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ting art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원로배우 장민호의 연기 인생 (The Greatest Senior Actor Jang Min-ho's Life on Acting)

  • 김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108-118
    • /
    • 2015
  • 한국에 서구 근대극이 도래한 지 백년의 세월이 지났다. 그 동안 무수한 배우들이 나타나고 사라졌지만 그들의 위대한 연기예술을 기록으로 남기는 작업은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무대에서 연희되는 공연 예술의 경우 작품 창작 과정의 기록과 복원은 작가론 연구와 예술 세계의 후대 계승을 위해 지극히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근대극 역사에 작지 않은 발자취를 남기고 지난 2012년 작고한 원로배우 장민호(張民虎, 1924-2012)의 배우로서의 삶과 업적에 대해 회고하고, 그의 연기관과 예술세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배우들의 삶을 기록하는 작업은 이미 그 자체로 연극의 본질과 배우의 역할에 대한 근원적 성찰의 기회가 되며, 배우의 연기 인생을 고찰하는 작업은 그 배우만의 독특한 연기술을 후학들에게 소개,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배우의 삶과 예술인생을 기록함으로 배우에 대한 시대적 관심의 증대와 함께 한 시대를 이끌어가는 예술가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예술활동의 사회적 인식변화를 위한 의미 탐색 (Exploring Meaning for Change of Social Awareness of Art Activity)

  • 서상규;오광석;신대식;홍세희;성건제;정하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67-173
    • /
    • 2019
  • 이 연구는 연기와 예술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인식의 변화를 지적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질적 연구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에서 검토한 내용들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결론을 대신하고자 한다. 연기란 개인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된 예술이다. 따라서 개인의 생활은 연기를 통해 살아가면서 자신의 삶을 예술로 승화시키는 활동이다. 우리기 일상생활에서 행하는 모든 활동이 곧 연기이며, 이는 자신의 재능과 직결되어 있다. 즉, 재능 있는 사람은 훌륭한 배우로 인정받고, 재능이 부족한 사람은 엑스트라의 역할을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재능은 노력에 의해 영향을 받고, 주어진 환경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즉, 개인의 재능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재능에 대한 변화가능성을 다루는 영역이 교육이다. 교육은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연기와 관련해서는 오랜 기간 동안 도제교육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20세기 접어들면서 서서히 시스템이 갖추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최근에는 나라마다 다른 교육시스템을 갖추는 상황으로까지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일상적인 교육의 과정에서도 연기와 예술이 자연스럽게 적용되어 생활 속에서 접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한 실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공연 예술 의상의 표현 방식에 관한 연구 -뮤지컬 의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yle of Expression in Performance-art Costuming - Focusing on Musical Costumes -)

  • 김소영;김경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7-162
    • /
    • 2011
  • The performance-art costume is a tool for expression that can dynamically display the intention of a p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hole costume for performance arts targeting musical works, to which were added such elements as music, dance, and drama, among performance arts in several genres. This study aims to consider how the symbol contained in the costume was intended to be expressed by inferring a change in performance costume and character as the stage costume.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in this study. First, Which role does the costume play in performance art? Second, into which types can the performance-art costume be classified depending on the kind of performance art? Third, what is the expressive method for the performance-art costume? To examine the types of performance-art costume, the acting costume, the singing costume, the dancing costume and the rhythmic performance costume were considere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costume can be seen to have been designed through the effect of a change in color by lighting, through the differentiation of character caused by excessive decoration, through the differentiation in material for free movement, and through symbolic expression.

  • PDF

Communicative Model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s in the Realities of (Post) Modernity

  • Opanasyk, Oksana;Popova, Yana;Matiiv, Ihor;Radenko, Yuliia;Mozharovska, Han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3호
    • /
    • pp.245-251
    • /
    • 2022
  • In the context of the pandemic, educational institutions had to ensure an instant transition to remote technological models of communication within the new condition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academic paper lies in determining the role of the communicative model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s in the realities of (post) modernit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a survey of 120 students from 10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HEIs) of Ukraine through an online form regarding the importance of live communication during a pandemic. Results. The communicative model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the pandemic - the interaction was mainly due to technologies. The research has identified four communication models of educational transformations under the conditions of the pandemic, depending on learning models. The first traditional model of distance learning involves distance learning; the second model involves contact remote training using remote educational technologies; the third model is blended learning, which combines remote and traditional learning formats,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modes of interaction; the fourth model is traditional contact training. The empirical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models proves that live communication remains extremely important for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materials by students, and technology has provided support for such communication. Along with this, seminars and video lectures with presentations combining liv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as important as digital learning tools. The most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mastering and memorizing educational material was a live dialogue with a teacher at seminars in ZOOM, followed by individual written assignments on the studied topic.

