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vated carbon filter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8초

여재를 이용한 인공습지 유출수 추가처리 (Further Treatment of Constructed Wetland Effluent using Filter Materials)

  • 함종화;김형중;김영경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16
    • /
    • 2009
  • 본 연구는 인공습지 유출수를 추가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재료를 이용한 추가처리시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석문담수호 유입부에 설치된 인공습지 중 무식재구, 갈대식재구, 부들식재구의 하단 배수로(폭 0.3m, 수심 0.35 m)에 각각 제강슬래그, 활성탄, 굴폐각을 이용해 1.0 m 길이로 추가처리시설을 설치하였으며, 각 후 처리시설별로 유입유량을 다르게 적용하였다(제강슬래그 63 $m^3$/day; 활성탄 19 $m^3$/day; 굴폐각 81 $m^3$/day). 제강슬래그, 활성탄, 굴폐각의 COD 처리율은 각각 6 %, 24 %, 1 %로 나타났으며, 제거량은 32, 30, 5 g/day로 나타나, 모든 추가처리시설에서 유기물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N과 T-P의 제거효율은 활성탄에서 24 %와 4 %로 효과적이었으나, 제강슬래그 및 굴폐각에서는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추가처리시설을 상대적으로 영양물질제거에 효과적인 인공습지와 연계하여 운영할 경우 영양물질 및 유기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미세입자, 휘발성유기화합물 차단을 위한 전기방사 창문 필터 (Development of Window Filters Using an Electrospinning Technique to Block Particulate Matte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 김순호;한상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1권3호
    • /
    • pp.401-406
    • /
    • 2023
  •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미세먼지는 환경, 건강,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대기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먼지는 심각한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방사 기술을 적용하여 실리콘 지지체에 셀룰로스아세테이트 고분자 섬유를 방사하여 미세입자를 차단하고, 활성탄 입자를 첨가하여 휘발성유기 화합물을 제거하고자 하였다. 활성탄 비율과 전기방사 시간을 달리하여 활성탄 비율, 필터 두께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효과, 톨루엔 흡착 성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기방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1~3 ㎛ 크기의 입자가 효과적으로 차단되었으며, 활성탄의 양이 0%에서 5%로 증가함에 따라 톨루엔 흡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방사 시간이 길어질 경우 필터 두께 증가로 인해 빛 투과가 현저히 떨어졌으며, 20~30분 전기방사한 필터의 경우 빛이 투과하여 창문 필터 적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상이한 흡착 능을 가진 두 가지 활성탄의 적정 배합 비를 결정하는 방법 (A Determination Method of Optimum Combination Ratio of Two Kind Activated Carbon with Different Adsorbability)

  • 박영태;임철규;김연태;이보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56-459
    • /
    • 2011
  • 본 연구는 흡착 능이 서로 다른 두 가지 활성탄을 혼합하여 최적의 흡착 능을 발휘코자 혼합할 때 그들의 최적혼합비를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활성탄의 세공특성과 흡착 능은 BET-분석에 의해 얻어지는 흡착등온곡선으로 판별하며 이는 역시 흡착필터설계의 기본적 정보를 제공한다. 따라서 고도의 BET-model의 흡착 능을 보이는 석탄 계활성탄과 낮은 Langmuir-model을 보이는 야자각계 활성탄의 혼합하는 extreme case와, 고, 저 비표면적을 가진 두 가지 활성탄을 혼합하는 middle case 및 전, 후 case의 상호 교차 배합하는 cross case 등, 3가지 시험을 수행했으며, 이를 위해 시판 품 외에 국내 한 공인 연구소가 연구용시료로서 제공한 고비표면적의 두 가지 활성탄에도 적용하여 본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필터 분리기를 이용한 여재별 도로퇴적물의 오염물질 제거효율 비교 (Comparison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in Road Sediment with Media Using Filter Separator)

