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ute lung leak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s of Inhalation versus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on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 Lee, Soojin;Cho, Jeong Su;Kim, Eunsoo;Kim, Yeongdae;Lee, Jonggeu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1호
    • /
    • pp.30-36
    • /
    • 2022
  • Background: No consensus exists regarding whether volatile anesthetics are superior to intravenous anesthetics for reducing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PPCs) in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for surgery. Studies of this issue focused on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are lacking.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total intravenous anesthesia (TIVA) versus volatile anesthesia on PPCs after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examin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lung cancer who underwent lung resection at our center between January 2018 and October 2020. The primary outcome was the incidence of PPCs, which included prolonged air leak, pneumonia,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empyema, atelectasis requiring bronchofiberscopy (BFS), acute lung injury (ALI), bronchopleural fistula (BPF), pulmonary embolism, and pulmonary edema.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was used to balance the 2 groups. In total, 579 anatomic pulmonary resection cas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Results: The 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volatile anesthesia and TIVA groups in terms of PPCs, except for prolonged air leak. Neither of the groups showed atelectasis requiring BFS, ALI, BPF, pulmonary embolism, or pulmonary edema after PSM. However,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tensive care unit stay, and duration of chest tube indwelling were shorter in the TIVA group. Conclusion: Volatile anesthetics showed no superiority compared to TIVA in terms of PPCs after anatomical pulmonary resection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Considering the advantages of each anesthetic modality, appropriate anesthetic modalities should be used in patients with different risk factors and situations.

호중구를 매개하는 백서의 급성 폐손상의 병리가전에 있어 기도내로 투여한 히스타민의 역활에 관하여 (The study for the roles of intratracheally administered histamine in the neutrophil-mediat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고윤석;;;김미정;이인철;임채만;이상도;김동순;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3호
    • /
    • pp.308-322
    • /
    • 1996
  • 연구배경 : 히스타민은 폐혈관주위의 비만 세포내에 풍부하게 분포하니 아직까지 급성 폐손상의 병리기전에 있어 히스타민의 역할에 대해서는 규명되어 있지 않았다. 히스타민은 IL-1 이나 IL-8과 같은 cytokine 사이에 상호작용이 있고 혈관내피 표면상에 P-selectin의 표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건강한 백서의 기도내로 침윤이 증가되며 히스타민과 TNF를 병용 투여서는 TNF 단독 투여사보다 폐장내 호중구의 침윤이 증폭되고 폐손상의 정도가 증가 될 것으로 가정하였다. 방법 : 몸무게 270-370gm인 Sprague-Dawley 쥐를 사용하여 정상군은 생리식염수 0.5mL을, 치료군은 체증 1Kg 당 $1.1{\mu}g$, $11{\mu}g$$55{\mu}g$의 히스타민을 단독 혹은 TNF 500ng과 함께 병용하여 기도로 투여하거나 히스타민 $55{\mu}g$과 IL-1 50ng을 병용투여 한 뒤 5시간 뒤 에 폐조직 내 myeloperoxidase(MPO) 활성도와 폐포액내 호중구 수 및 쥐의 IL-8으로 고려되는 cytokine-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CINC)의 활성도 그리고 폐혈관내 알부민의 폐조직내로의 누출을 측정하였다. 또한 TNF와 히스타민을 병용투여한 뒤 TNF와 히스타민 병용치료군에 항히스타민제를 경정맥내로 주입한 뒤 동일한 방법으로 각 지표들을 측정하여, 관찰된 상승효과가 차단되는지를 보았다. 곁과 1) TNF치료군은 정상군에 비하여 폐장내 MPO 활성도, 기관폐포액내 홍중구수 및 폐혈관의 누출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각 p<0.001), 히스타면 투여군은 11 및 $55{\mu}g/kg$ 투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MPO 활성도만이 높게 나타났다(p<0.05) 2) 폐장내 MPO 활성도는 기도내로 TNF와 병용투여한 히스타민 $1.1{\mu}g$군, $11{\mu}g$군 및 $55{\mu}g$ 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어 나타났으며(각 p<0.001) 히스타민 $11{\mu}g/kg$ 병합투여군에서는 TNF 단독치료군에 비해서도 높게 나타났다(p=0.0251). 기관폐포액내 호중구의 수는 히스타민 1.1, 11 및 $55{\mu}g/kg$군 모두에서 정상군(p<0.05)에 비해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1.1{\mu}g/kg$군은 TNF 단독치료군에 비해서도 높았다(p=0.0367). 급성 폐혈관 히스타민 $1.1{\mu}g$군, $11{\mu}g$$55{\mu}g$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나(p<0.001), TNF 치료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3) TNF와 히 스타민 1.1, 11 및 $55{\mu}g/kg$이 병용투여된 군 모두에서 정상군에 비해 폐포 세척액내 CINC 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각각 p-값<0.01 및< 0.05) 4) $H_1$ 수용체차단제인 mepyramine과 $H_2$ 수용체차단제인 ranitidine 세척액내 증폭되었던 호중구 수 및 CINC의 활성도를 감소시켰다(각각 p-값>0.05) 5) IL-1과 병용 투여한 히스타민은 정상군에 비해 MPO 활성도 및 급성 폐혈관 누출이 증가되었으나(p<0.05), IL-1 치료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본연구의 결과로서 백서의 기도내로 국소적으로 히스타민을 투여시 5시간 이내에 폐조직내 호중구의 침윤이 증가되고 TNF로 유도된 폐조직내 MPO 활성도 및 기관폐포액 내 호중구 수의 증가가 증폭되나 폐혈관내 알부민의 폐장내 누출의 증폭작용이 없고 IL-1으로 유도된 폐손상에도 급성 폐손상의 증폭작용이 관찰되지 않으므로 TNF나 IL-1으로 유도되는 급성 폐손상에 히스타민 병용 투여에 의한 폐손상의 증폭작용은 없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흰쥐에서 내독소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moxofloxacin의 개선효과 (Ameliorating Effects of Moxifloxacin on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in Rats)

