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netobacter baumannii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6초

Acinetobacter 병원내 폐렴에서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cinetobacter Nosocomial Pneumonia between MDR and non-MDR)

  • 박인일;김익근;구현철;한재필;김영묵;이명구;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13-19
    • /
    • 2006
  • 연구 배경: A. baumannii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병원 내 병원균으로 부각되고 있고 이들 균에 의한 감염 또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감염에 연관된 사망률(균혈증:52%, 폐렴:23-73%)은 매우 높고 다제 내성은 비교적 흔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다제 내성 A. baumannii 감염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 이들의 임상 특징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중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임상적 특징, 사망률, 이환율을 비교하였다. 방 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4년 11월 1일까지 춘천성심병원에 입원했던 환자 중 Acinetobacter 병원 내 폐렴으로 판단되는 47명의 환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제 내성 A. baumannii를 실험 환경에서 A. baumannii에 효과적이며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47명의 A. baumannii 병원내 폐렴 환자 중 17명이 다제 내성군, 30명이 약제 감수성군으로 분류되었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다제 내성군은 $69{\pm}11$세, 약제 감수성군 $70{\pm}13$세이었고 APACHE II 점수, 중환자실 입원기간, 사망률에 있어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16.1{\pm}5.4$ vs $14.9{\pm}4.8$, P=0.43, $25.1{\pm}13.6$ vs $39.1{\pm}31.0$, P=0.2, 58.8% vs 40%, P=0.21). 결 론: Acinetobacter baumannii 다제 내성군과 약제 감수성군 간의 사망률과 임상적 특징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양군 모두 사망률과 이환율은 높게 나타나 A. baumannii 감염의 효과적인 감시 및 조절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겠다.

다제내성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의 에센셜 오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s of Essential Oils for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ii)

  • 박창은;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31-437
    • /
    • 2018
  • Acinetobacter baumannii는 광범위한 항생제에 대한 저항성으로 인해 감염된 환자의 사망률이 높아지는 적색 경보 병원체로 분류됩니다. 이 연구에서 다제 내성 A. baumannii(MRAB)의 18가지 임상 분리 균주에 대해 일부 에센셜 오일(티트리, 로즈마리, 라벤더 오일)의 항균 활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Carbapenemase 선별을 위한 Hodge 시험법은 A. baumannii의 20 가지 균주가 모두 imipenem에 내성이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다제 내성 미생물의 확인은 VITEK 시스템을 통해 수행하였다. 에센셜 오일의 항균 활성은 MRAB에 대한 디스크 확산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디스크 확산 방법에서 tee tree는 라벤더 오일에 비해 억제 크기가 가장 크게 증가했으며, 로즈마리는 항균 효과가 없었다. 티 트리 오일은 가장 일반적인 인간 병원균 및 MRAB 감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대체 천연 제품으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는 다제 내성 A. baumannii의 항균 효과를 입증했으며, 미래에 천연 에센셜 오일을 사용하는 손 소독제와 같은 항균제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약제 내성 Acinetobacter baumannii 에 의한 폐렴에서 Colistin 분무치료의 효과 (Effects of Aerosol Colistin Treatment of Pneumonia Caused by Multi-drug 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최혜숙;황연희;박명재;강홍모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1호
    • /
    • pp.8-14
    • /
    • 2008
  • 연구배경: Acinetobacter baumannii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균이 자주 발생하며 MDR Acinetobacter baumannii 감염의 치료 시 항생제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Colistin은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이며 MDR Acinetobacter균에 감수성을 보이나 전신투여 시 신독성, 신경독성 등의 부작용으로 인해 잘 쓰이지 않는 약제이다. 전신투여에 의한 부작용을 회피하는 방법으로 분무치료가 있다. 그러나 MDR Acinetobacter baumannii 페렴환자에서 colistin 분무치료의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국내연구는 부족한 실정이어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중환자실의 폐렴환자 중에서 호흡기검체 배양검사를 통해 imipenem에 내성을 포함한 MDR Acinetobacter baumannii균에 의한 폐렴이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중 항생제 정맥주사와 더불어 하루 3번의 colistin 분무치료를 시행했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임상 소견, 신기능, 인공호흡기의 최대기도압의 변화를 분석 하였다 결과: 총 31명의 환자에서 colistin 분무치료를 시행하였다. Colistin 사용기간은 $14{\pm}7$일이었으며, 하루 흡입용량은 225~300 mg이었다. Colistin 분무치료 후 25명/31명(80.6%)에서 Acinetobacter균이 제거되었으나 이 중 11명(44%)에서는 2차 감염에 의한 새로운 균이 배양되었다. Colistin 분무치료 전, 후로 백혈구 수는 감소하였다. Colistin 분무치료 후 신기능의 장애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의미 있는 기관지경련의 소견도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하기 어려운 MDR Acinetobacter baumanii에 의한 폐렴을 치료하는데 colistin 분무치료는 비교적 높은 균 제거율과 낮은 부작용을 보이므로 고려해 볼 수 있는 치료방법으로 사료된다.

