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RF Seeker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PN 유도 기반 능동 RF 탐색기 조우 시나리오에서 반복형 능동 유인체 대응에 따른 공중 플랫폼 생존성 분석 (Survivability for Airborne Platform on Encounter Scenarios where Repeater-type Active Decoy Counteracts Active RF Seeker System Operating Based on PN Guidance Law)

  • 임재원;정기환;이현수;고일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256-265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PN 유도 법칙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능동 RF 탐색기에 대한 반복형 능동 유인체의 재밍 환경에서 공중 플랫폼의 생존성을 분석한다. 플랫폼의 기동, 유인체의 RF 제원(spec), 탐색기의 접근 거리 및 방향 등 다른 조건의 여러 조우 시나리오에서 플랫폼에 대한 탐색기의 miss distance를 계산한다. Miss distance와 근접신관거리와의 비교를 통해 플랫폼의 생존 여부를 판별하며, 이를 기반으로 몇몇 조우 시나리오에서 플랫폼 생존 영역을 도출한다.

밀리미터파 탐색기용 Ka 대역 능동 PIN 다이오드 리미터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Ka-Band Active PIN Diode Limiter for a Millimeter Wave Seeker)

  • 양승식;임주현;나영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20-22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탐색기의 수신기 보호용으로 사용할 낮은 누설 전력을 가지는 Ka 대역 능동 리미터 설계 및 제작 기법을 설명하였다. 낮은 누설 전력을 구현하기 위해서 송신 펄스 주기 신호와 입력 전력의 크기에 따라 리미터를 제어할 수 있는 능동 리미터 제어 회로를 제안하였다. 능동 리미터는 전형적인 2단 수동 리미터에 방향성 결합기, 검파기, 연산 증폭기 및 과전류 보호용 저항으로 구성된 궤환 회로로 구성되어진다. 제작된 Ka 대역 능동 리미터 측정 결과, 주파수 대역은 1 GHz, 약 신호 시 삽입 손실은 3.5 dB 이하, 능동 제어시 최대 감쇄량 46 dB, 4 W RF 입력 시 정상 누설 전력은 -7.5 dBm을 보였다.

전투기 레이다의 시계 외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데이터링크 연동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atalink Interface between fighter jet RADAR and BVR AA guided missile)

  • 김용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453-456
    • /
    • 2023
  • 전투기는 적의 공대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탐색기(seeker)가 탑재된 유도탄을 운용한다. 단거리 유도탄(SRM; short range missile)은 주로 IR 탐색기를 탑재하고 시계 거리 밖의 표적에 대응하는 중거리 유도탄(MRM; medium range missile)은 대개 RF 탐색기를 장착한다. 중거리 유도탄은 발사되더라도 탐색기의 탐지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탐식기가 작동하지 않으며 항공기에 탑재된 레이다로 중거리 유도탄을 일정 거리만큼 유도해야 한다. 이런 유도 방식을 MDL (missile data link)이라 하며, 유도탄의 통신 방식에 따라 단방향 방식과 양방향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통신 방식에 따른 MDL과 이를 위한 레이다, 임무컴퓨터 및 유도탄 간의 연동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탐색기용 AESA 안테나 성능 고도화 연구 (A Study on AESA Antenna Performance Advancement for Seeker)

  • 김영완;백종균;채희덕;주지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103-10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미사일의 눈 역할을 하는 탐색기에 적용할 수 있는 AESA 안테나의 성능 고도화 연구를 진행하고 실제 측정을 통해 안테나 성능을 검증하였다. AESA 안테나 설계 시에는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복사소자 간의 상호간섭 영향으로 송신 시 능동반사계수의 최적화를 고려해야하며, 탐색기의 공간 제한을 극복할 수 있는 소형/경량화가 적용된 복사소자의 선정이 중요한 설계 고려 사항이다. 이에 탐색기용 AESA 구조에 적용하기 위한 배열안테나 연구를 통해 전기적 성능 및 Low-profile 구조 측면에서 최적화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측정한 복사소자는 일반적인 비발디 안테나의 성능을 고도화시키면서 Low-profile 구조를 만족할 수 있는 Step Flared Notch(SFN)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SFN은 일반적인 비발디 안테나와 동일하게 광대역 특성을 가지며 AESA 안테나에 필요한 특성들이 최적화 된 특성을 보유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화 된 구조는 실제 프로토타입 안테나 제작을 통해 패턴 특성과 능동반사계수 특성을 확인하였다.