  • 이영만;최휘건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00-1108
    • /
    • 2011
  • 흰쥐에서 내독소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moxifloxacin의 효과를 형태학적으로 호중구의 폐장 내 침윤 및 세포질형 포스포리파아제(cytosolic phospholipase A2) 발현과 관련하여 알아보았다. 내독소는 잘 알려진대로 흰쥐에서 급성 폐손상을 유발하였고 이때 폐장 내의 호중구의 침윤 및 폐장 및 호중구에서의 세포질형 포스포리파아제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또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종양괴사성인자(tumor necrosis factor)의 발현도 증가하였다.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산소기 생성의 검사에서도 내독소에 의하여 산소기의 생성이 폐장 내에 증가한 사실을 확인하였고, 산화성 스트레스에 유발되는 제2형 폐포세포에서의 층상체의 변화도 관찰하였다. 면역변환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moxifloxacin은 이러한 변화들을 억제하고 형태학적으로 내독소에 의한 급성 폐손상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내독소 유도 급성폐손상에서 항히스타민의 역할 (The Effect of Antihistamine on Endotoxin-induced Acute Lung Injury)

  • 정복현;고윤석;김원동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3호
    • /
    • pp.219-229
    • /
    • 2002
  • 연구배경 : 히스타민은 폐 내에 널리 분포하며 강력한 모세혈관 투피성 증가 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내피세포 표면에서 P-selectin의 발현을 증가 시키고 IL-8 분비를 촉진시켜 호중구의 조직 내 이동 및 활성화에 관여한 다고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내독소로 유도되는 급성폐손상의 발병기전에 내인성 히스타민이 호중구 의존성 폐손상의 주요 매개물질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나 자세한 역할은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저자들은 내독소로 유도되는 급성폐손상의 발병기 전에 내인성 히스타민이 관여한다면 항히스타민제를 전처치 시 내독소에 의한 폐손상이 감소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 폐손상이 감소된다면 어떤 기전이 연관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Sprague-Dawley쥐를 이용하여 생리 식염수를 기도 내 투여한 정상군, 내독소를 기도내 투여한 내독소군, $H_1$ 수용체 차단제 (mepyramine) 및 $H_2$수용체 차단제(ranitidine)를 정주 후 내독소를 투여한 $H_1$ 처치군 및 $H_2$ 처치군 등 모두 네군으로 나누어 처치 5 시간 후 급성폐손상의 여러 지표들을 측정 비교하였다. 결 과 : 내독소군은 정상군에 비해 측정한 폐손상지표들이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각 p<0.01). $H_2$처치군에서는 폐단백누출지표, BAL 액내 총단백 및 LDH농도가 모두 내독소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각 p<0.05, p<0.05, p<0.05). $H_1$처치군에서는 내독소군에 비해 폐단백누출지표 만이 유의하게 낮았다(p<0.05). 그러나 $H_1$ 처치군 및 $H_2$처치군에서 측정된 MPO 활성도, 병리학적 손상지수와 BAL액내 호중구수, TNF-${\alpha}$, IL-$l{\beta}$ 및 IL-10 농도는 내독소군과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백서에서의 내독소 유도 급성폐손상 모형에서 $H_2$ 수용체 차단제는 폐포-모세혈관 막의 증가된 투과성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나 호중구의 폐내 침윤은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Interleukin-1으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 rutin의 효과 (Rutin Ameliorates Neutrophilic Oxidative Stress-Induced Acute Lung Injury by Intratracheal IL-1 Insufflation in Rats)