에쮸드(Etude)를 활용한 배우의 역할창조 사례연구 - 연극 <춤추며 간다.>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Role Creation of Actors Using Etude - Centering on the Play -)

  • 이정하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01-110
    • /
    • 2019
  • 배우의 예술작업은 무대에서 작가의 희곡을 바탕으로 역할을 구축하고 창조하는 것이다. 배우의 역할 창조는 작가의 희곡 속 역할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능동적 행동하는 것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것이 실천적 행위를 하는 배우가 상투적 역할구축을 넘어서 살아 있는 배우예술을 실행하는 방법이다. 스타니슬랍스키의 에쮸드가 한국대학교육과 현장에서 운영되는 현시점에서 에쮸드의 활용을 위한 현장작업에서의 사례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타니슬랍스키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기 방법론인 에쮸드가 연기 훈련법으로 연극 교육과 현장에서 적용되는 것에 대한 가치판단을 하기보다는, 이를 좀 더 확장된 배우훈련을 위한 방법론으로 현장에서 배우들에게 인식되고 적용되는 사례가 될 것이다. 필자는 연극 <춤추며 간다.>의 연습과정에서 스타니슬랍스키의 연기메소드인 에쮸드활용에 대한 방법론을 소개하고 '에쮸드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연기적 창작과정 모형의 예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와 적용을 통해서 배우들은 상투적 연기와 매너리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무대에서 살아있는 배우예술, 즉 실천적 역할창조를 위한 연기지침서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브레히트 연기실행도구를 이용한 연기교수법 모형 개발 연구 - 반복적 재현연기의 현존성 상실의 대안으로 - (A Study on the Modeling of Teaching Methods of Acting Using Brecht's Acting Tools - An Alternative to the Loss of Presence of Repetitive Representational Acting -)

  • 이지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103-116
    • /
    • 2020
  • 본 연구는 텍스트 중심의 연기론과 신체 중심의 연기론의 연결링크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하며 출발한다. 배우뿐만 아니라 연기교육자에 의해서도 수차례 논의되어 온 재현적 반복 연기를 통한 현존성 상실이라는 난제를 극복해줄 방안으로 브레히트의 연기론을 연구한다. 브레히트의 연기론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종래의 배우훈련의 대안으로써 이미 언급된 바 있지만 실제 적용이 가능한 연기 훈련방법에 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은 실정으로 브레히트 연기법의 실제에 대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목표한다. 본 연구는 그 중에서도 텍스트 기반의 모순 찾기와 신체 중심의 브레히트 연기론을 연구하고 그의 연기론이 텍스트와 신체 중심 연기론의 연결링크로써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먼저 텍스트 중심의 재현적 연기론과 신체 중심의 포스트드라마 연기론의 개념과 한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그리고 브레히트의 서사적 연기 중에서 텍스트에 중점을 둔 연기실행도구와 신체에 중점을 둔 연기실행도구를 구분하여 그가 사용한 용어와 개념을 정리하고 연기실행의 과정에서 도달하는 현존적 효과에 대해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필자의 지도경험을 바탕으로 브레히트의 연기이론을 변형하여 개발한 연기교수법 학습모형을 제안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학습모형은 필자의 지도경험만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그 효과를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브레히트 연기론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과 다양한 연기교수법 모형을 개발을 통해 현대 연기교육의 다양성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한·일 연극이론의 비교 연구 - 「광대가(廣大歌)」와 「풍자화전(風姿花傳)」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ories of Korean Theatre and Japan Theatre : focused on 'Kwandaega(廣大歌)' and 'Poogjahwajun(風姿花傳)')

  • 김익두
    • 공연문화연구
    • /
    • 제23호
    • /
    • pp.5-36
    • /
    • 2011
  • 한국의 희곡/연극 이론의 주요 텍스트인 「광대가」와 일본 희곡/연극 이론의 주요 텍스트인 「풍자화전」을 비교해 보면, 「광대가」는 다음과 같은 희곡/연극 이론으로서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 그 전체 내용 구성상에서는, 본질론·배우론·상연론 등 3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텍스트 중심의 희곡/연극이론이 아니라, 공연자 중심의 희곡/연극이론을 구축하고 있다. 둘째, 희곡/연극 본질론 상으로는, '공연하는 인간(homo performans)'으로서의 자각과 실천, '자생적 가치'의 옹호, 민중적 가치의 옹호, 민중적인 현세주의·허무주의에 대한 새로운 해석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셋째, 배우론/연기론 상으로는 '4체 이론'을 골자로 해서 이론이 구축되고 있다. 넷째, 상연론 상의 특징으로는, 「풍자화전」의 그것이 '꽃의 실현'에 그 궁극적인 목표가 있는 반면에, 「광대가」의 그것은 우주 삼라만상의 온갖 변화와 조화를 표현하는 '천변만화(千變萬化)의 구현에 그 목표를 두고 있다.