영상의학과 이동촬영장비의 감염 관리 (Infection Control of Computed Radiography Portable in Radiology)

  • 신성규;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2
    • /
    • 2017
  • 본 연구는 IP 카세트를 이용하는 이동촬영 장비의 세균오염도를 조사하여 이동촬영으로 인한 병원 감염을 예방하고 감염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결과는 IP Cassette 1번에서 CNS, VRE가 검출되었다. 2번에서는 CNS, 3번에서는 CNS, Pseudomonas aeruginosa, 4번에서는 CNS, 5번에서는 CNS, Bacillus sp., 6번에서는 Enterococcus faecium이 검출되었다. 영상판독기에서는 Enterococcus faecium, Bacillus sp., 장비 이동 손잡이에서 Acinetobacter baumannii, 조작버튼에서는 Bacillus sp., 조사야 조절 손잡이에서는 CNS, Bacillus sp., X-선 발생 스위치에서는 Acinetobacter baumannii, 바코드기 에서는 CNS가 검출되었다. IP Cassette 이동테이블에서는 Bacillus sp. Acinetobacter baumannii, 납 앞치마에서는 CNS, Bacillus sp.가 검출되었다. 방사선사가 촬영 중 착용한 의료용 장갑에서는 Acinetobacter baumannii, CNS가 검출 되었다. 따라서 IP Cassette는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소독하고 재사용하며, 영상판독기, IP 이동테이블은 오염된 IP Cassette를 통해 세균이 전파될 수 있으므로 사용 후에는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환자와 직접 접촉하는 의료용 장갑도 1회 사용 후 교체하고 촬영 시 접촉이 많은 X-발생 스위치, 납 앞치마도 철저히 소독하여 이동촬영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여야 한다.

국내 대학병원에서 분리된 Metallo-β-Lactamase (MBL) 생성 Acinetobacter spp. 분리주의 높은 출현율과 유전형 특징 (High Prevalence and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Metallo-β-Lactamase (MBL)-Producing Acinetobacter spp. Isolates Disseminated in a Korean Hospital)

  • 염종화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44-452
    • /
    • 2019
  • 주요 획득성 metallo-β-lactamase (MBL) 유전자에 의해 매개되는 carbapenem 내성, 특히 Acinetobacter spp. 균종의 임상 분리주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임상에서 비 중복으로 분리된 carbapenem 비감수성 Acinetobacter spp. 191주 중 125 (65.4%)주가 imipenem 혹은 meropenem-Hodge 변법시험에 양성이었고, 49 (25.7%)주가 imipenem-EDTA+SMA double disk synergy (DDS) 시험에 양성이었다. blaVIM-2 allele와 blaIMP-2 allele 검출을 위한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염기서열분석을 시행한 결과, A. baumannii와 A. calcoaceticus에서 각각 29주와 1주가 blaVIM-2를 갖고 있었고, A. baumannii 16주와 A. calcoaceticus 2주가 blaIMP-1을 갖고 있었다. A. genomospecies 3는 blaVIM-2와 blaAIM-1을 동시에 갖고 있었다. 이들 MBL 유전자는 모두 class 1 integron에 있었다. blaVIM-2 혹은 blaIMP-6를 갖는 class 1 integron의 크기는 A. baumannii 분리주에서는 2.8 kb에서 3.2 kb이었고, A. genomospecies 3 분리주에서는 3.2 kb에서 3.5 kb이었다. blaVIM-2는 대부분 class 1 integron에 첫번째 혹은 두번째에 위치하였고, aacA4를 흔히 가지고 있었다. 다양한 내성 유전자를 가질 수 있는 MBL 생성 Acinetobacter spp.뿐 아니라 다양한 내성 유전자를 가질 수 있는 integron의 전파로 imipenem이나 meropenem과 같은 carbapenem 내성을 포함하여 다제 내성 그람음성 세균의 증가가 예상된다. 또한, 위중한 Acinetobacter spp. 감염증 치료를 위한 새로운 항균제 개발이 필요하다.