  • 권성철;박윤엽;이영만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4-480
    • /
    • 2010
  • 흰쥐에서 Interleukin-1 (IL-1)으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의 group II phospholipase $A_2$ ($PLA_2$) 억제제인 rutin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Rutin은 IL-1에 의해 증가한 폐장내의 myeloperoxidase의 활성도를 감소시키지는 못하였으나 폐포세척액 내의 호중구의 수 및 모세혈관의 손상지표로 알려져 있는 폐장 모세혈관에서의 단백질 누출양을 감소시켰다. 동시에 rutin은 IL-1에 의하여 증가한 폐장의 염증조절효소인 $PLA_2$의 활성도를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호중구에서의 산소기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Rutin 뿐만 아니라 manoalide, scalaradial 같은 group II $PLA_2$의 억제제도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를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IL-1에 의하여 증가한 폐포세척액 내에서의 cytokine induced neutrophil chemoattractant의 농도는 rutin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형태학적으로는 IL-1에 의한 폐장조직에서의 산소기의 형성이 관찰되었고 rutin은 이러한 산소기의 생성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group II $PLA_2$ 억제제인 rutin은 호중구에서의 활성 산소기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IL-1에 의한 급성폐손상의 감소를 가져 오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장의 허혈-재관류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에서 산화성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group II phospholipase $A_2$의 역할 (Role of Group II Phospholipase $A_2$ in the Pulmonary Oxidative Stress of the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Gut Ischemia-Reperfusion)

  • 전상훈;김근;이상철;김성은;이영만;이종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01-510
    • /
    • 2002
  • 배경: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은 다양한 병인에 의해 발병하지만 그 병인론이 아직까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장의 허혈-재관류시에 발병하는 급성 호흡곤란증후군에서 group II phospholipase $A_2$ ($PLA_2$)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특히 폐장내의 호중구의 침윤과 더불어 유발되는 산화성 스트레스에서 group II $PLA_2$의 역할을 규명하려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체중 300g 내외의 Sprague-Dawley 종 흰쥐에서 급성 폐손상을 유발하기 위하여 상장간막동맥을 60분간 차단한 후 120분간 재관류를 시행하였다. Group II $PLA_2$가 폐장의 손상, 특히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호중구의 작용과 연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폐누출지수, 폐장내 myeloperoxidase의 활성도, 폐포세척액내의 단백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장의 허혈-재관류에 따른 폐장내 $PLA_2$ 활성도의 변화를 검사하였고, 호중구에서의 산소기 형성에 미치는 group II $PLA_2$의 역할은 분리된 호중구에 rutin, manoalide, scalaradial과 같은 group II $PLA_2$ 억제제를 이용하여 산소기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함으로써 알아보았다. 장의 허혈-재관류에 따른 폐장 조직의 산화성 스트레스를 확인하기 위해 광학현미경법 및 cerium chloride를 이용한 세포화학적인 전자현미경법을 이용하여 폐장내 산소기의 생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장의 허혈-재관류 후 폐장내 호중구의 침윤과 함께 급성 폐손상이 유발되었고, 폐장내 myeloperoxidase 활성도, 폐누출지수 및 폐세척액내의 단백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1). 폐장 및 장에서의 group II $PLA_2$ 활성도는 허혈-재관류 후 폐장, 장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rutin에 의해서 현저히 감소하였다(p<0.001). 사람의 혈액에서 분리된 호중구에서의 산소기 생성을 cytocrhome-c reduction assay를 통해 알아본 결과 rutin, manoalide, scalaradial 같은 group II PLA, 억제제에 의해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허혈-재관류 후 광학현미경적 소견은 폐장내 염증세포의 침윤 및 모세혈관 주위의 부종이 관찰되었으나 rutin에 의해 이러한 변화는 억제되었다. $CeCl_3$을 이용한 세포화학적 전자현미경 실험에서 허혈-재관류 후 과산화수소의 생성이 증가하고 rutin에 의해서는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Croup II $PLA_2$의 억제는 침윤된 호중구로부터 산화기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급성 폐손상을 완화하는 것으로 보이며, 따라서 group II $PLA_2$는 장 허혈-재관류로 유도된 급성 폐손상의 산화성 스트레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장의 재관류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의 Doxycyclin의 효과 (Effect of Doxycycline on the Acute Lung Injury Induced by Gut Ischemia/Reperfusion)

