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e Learning

검색결과 1,155건 처리시간 0.037초

능동 학습 기법을 활용한 개체명 사전 반자동 구축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Semi-automatic Construction Tool for Named Entity Dictionary based on Active Learning)

  • 윤보현;오효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81-88
    • /
    • 2015
  • 웹 3.0 시대의 도래와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발달에 따라 생산된 정보의 양 역시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에서 사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개체명(NE: Named Entity) 사전을 반자동으로 구축하는 도구를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초기 학습 모델을 통해 인식된 결과로부터 오류 후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사용자로부터 최소한의 보정 작업을 수행하여 이를 재학습한다, 특히 공개지식자원인 위키피디아 내의 다양한 메타데이터의 특성을 활용하여 능동 학습에 필요한 학습 예제 작성을 위한 수작업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도구 활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능동 학습을 통해 자동 인식 결과의 오류의 약 68.6%가 보정됨을 보였다.

학생능동수업모델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과 플립러닝 교수·학습 모델 설계 및 효과 (Effect and Design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Flipped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Based on a Student's Active Learning Model)

  • 주혜진;류현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41-266
    • /
    • 2018
  • 본 연구는 학생능동수업모델을 기반으로 한 플립러닝 모델을 수학과의 특성에 맞게 설계하고 적용한 후 그 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플립러닝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학생능동수업모델에 기반한 초등학교 수학과 플립러닝 교수 학습 모델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둘째, 수학과 플립러닝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에게 교과서 중심의 수업보다 높은 만족감을 주었다. 셋째, 학생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기 주도적 학습 습관을 형성할 수 있었고, 수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역전파 알고리즘에 의한 덕트내 소음의 능동제어 (Active Control of Sound in a Duct System by Back Propagation Algorithm)

  • 신준;김흥섭;오재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9호
    • /
    • pp.2265-2271
    • /
    • 1994
  • With the improvement of standard of living, requirement for comfortable and quiet environment has been increased and, therefore, there has been a many researches for active noise reduction to overcome the limit of passive control method. In this study, active noise control is performed in a duct system using intelligent control technique which needs not decide the coefficients of high order filter and the mathematical modeling of a system. Back propagation algorithm is applied as an intelligent control technique and control system is organized to exclude the error microphone and high speed operational device which are indispensable for conventional active noise control techniques. Furthermore, learning is performed by organizing acoustic feedback model, and the effect of the proposed control technique is verified via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 of active noise control in a duct system.

A new control approach for seismic control of buildings equipped with active mass damper: Optimal fractional-order brain emotional learning-based intelligent controller

  • Abbas-Ali Zamani;Sadegh Etedal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7권4호
    • /
    • pp.305-315
    • /
    • 2023
  • The idea of the combination of the fractional-order operators with the brain emotional learning-based intelligent controller (BELBIC) is developed for implementation in seismic-excited structures equipped with active mass damper (AMD). For this purpose, a new design framework of the mentioned combination namely fractional-order BEBIC (FOBELBIC) is proposed based on a modified-teaching-learning-based optimization (MTLBO) algorithm.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then evaluated for a 15-story building equipped with AMD subjected to two far-field and two near-field earthquakes. An optimal BELBIC based on the MTLBO algorithm is also introduced for comparison purposes. In comparison with the structure equipped with a passive tuned mass damper (TMD), an average reduction of 44.7% and 42.8% are obtained in terms of the maximum absolute and RMS top floor displacement for FOBELBIC, while these reductions are obtained as 30.4% and 30.1% for the optimal BELBIC, respectively. Similarly, the optimal FOBELBIC results in an average reduction of 42.6% and 39.4% in terms of the maximum absolute and RMS top floor acceleration, while these reductions are given as 37.9% and 30.5%, for the optimal BELBIC,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superiority of the FOBELBIC over the BELBIC is concluded in the reduction of maximum and RMS seismic responses.

