이러스 중 심한 중추신경계 감염으로 치명적인 결과를 자주 초래하는 EV71 감염도 드물지 않게 관찰되었으나 다른 장바이러스 감염과의 임상양상의 중증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는 특징을 보였다.

  • PDF

Pediatric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 Presenting with Acute Cholestatic Hepatitis and Other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in the Absence of Pneumonia

  • Song, Won Jae;Kang, Ben;Lee, Hwa Pyung;Cho, Joongbum;Lee, Hae Jeong;Choe, Yon Ho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0권2호
    • /
    • pp.124-129
    • /
    • 2017
  • Mycoplasma pneumoniae infections mainly involve respiratory tract; however, also can manifestate other symptoms by site involved. Extrapulmonary manifestations of M. pneumoniae infection are rarely known to occur without pneumonia. Herein we report a case of a 9-year-old boy who presented with acute cholestatic hepatitis in the absence of pneumonia. Rhabdomyolysis, skin rash, and initial laboratory results suspicious of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opathy were also observed in this patient. M. pneumoniae infection was identified by a 4-fold increase in immunoglobulin G antibodies to M. pneumoniae between acute and convalescent sera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his is the first pediatric case in Korea of M. pneumoniae infection presenting with acute cholestatic hepatitis in the absence of pneumonia.

소아에서 13종 호흡기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하기도 감염의 임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due to 13 respiratory viruses detected by multiplex PCR in children)

  • 임정숙;우성일;백윤희;권혁일;최영기;한윤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3호
    • /
    • pp.373-379
    • /
    • 2010
  • 목 적 : 급성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하는 소아에서 최근 알려진 hRV C 및 hBoV를 포함하여 13종 호흡기 바이러스의 임상 양상 및 역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급성 하기도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중 325명을 대상으로 비인두 흡인물에서 multiplex RT-PCR법을 이용하여 총 13종의 바이러스를 검출하였으며, 대상 소아의 의무기록을 검토하였다. 결 과 : 대상 소아 중 270례(83.1%)에서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혼합 감염은 71례(26.3%)에서 관찰되었다. 바이러스 검출 빈도는 RSV 108례(33.2%), hRV 62례(19.1%), Flu A 55례(16.9%), hMPV 50례(15.4%), PIV 27례(8.3%), hBoV 26례(8.0%), ADV 19례(5.8%), hCoV 7례(2.2%)였다. 임상진단은 세기관지염 37.5%, 폐렴 34.5%, 급성 천식 악화 20.9%, 크룹 7.1%이었으며, 세기관지염과 폐렴으로 진단된 소아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된 호흡기 바이러스는 RSV, hRV, hMPV, Flu A였다. Flu A와 hRV는 3세 이상의 천식 악화로 진단된 소아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hRV A와 hRV C는 각각 48명(14.8%)와 14명(4.3%)에서 검출되었으며, hRV C가 검출된 소아의 평균 연령은 $4.1{\pm}3.5$세로 hRV A가 검출된 소아에서의 $1.7{\pm}2.3$세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0.009). hBoV는 세기관지염 또는 폐렴으로 진단된 소아에서 주로 검출되었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3{\pm}3.4$세였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소아에서 13종의 바이러스에 의한 하기도 감염의 양상을 관찰하였다. 소아 하기도 감염에서 새로 알려진 바이러스들의 역할을 명확히 알기 위해서는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Differential Roles of Lung Dendritic Cell Subsets Against Respiratory Virus Infection

  • Kim, Tae Hoon;Lee, Heung Kyu
    • IMMUNE NETWORK
    • /
    • 제14권3호
    • /
    • pp.128-137
    • /
    • 2014
  • Respiratory viruses can induce acute respiratory disease. Clinical symptoms and manifestations are dependent on interactions between the virus and host immune system. Dendritic cells (DCs), along with alveolar macrophages, constitute the first line of sentinel cells in the innate immune response against respiratory viral infection. DCs play an essential role in regulating the immune response by bridging innate and adaptive immunity. In the steady state, lung DCs can be subdivided into $CD103^+$ conventional DCs (cDCs), $CD11b^+$ cDCs, and plasmacytoid DCs (pDCs). In the inflammatory state, like a respiratory viral infection, monocyte-derived DCs (moDCs) are recruited to the lung. In inflammatory lung, discrimination between moDCs and $CD11b^+$ DCs in the inflamed lung has been a critical challenge in understanding their role in the antiviral response. In particular, $CD103^+$ cDCs migrate from the intraepithelial base to the draining mediastinal lymph nodes to primarily induce the $CD8^+$ T cell response against the invading virus. Lymphoid $CD8{\alpha}^+$ cDCs, which have a developmental relationship with $CD103^+$ cDCs,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viral antigen presentation. Moreover, pDCs have been reported to promote an antiviral response by inducing type I interferon production rather than adaptive immunity. However, the role of these cells in respiratory infections remains unclear. These different DC subsets have functional specialization against respiratory viral infection. Under certain viral infection, contextually controlling the balance of these specialized DC subsets is important for an effective immune response and maintenance of homeostasis.

SARS-CoV-2 Infection of Airway Epithelial Cells

  • Gwanghui Ryu;Hyun-Woo Shin
    • IMMUNE NETWORK
    • /
    • 제21권1호
    • /
    • pp.3.1-3.16
    • /
    • 2021
  • Coronavirus disease 2019 caused by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has been spreading worldwide since its outbreak in December 2019,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declared it as a pandemic on March 11, 2020. SARS-CoV-2 is highly contagious and is transmitted through airway epithelial cells as the first gateway. SARS-CoV-2 is detected by nasopharyngeal or oropharyngeal swab samples, and the viral load is significantly high in the upper respiratory tract. The host cellular receptors in airway epithelial cells, including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nd transmembrane serine protease 2, have been identified by single-cell RNA sequencing or immunostaining. The expression levels of these molecules vary by type, function, and location of airway epithelial cells, such as ciliated cells, secretory cells, olfactory epithelial cells, and alveolar epithelial cells, as well as differ from host to host depending on age, sex, or comorbid diseases. Infected airway epithelial cells by SARS-CoV-2 in ex vivo experiments produce chemokines and cytokines to recruit inflammatory cells to target organs. Same as other viral infections, IFN signaling is a critical pathway for host defense. Various studies are underway to confirm the pathophysiological mechanisms of SARS-CoV-2 infection. Herein, we review cellular entry, host-viral interactions, immune responses to SARS-CoV-2 in airway epithelial cells. We also discuss therapeutic options related to epithelial immune reactions to SARS-CoV-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