  • 이영만;권성철;이상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32-541
    • /
    • 2003
  • 연구배경 : 장의 재관류로 발생하는 급성폐손상에서 group II $PLA_2$의 억제제로 알려진 doxycyclin의 치료효과와 그 작용기전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특히 장의 재관류에 의한 급성폐손상이 호중구에 의한 산화성 스트레스에 의하며 이 과정에서 group II $PLA_2$가 관여한다는 사실에 근거하여 doxycyclin의 산화성 스트레스억제를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방법 : 체중 300g 내외의 Sprague-Dawley 흰쥐에서 상장간막동맥을 60분간 clamp한 뒤 120분간의 재관류를 시키면 급성폐손상이 유도된다. 이때 호중구에 의한 산화성스트레스가 유발되고 여기에 $PLA_2$가 관여하는 것을 관찰하기위해 lung leak, lung MPO 활성도, CeCl3 cytochemical electron microscopy, cytochrome-c reduction assay 및 lung $PLA_2$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doxycyclin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oxycyclin hyclate(10mg/kg)를 복강내 주사한 뒤 위에서 언급한 모든 parameter를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 : 장의 재관류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에서 doxycyclin은 폐손상을 감소시켰는데 이것은 doxycyclin에 의한 lung MPO, 산소기생성, lung $PLA_2$ 활동도의 감소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론 : 장의 재관류로 유도된 급성폐손상은 호중구에서 생성되는 산소기, 특히 $PLA_2$의 활성화에 의해 생성된 산소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때 doxycyclin은 $PLA_2$를 억제하여 산화성 스트레스를 감소시킴으로서 폐손상의 감소를 가져오는 것으로 생각된다.

Glutathione이 고갈된 흰쥐에서 내독소에 의해 유도된 급성 폐손상시 $PLA_2$ 억제가 산소기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Inhibition of $PLA_2$ on the Oxidative Stress in the Lungs of Glutathione Depleted Rats Given Endotoxin Intratracheally)

  • 조현국;문혜정;박원학;김태완;이영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2호
    • /
    • pp.246-259
    • /
    • 2000
  • 연구배경: 패혈증에 의해 발병하는 ARDS의 기전은 아직까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패혈증시 폐 혈관내피세포 및 제 1, 2형 폐포세포의 손상이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에 따른 oxidative stress에 의한 것인지는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다. 또한 이때 oxidative stress의 직접적인 원인인 산소기 생성기전도 명확하지가 않다. 본 연구에서는 패혈증에 의한 ARDS 발병기전을 $PLA_2$의 작용과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을 연관시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Sprague-Dawley종 흰쥐에서 diethylmaleate(DEM)를 이용하여 glutathione을 고갈시킨 뒤 내독소를 기도 내로 분무하여 급성 폐손상을 유발하였다. 이때 oxidative stress를 평가할 수 있는 방법들, 즉 단백누출지수, 폐세척액 내 단백함량, 폐장 내 myelo-peroxidase(MPO)의 활동도 malondialdehyde(MDA)의 측정 및 GGT의 활성도를 측정하고 동시에 oxidative stress에 관여하는 $PLA_2$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비특이적 $PLA_2$ 억제제인 mepacrine(50mg/kg)을 복강 내 투여한 후 폐장 내 $PLA_2$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미세구조적 변화 및 세포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조직 내 산소기의 생성을 확인, 비교하여 산소기 형성에 관여하는 $PLA_2$의 역할을 규명하였다. 결 과: Diethylmaleate에 의해 폐장 내 glutathione을 고갈시킨 뒤 내독소를 투여한 흰쥐에서, 내독소는 폐장 내 현저한 조직의 손상을 유발하였고, 동시에 oxidative stress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즉 lipid peroxidation의 증가 및 GGT 활성도의 증가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변화들은 폐장 내 호중구 침윤의 증가 및 $PLA_2$ 활성도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미세구조적 및 세포화학적인 방법으로 조직 내의 산소기 형성의 증가도 관찰하였다. 이러한 변화들이 비특이적 $PLA_2$ 억제제인 mepacrine의 작용에 의해 감소하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PLA_2$가 내독소에 의한 oxidative stress에 관여한다고 생각되었다. 결 론: 내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폐손상에서 조직손상의 원인은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에 따른 oxidative stress임을 확인하였고 이때 oxidative stress에 $PLA_2$의 활성화에 따라 생성되는 지질분자가 그 원인으로 사료되었다.