  • 방기웅;이준호;최창수;이상일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2-340
    • /
    • 2007
  • 강우 시 도로에서의 초기 유출수는 유 무기물질,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부유물질에 흡착되어 거동되는 비율이 높으므로 부유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면 상당량의 오염부하를 줄일 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에서 배출되는 강우유출수의 오염저감을 위해 필터를 이용한 수리동력학적 필터분리기를 이용하여 부유물질을 처리함에 있어 필터별 오염물질 처리효율을 비교 평가함으로서 도로유출수에 대한 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현장에의 적용 방안을 모색함에 있다. 사용한 여재는 perlite, 활성탄, zeolite와 이들의 혼합소재를 대상으로 하여 칼럼여과실험과 필터분리기를 이용한 현장에서의 처리실험을 통해 여재별 처리정도 및 처리효율을 비교하였다. 칼럼여과실험결과 대체로 SS는 활성탄과 perlite, 활성탄, 소성한 zeolite의 혼합여재가, 중금속은 zeolite 및 활성탄이 양호하였다. HDFS에 의한 처리실험은 perlite와 활성탄 혼합여재가 도로유출수 처리에 적합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혼합여재에 대한 평균 처리 효율은 여재층이 9 cm, 수면적부하율 192-1,469 $m^3/m^2/d$의 범위에서 SS 48.1%, BOD 31.9%, COD 32.6%, TN 15.5%, TP 17.3%의 제거율을 나타내었고, 중금속인 경우 Fe 26.0%, Cu 19.4%, Cr 25.7, Zn 16.6%, Pb 15.0%로 조사되었다. 도로유출수의 처리를 위한 HDFS의 여재로서는 perlite와 활성탄을 혼합한 여재가 적절하였다.

활성탄의 분무 여과에 의한 소각로 배가스 중의 유기 염소계 화합물의 제거 공정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ed Carbon Injection and Filtration Process for Removal of Chlorinated Organic Compound in the Incinerator Flue Gas)

  • 주창업;황재동;이조영;조철훈;신병철
    • 청정기술
    • /
    • 제6권2호
    • /
    • pp.113-119
    • /
    • 2000
  • 소각로 배가스 중의 유해물질중 다이옥신은 그 유해성이 알려지면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인 활성탄의 분무 및 백필터의 여과 공정에 의한 유해물질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다이옥신은 그 독성이 강한 관계로 1,2-dichlorobenzene(o-DCB)을 전구물질로 사용하였으며, 공기 유량, 백필터 압력 손실, 백필터 운전온도, 활성탄 종류에 따른 o-DCB의 제거 효율을 조사하였다. 각 경우에 대한 실험 결과 소각로의 운전조건을 고려할 때 백필터에서의 운전온도 범위는 $140{\sim}170^{\circ}C$가 적합하며, 백필터에서의 압력손실은 백필터에 부착된 활성탄층에 의한 흡착성능을 고려할 때, $120mmH_2O$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활성탄과 규조토를 혼합하여 주입한 결과 활성탄과 동일량의 규조토를 투입할 시에는 90% 이상의 o-DCB를 제거할 수 있었고 또한 활성탄 투입량도 줄일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the biocidal effects of activated carbon filter supporting silver

  • Moon, Kyong-Whan;Kim, Young-Whan;Choi, Dal-Woong
    • 한국환경보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보건학회 2004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ir Health Consequences
    • /
    • pp.202-206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ilver ion concentrations released from the point-of-use(POU) water purification devices installed silver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filters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ies against HPC bacteria. Total of 68 POU devices were tested. The concentrations of the eluted silver ion from the silver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filter showed the range from $4\;{\mu}g/L$ to $386\;{\mu}g/L$, and the HPC bacteria were found to diversely grow within the range 0-5,200 cfu/mL. The average silver concentrations released from UF units system and RO units system were $30\;{\mu}g/L$ and $73\;{\mu}g/L$, respectively. And the number of colonies were reduced significantly as the elution levels of silver exceeded $100\;{\mu}g/L$, however silver ions below the concentration of $100\;{\mu}g/L$ were not particularly effective for eradicating HPC bacteria from water.