웹 기반 학습에 있어서의 상호작용적 자기조절학습 전략 연구 (Study on Interactiv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in Web-based Learning)

  • 한건우;김영식;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23-32
    • /
    • 2004
  • 최근 웹 기반 학습의 우수성이 크게 대두되고 여러 방면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학습자의 주도적인 참여를 요구하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려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 학습 환경을 촉진시키기 위한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개발하였다.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어 이를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하위 전략들을 도출한다. 또한 좀 더 체계화된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하위 전략 요소에 대한 상호작용적 설계를 하여 보다 진보된 웹 기반 학습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 PDF

Roots Finding - PBL in the First Year Course -

  • Hanabusa, Takao;Fujisawa, Shoichiro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5호
    • /
    • pp.72-75
    • /
    • 2010
  • Design subjects have become popular in the engineering education. In these subjects, an active learning skill was introduced to students. Students have to decide a theme and the way how to study it and to find answers by themselves. This learning method was developed in the early year courses in the University of Tokushima. The common learning curriculum among whole university adopted this design subjects from 2005 of the school year and eleven more new subjects started. "Roots finding" is one of them and the objectives are to gain abilities of self-study through the research on a particular subject, and make report then presenting them. Self-learning ability, research ability and presentation skills were enhanced through this subject.

  • PDF

건설엔지니어링 대학교육의 능동적 학습방식 도입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Active Learning Process in Construction Engineering)

  • 조창연;이준복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610-613
    • /
    • 2003
  • 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기술력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술력은 유능한 엔지니어의 양성과정에서부터 시작됨의 인식으로 대학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동적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능동적 학습방식의 의의 및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례로서 중량의 양중작업용 타인크레인을 대상으로 능동적 학습 절차와 주요 수행 내용을 설명하고 학습효과를 분석한다.

  • PDF

영재교육을 위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Small Group-Based Active-Cooperative Learning Program for Gifted Education)

  • 주국영;최성봉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74-486
    • /
    • 2008
  •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대상의 증가로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영재들의 다양한 흥미와 요구에 부합되고 인성측면을 강조할 수 있는 지구과학 영역의 교육활동 자료 개발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과학 분야에 대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이 과학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학생들의 수업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 프로그램은 영재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습태도에 있어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은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만족도 및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정의적영역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 설명 위주의 수업이 아니라, 학생 중심의 다양한 활동적 수업이 진행되었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급우들과의 토의 및 토론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는 능동적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하여 다른 학생을 배려하고 서로 조화를 이루며 의견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소집단 구성원 사이의 상호작용을 촉진했기 때문으로 인식된다.

웹 기반 문제저작 중심 협동 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Collaboration Learning System for Question Marking)

  • 최유순;정석태;박종구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27-133
    • /
    • 2006
  • 지식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웹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웹상에서의 정보 공유와 활발한 상호작용을 이루는 웹 기반 협동학습을 통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 참여와 학업성취도 향상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학습자가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만을 강조하기보다는 협동 학습과 경쟁 학습의 조화로운 활용으로 동기 유발과 학습 흥미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의 목표 달성을 위해 긍정적 상호작용을 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 팀 경쟁을 통해 학습동기를 촉진함으로써 학습자들이 문제저작을 통한 협동학습과정에서 주도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며 협동학습을 위해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한다.

  • PDF

Learning experience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during 'model preparation' of physiological concepts

  • Soundariya, Krishnamurthy;Deepika, Velusami;Kalaiselvan, Ganapathy;Senthilvelou, Munian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
    • 제30권4호
    • /
    • pp.359-364
    • /
    • 2018
  • Purpose: Learning physiological concepts and their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appropriate contexts remains a great challenge for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Hence the present study aimed to analyze the learning experience of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during an active learning process of 'preparation of models' depicting physiological concepts. Methods: A total of 13 groups, involving 55 undergraduate medical students with three to five individuals in each group, were involved in model preparation. A total of 13 models were exhibited by the students. The students shared their learning experiences as responses to an open-ended questionnaire. The students' responses were analyzed and generalized comments were generated. Results: Analysis of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t of 'model preparation' improved concept understanding, retention of knowledge, analytical skills, and referral habits. Further, the process of 'model preparation' could satisfy all types of sensory modality learners. Conclusion: This novel active method of learning could be highly significant in students' understanding and learning physiology concepts. This approach could be incorporated in the traditional instructor-centered undergraduate medical curriculum as a way to innovat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