  • PDF

Platelet-activating Factor에 의한 급성폐손상에서 호중구성 산화성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Cytosolic Phospholipase A2 활성도의 변화 (Cytosolic Phospholipase A2 Activity in Neutrophilic Oxidative Stress of Platelet-activating Factor-induced Acute Lung Injury)

  • 권영식;현대성;이영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6호
    • /
    • pp.497-506
    • /
    • 2007
  • 연구배경: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병인론에 관여하는 PAF의 역할이 다양하고 중요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PAF의 또 다른 작용의 가능성, 즉 $cPLA_2$의 활성화(retrograde activation of $cPLA_2$ by PAF)의 가능성을 검사하고자 하였다. 즉, $cPLA_2$의 활성화에 따른 염증성 지질분자의 생성이 산소기의 생성과정을 증폭시키고 이 때 생성된 PAF가 역으로 $cPLA_2$를 활성화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고안되었다. 방 법: 흰쥐에서 급성폐손상을 유도하기 위하여 $5{\mu}g$의 PAF를 0.5 ml의 0.25% bovine serum albumin 용액과 혼합한 뒤 기도 내로 직접 분무하거나 0.5 ml의 4.5 mM의 과산화수소를 기도 내로 분무하였다. 대조군의 경우는 0.5 ml의 생리적 식염수를 기도 내로 분무하였다. 5 시간 후에 단백누출지수 측정, 폐장의 MPO 활성도 측정, 폐포 세척액 내의 호중구 산정, CINC 측정, NBT 및 cytochrome-c 환원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폐장 및 호중구에 서의 $cPLA_2$ 활성도의 측정 및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형태학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PAF투여 후 단백누출지수, MPO, BAL내의 호중 구의 수 및 CINC의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NBT및 cytochrome-c환원검사의 결과 PAF는 호중구의 respiratory burst를 현저히 증가시키고, 분리된 사람의 호중구에서도 산소기의 생성을 현저히 증가시켰 다. 동시에 PAF는 분리된 호중구 및 폐장의 $cPLA_2$의 활성도도 증가 시켰다. 폐장 내로 투여한 과산화수소는 폐장의 $cPLA_2$활성도를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시켰다. 결 론: $cPLA_2$의 활성화에 따라 생성된 PAF는 호중구의 산소기 생성을 증가시켜 폐장 내의 산화성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동시에 이때 생성된 산화기는 $cPLA_2$를 활성화시키며 PAF 또한 $cPLA_2$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PAF가 급성호흡 곤란증후군의 병인론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after Pneumonectomy

  • Ga Hee Jeong;Yong Soo Choi;Yeong Jeong Jeon; Junghee Lee;Seong Yong Park;Jong Ho Cho;Hong Kwan Kim;Jhingook Kim;Young Mog Sh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145-151
    • /
    • 2024
  • Background: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after pneumonectomy presents considerable challenges, and few reports in the literature have described this procedu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underwent contralateral lung resection following pneumonectomy for any reason at our institution between November 1994 and December 2020. Results: Thirteen patients (9 men and 4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dian age was 57 years (range, 35-77 years), and the median preoperativ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was 1.64 L (range, 1.17-2.12 L).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was performed at a median interval of 44 months after pneumonectomy (range, 6-564 months). Surgical procedures varied among the patients: 10 underwent single wedge resection, 2 were treated with double wedge resection, and 1 underwent lobectomy. Diagnoses at the time of contralateral lung resection included lung cancer in 7 patients, lung metastasis from other cancers in 3 patients, and tuberculosis in 3 patients.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4 patients (36%), including acute kidney injury, pneumothorax following chest tube removal, pneumonia, and prolonged air leak. No cases of operative mortality were noted. Conclusion: In carefully selected patients,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after pneumonectomy can be accomplished with acceptable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