  • PDF

Entropy, enthalpy, and gibbs free energy variations of 133Cs via CO2-activated carbon filter and ferric ferrocyanide hybrid composites

  • Lee, Joon Hyuk;Suh, Dong Hac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1호
    • /
    • pp.3711-3716
    • /
    • 2021
  • The addition of ferric ferrocyanide (Prussian blue; PB) to adsorbents could enhance the adsorption performance of 133Cs. Toward this goal, we present a heterogeneously integrated carbonaceous material platform consisting of PB in direct contact with CO2-activated carbon filters (PB-CACF). The resulted sample retains 24.39% more PB than vice versa probed by the ultraviolet-visible spectrometer. We leverage this effect to capture 133Cs in the aqueous environment via the increase in ionic strength and micropores. We note that the amount of PB was likely to be the key factor for 133Cs adsorption compared with specific surface characteristics. The revealed adsorption capacity of PB-CACF was 21.69% higher than the bare support.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were feasible and spontaneous. Positive values of 𝜟Ho and 𝜟So show the endothermic nature and increased randomness. Based on the concept of capturing hazardous materials via hazardous materials, our work will be of interest within the relevant academia for collecting radionuclides in a sufficient manner.

실험 및 밀도범함수이론을 이용한 질소, 인 저감 효과 분석을 위한 여재의 흡착 특성 연구 (The investigation of adsorption properties of filter media for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phosphorus using experimental and density functional theory)

  • 김태윤;권용주;강충현;김종영;신현석;권순철;차성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63-271
    • /
    • 2018
  • 생활 하수 및 농축산 폐수를 통한 하천으로의 다량의 질소와 인의 유입은 부영양화를 초래하여 하천 자정작용에 악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에서는 컬럼 실험을 통한 흡착제(활성탄, 제올라이트, 여과사)의 여재층 높이에 따른 암모니아성 질소, 인산염 제거특성을 분석하고, 밀도범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DFT)를 바탕으로 한 양자역학적 전산 모사를 통해 흡착제와 암모니아성질소($NH_4{^{+}}$)와 인산염($PO_4{^{3-}}$)에 대한 화학적 흡착 거동을 분석하였다. 컬럼 실험 결과, 암모니아성 질소에 대한 제거효율은 제올라이트(95.1%)>활성탄(65.8%)>여과사(10.7%), 인산염의 제거효율은 활성탄(99.6%)>제올라이트(18.8%)>여과사(10.9%) 순으로 나타났다. 제올라이트의 경우, 여재층의 높이에 관계없이 90%이상의 암모니아성 질소에 대한 높은 흡착력을 가졌고, 활성탄의 경우 여재층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인과 질소에 대한 높은 흡착효율을 가졌다. DFT를 이용한 흡착제(산화 알루미늄, 활성탄, 여과사)와 영양염류($PO_4{^{3-}}$, $NH_4{^{+}}$)에 대한 흡착거동 분석결과, 제올라이트는 암모니아성 질소($NH_4{^{+}}$)에 대한 높은 흡착에너지(-6.43 eV)를 가졌다. 활성탄의 경우 여과사보다 좁은 HOMO-LUMO 밴드갭을 가져, 전자 이동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여 높은 흡착에너지(-7.10eV)로 영양염류가 제거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RP제품 가공시 발생하는 분진 및 악취 제거 시스템 개발 (System Development of Removing Dust and Odor from Manufacturing Process of FRP Products)

  • 윤희관;김재용
    • 공업화학
    • /
    • 제20권5호
    • /
    • pp.547-55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fiber reinforced plastics (FRP) 제품 가공시 발생하는 분진 및 악취 물질로 인한 작업현장의 악조건을 개선하기 위하여 activated carbon fiber (ACF) 장착 하이브리드 백필터를 개발하였다. FRP 제조업체 2개사에 ACF 백필터를 설치함에 있어 천장, 벽하단 부분에 덕트를 설치함은 물론 이동식 집진 덕트를 설치함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였다. 펄스젯트식 탈진방식을 채택하여 효과적인 시스템 운영을 유도함으로써 작업환경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 백필터 시스템 운용시 이에 따르는 분진과 악취에 대한 제거동향을 고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