해상 전자전체계 조우 HILS 연구 (A Research on Naval Electronic Warfare System Engagement HILS Technology)

  • 신동조;이정훈;류시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85-792
    • /
    • 2010
  • This paper on the Research of Naval Electronic Warfare System HILS(Hardware In the Loop System) describes the EW engagement HILS construction method for evaluation of the operational concept analysis on active RF Decoy in staying in the air and the deceit ability to anti-ship missile seeker. We obtain the EW M&S technology of EW engagement HILS and EW efficiency analysis from this project. This Naval Electronic Warfare System HILS technology will support Active Decoy Development Project and any other HILS of EW weapon in KOREA ARMY/NAVY/AIR FORCE.

Ka밴드 평면형 능동위상배열 안테나장치 설계 (Design of Ka-band Planar Active Phased Array Antenna)

  • 한재섭;김영완;백종균;김종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43-15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항공용 소형 레이다나 유도 무기 탐색기 등에 적용이 가능한 Ka대역 평면형 능동위상배열 안테나장치를 설계한 내용을 설명하였다. 본 안테나장치는 1000개 급의 복사소자 면배열로 구성하고, 직경 200mm 이내의 크기로 설계하였다. 빔 조향 범위는 ${\pm}55^{\circ}$ 이상 가능하도록 빔 패턴 분석을 통하여 복사 소자 간격을 정의하고 안테나 성능 분석을 수행하였다. RF 구성품 설계와 버짓 검증을 통해 안테나장치의 송신 EIRP는 94.22 dBm, 수신 G/T는 1.68 dB/k 성능으로 요구 규격을 만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송신 EIRP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 TRM의 송신 출력은 1.3W 급으로 설계하였고, 수신 G/T 규격을 만족하기 위해 TRM의 수신 잡음 지수를 5dB 이하가 되도록 설계하였다.

Ka대역 능동위상배열 광대역 안테나 성능 검증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ctive Phased Array Broadband Antenna in Ka-Band)

  • 김영완;백종균;채희덕;주지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3-30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광대역 특성을 가지는 능동위상배열 안테나의 설계, 검증 및 분석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능동위상 배열 안테나를 항공기 혹은 미사일에 적용하려면 배열 안테나의 소형화 및 광각 빔조향 특성을 확보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안테나 설계 고려 사항이 될 수 있다. 특히 전자적으로 광각 빔조향 시 능동반사계수 특성은 시스템의 생존 및 성능 측면에서 최소화되어야 하는 설계 파라미터이다. 광대역 특성 및 광각 빔조향에 적합한 복사 소자로 본 논문에서는 Step Flared Notch(SFN)를 적용한 배열 구조를 설계하고 구좌표계 θ 각도 기준 최대 40° 빔조향에 따른 능동반사계수를 최소화하였다. 복사소자의 대역폭은 Ka대역에서 능동반사 기준으로 3GHz를 확인하였다. 또한 실제 제작된 8by8 배열 안테나는 근접전계 시험을 통해 복사소자의 단일 패턴을 측정하고, 수학적으로 합성하여 탐색기 시스템에 사용하는 송/수신빔을 예측하여 성능을 분석하였다.

추적 레이다의 대전자전 설계 (ECCM Design of Tracking Radar)

  • 김홍락;이만희;박성호;김윤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51-57
    • /
    • 2024
  • 추적 레이다 시스템은 대양에서 운용 중인 함정 표적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표적을 탐색, 탐지하여 추적하는 펄스방식의 추적 시스템이다. 함정에서는 추적 레이다를 혼란 또는 기만하기 위한 소프트 킬 동작을 통하여 스스로를 방어한 다. 소프트 킬 동작에는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채프 등이 있고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잡음 재밍 등 여러 동작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자전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함정에서 운용중인 다양한 기만체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각의 기만체계를 대응하기 위한 레이다 시스템 설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AESA 레이더 광각 빔조향 특성을 고려한 복사소자 설계 기법 (Radiator Design Method considering Wide-Angle Beam Steering Characteristics of AESA Radar)

  • 김영완;채희덕;안세환;주지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87-92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탐색기용 AESA 레이더에 적용할 수 있는 배열소자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AESA 레이더에 적용하기 위한 안테나는 전자 빔조향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배열 안테나에 적용할 최적의 복사소자를 선정하고, 설계 시 빔조향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광각 빔조향 특성을 충족하기 위해 광각 임피던스 매칭(WAIM:Wide Angle Impedance Matching) 기법을 활용하여 광각 조향 시 발생할 수 있는 음영 지역(Scan Blindness region)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이처럼 시스템 운용의 안정성 확보가 AESA 레이더의 중요한 설계 고려 사항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ESA 레이더 안테나 장치에 적용되는 복사소자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복사소자 끝단에 WAIM을 적용하고, 시스템의 안정적 운용 척도인 능동 반사 계수 성능 변화를 검토하였다. 최종 성능 결과는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시한 방안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