임상에서 분리된 Acinetobacter baumannii의 항생제 내성 패턴과 유전학적 특징 (Antibiotic Resistant Patterns and DNA Fingerprint Analysis of Acinetobacter baumannii from Clinical Isolates)

  • 김민지;이시원;이도경;박재은;강주연;박일호;신혜순;하남주
    • 약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32-138
    • /
    • 2013
  • Acinetobacter baumannii is gram-negative bacilli that can be widely found in environments. Recently, A. baumannii emerged as a serious nosocomial infection. A total of 92 A. baumannii were isolated from hospitalized patients in Seoul, Korea, between December 2010 and April 2011.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was investigated using CLSI agar dilution methods. Tigecycline non-susceptible A. baumannii isolates were investigated by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 sequence-based PCR (rep-PCR).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pidemiological relationships. All clinical isolates showed high-level resistance to the most commonly used antibiotics: Ciprofloxacin (87.0%), Ampicillin/sulbactam (82.6%), Cefotaxime (81.5%), Ceftazidime (80.4%). Moreover, 50.0% of these isolates were non-susceptible to tigecycline. When evaluated by RAPD analysis, generated distinct band ranging in size from 1kb to 8k band varying from 4 to 10 bands. Stricter surveillance and more rapid detection are essential to prevent the spread of multi drug resistant A. baumannii.

Bacillus subtilis from Soybean Food Shows Antimicrobial Activity for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by Affecting the adeS Gene

  • Wang, Tieshan;Su, Jianr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2호
    • /
    • pp.2043-2050
    • /
    • 2016
  • Exploring novel antibiotics is necessary for multidrug-resistant pathogenic bacteria. Because the probiotics in soybean food have antimicrobial activities, we investigated their effects on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Nineteen multidrug-resistant A. baumannii strains were clinically isol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11 multidrug-sensitive strains as controls. The growth rates of all bacteria were determined by using the analysis for xCELLigence Real-Time Cell. The combination of antibiotics showed synergistic effects on the strains in the control group but no effect on the strains in the experimental group. Efflux pump gene adeS was absent in all the strains from the control group, whereas it exists in all the strain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Furthermore, all the strains lost multidrug resistance when an adeS inhibitor was used. One strain of probiotics isolated from soybean food showed high antimicrobial activity for multidrug-resistant A. baumannii. The isolated strain belongs to Bacillus subtilis according to 16S RNA analysis. Furthermore, E. coli showed multidrug resistance when it was transformed with the adeS gene from A. baumannii whereas the resistant bacteria could be inhibited completely by isolated Bacillus subtilis. Thus, probiotics from soybean food provide potential antibiotics against multidrug-resistant pathogenic bacteria.

Relationship between AdeABC Efflux Pump Genes and Carbapenem in Multidrug-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 Ju, Yeongdon;Kim, Yoo-Jeong;Chang, Chulhun L.;Choi, Go-Eun;Hyun, Kyung-Y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59-68
    • /
    • 2021
  • Multidrug-resistant strain of Acinetobacter baumannii (MDRAB) is an emerging pathogen in health care facilities, preventing MDRAB is a public health concern. We conducted this experiment on a clinical isolate of A. baumannii with two main goals: the role of the efflux pump system in the stress provision of carbapenem and the response to the transcription level of the efflux pump gene. A total of 34 strains of A. baumannii was isolated from the Yangsan Hospital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First, when we compared and observed the expression of the efflux pump gene and antibacterial resistance to carbapenem,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carbapenem resistance and overexpression of adeB (P=0.0056). Second, a correlation between the efflux pump and concentration gradient and tolerance to carbapenem stress at the AdeABC efflux pump genes transcription level was confirmed.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the AdeABC efflux pump is an important resistance determinant in obtaining antibiotic resistance of the carbapenem group in A. baumannii.