무대 공연에 있어 성격유형별 분장디자인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Stage Make-Up Design in Art Performance by Personality Type)

  • 전인미;이혜주
    • 복식
    • /
    • 제57권8호
    • /
    • pp.99-113
    • /
    • 2007
  • The performing art represents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through acting and dance, and is told to be a composite art represented by make-up, setting, costume and prop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make-up is an important medium of stage art. Make-up in stage art is a kind of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through understanding personalities of characters as demanded by scenarios. Due to the creative stage make-up which meets the character in the play relevant to these contents of the play, the conceptual study on stage make-up design for visual expression coincide with the intended character is needed. In this study, I investigate theoretical, universal, and psychological personality types by analyzing basic appearance features based on the physiognomy(face-reading) related from the psychological theories. And visualized through illustration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to apply for the characters in the play.

An Exploration of a Way for Contemporary Actor Training/Acting: A Perspective from Denis Diderot and Tadashi Suzuki's Concepts

  • Son, Bo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58-63
    • /
    • 2021
  • This research aims to reconsider the necessity of an alternative way(s) for contemporary actor training and acting in discussing and articulating Diderot and Suzuki's concepts and approaches for acting/training. First of all, the physical body, assumed and conceptualized by Diderot is beyond our control by means of a type of radical body/mind dualism, and is based on the concept that body and mind are separate. In contrast, Suzuki's notion of acting/training is raised by his concern about the role of an actor's body in the constitution of an actor's bodily experience against the imitation of the West-oriented theatre/acting/training. The descriptions of the two theatre artists' notion of acting/training gives us insight into the place and role of contemporary theatre as a practical root to encounter and communicate between a doer and a spectator where an actor's body must appropriately be attuned and cultivated towards the cultivation of bodily attributes which are foundation but usually neglected by actors/directors/practitioners particularly in Korea. Especially, misunderstanding of a specific training sources/approaches, namely 'scientific system' and the 'method' have taken us away from the potential possibilities of the lived oneness. Here, the 'possibility' refers to the primary bodily functions within a specific context or being in the here and now rather than attempting to copying, imitating and/or adapting a specific cultural source(s)/approaches/techniques as we have faced with through the previous century. We reconsider and argue that a potential way to correspond the nature of theatre/acting/training is that how to meet the demand of contemporary spectators which in turn intensifies an actor's stability, sustainability and hopefully professional identity in this contemporary era.

European Experience in Implementing Innovative Educational Technologi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the Arts: Current Problems and Vectors of Development

  • Kdyrova, I.O.;Grynyshyna, M.O.;Yur, M.V.;Osadcha, O.A.;Varyvonchyk, 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9-48
    • /
    • 2022
  • The main purpose of the work is to analyze modern innovative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and their effectiveness in the context of the spread of digitalization trends. The study used general scientific theoretical methods of analysis, synthesis, analogy, comparative, induction, deduction, reductionism, and a number of others, allowing you to fully understand the pattern of modern modernization processes in a long historical development and demonstrate how the rejection of the negativity of progress allows talented artists to realize their own potential. The study establish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nvolving innovative technologi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on the example of European experience and outlined possible ways of implementing digitalization processes in Ukrainian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formulated the main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s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the pandemic. The rapid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has had a great impact on the sphere of culture and art, both visual, scenic, and musical in all processes: creation, reproduction, perception, learning, etc.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here is a synthesis of creative practices with digital technologies. In terms of music education, these processes at the present stage are provided with digital tools of specially developed software (music programs for composition and typing of musical text, recording, and correction of sound, for quality listening to the whole work or its fragments) for training programs used in institutional education and non-institutional learning as a means of independent mastering of the theory and practice of music-making, as well as other programs and technical tools without which contemporary art cannot be imagined. In modern stage education, the involvement of video technologies, means of remote communication, allowing realtime adjustment of the educational process, is actualized. In the sphere of fine arts, there is a transformation of communicative forms of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which in the conditions of the pandemic are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help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t this stage, there is an intensification of transformation processes in the educational industry in the areas of culture and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