소아 화상환자에서 배양된 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양상의 변화 (The Changing Patterns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for Acinetobacter baumannii in Pediatric Burn Patients)

  • 이상민;이소연;김영호;이규만;장영철;김광남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2호
    • /
    • pp.146-151
    • /
    • 2008
  • 목 적 : 원내 감염 균주의 하나인 A. baumannii는 최근 다약제 내성을 가지며 성인에 대해서는 보고되고 있으나 소아 환자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 화상환자에서 분리된 A. baumannii에 대해 항생제 감수성의 변화 및 저항 균주의 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만 7년간 화상을 주소로 한림대학교의료원 한강성심병원에 입원한 15세 미만의 환아들 가운데 A. baumannii가 분리된 환아 56명, 105주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 과 : 균이 분리된 환아의 남녀 성비는 1.15:1 이었으며 중앙연령은 48.3개월이었다. 균의 배양부위는 상처 부위 69례(65%), 객담 21례(20%), 혈액 6례(6%), 카테터 관 5례(5%), 기관 삽관용 튜브 2례(2%), 소변 2(2%)순이었으며 주로 3월과 11월, 12월에 분리되었으나 연중 분포하는 양상을 보였다. 항생제의 내성률은 2000년 이후 대부분 70% 이상을 보였으며, 98례(93.33%)에서 다약제 내성을 보였다. 한편 carbapenem과 ciprofloxacin에 대한 내성균주의 출현 여부에 대해 3례(25%)에서 내성균주가 출현하였고 항생제 사용 기간은 평균 10일로 매우 짧았으며 혈액에서 균주가 분리된 환아 6례는 모두 다약제 내성 균주였으며 이중 1례는 사망하였다. 결 론 : 다약제 내성 균주인 A. baumannii에 대해 원내 감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동시에 단순 격리보다는 철저한 치료 계획이 필요하다. 즉, 감수성 결과에 입각한 항생제 사용 및 새로운 항생제 조합, 의료인을 포함한 숙주가 될 수 있는 환경에 대한 철저한 관리 등이 필요하겠다.

  • PDF

Antibacterial Effect of Chitosan-Modified Fe3O4 Nanozymes on Acinetobacter baumannii

  • Wang, Wenjun;Wu, ziman;Shi, peiru;Wu, pinyun;Qin, peng;Yu, l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263-267
    • /
    • 202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chitosan-modified Fe3O4 (CS@Fe3O4) nanomaterials against Acinetobacter baumannii (A. baumannii) is mediated through changes in biofilm formation an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For this purpose, the broth dilution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effect of CS@Fe3O4 nanoparticles on bacterial growth. The effects of CS@Fe3O4 nanoparticles on biofilm formation were measured using a semi-quantitative crystal violet staining assay. In addition, a bacterial ROS detection kit was used to detect the production of ROS in bacteria. The results showed that CS@Fe3O4 nanoparticles had a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n the colony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of drug-resistant A. baumannii (p < 0.05). The ROS stress assay revealed significantly higher ROS levels in A. baumannii subjected to CS@Fe3O4 nanoparticle treatment than the control group (p < 0.05). Thus, w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CS@Fe3O4 nanoparticles had an inhibitory effect on A. baumannii in vitro, and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of CS@Fe3O4 nanoparticles on drug-resistant A. baumannii was more significant than on drug-sensitive bacteria.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antibacterial mechanism of CS@Fe3O4 nanoparticles is mediated through inhibition of biofilm formation in drug-resistant bacteria, as well as stimulation of A. baumannii to produce ROS. In summary, our data indicate that CS@Fe3O4 nanoparticles could be used to treat infections caused by drug-resistant A. baumann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