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id conditioning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Korean Red Ginseng prevent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triggered depression-like behaviors in rats via activation of the serotonergic system

  • Lee, Bombi;Sur, Bongjun;Lee, Hyejung;Oh, Seikwa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4권4호
    • /
    • pp.644-654
    • /
    • 2020
  • Backgrou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 mental disorder induced by traumatic stress and often accompanied by depression and/or anxiety, may involve an imbalance in the neurotransmitters associated with the fear response. Korean Red Ginseng (KRG) has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and is known to be involved in a variety of pharmacological activities. We used the open field test and forced swimming test to examine the effects of KRG on the depression-like response of rats after exposure to single prolonged stress (SPS), leading to activation of the serotonergic system. Methods: Male rats received KRG (30, 50, and 100 mg/kg, intraperitoneal injection) once daily for 14 days after exposure to SPS. Results: Daily KRG administration significantly improved depression-like behaviors in the forced swimming test, increased the number of lines crossed and time spent in the central zone in the open field test, and decreased freezing behavior in contextual and cued fear conditioning. KRG treatment attenuated SPS-induced decreases in serotonin (5-HT) tissue concentrations in the hippocampus and medial prefrontal cortex. The increased 5-HT concentration during KRG treatment may be partially attributable to the 5-hydroxyindoleacetic acid/5-HT ratio in the hippocampus of rats with PTSD. These effects may be caused by the activation of hippocampal genes encoding tryptophan hydroxylase-1 and 2 mRNA level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KRG has an antidepressant effect in rats subjected to SPS and may represent an effective use of tradition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PTSD.

Orthodontic bracket bonding to glazed full-contour zirconia

  • Kwak, Ji-Young;Jung, Hyo-Kyung;Choi, Il-Kyung;Kwon, Tae-Yub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1권2호
    • /
    • pp.106-113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different surface conditioning methods on the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to glazed full-zirconia surfaces. Materials and Methods: Glazed zirconia (except for the control, Zirkonzahn Prettau) disc surfaces were pre-treated: PO (control), polishing; BR, bur roughening; PP, cleaning with a prophy cup and pumice; HF, hydrofluoric acid etching; AA, air abrasion with aluminum oxide; CJ, CoJet-Sand. The surfaces were examined using profilomet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electron dispersive spectroscopy. A zirconia primer (Z-Prime Plus, Z) or a silane primer (Monobond-S, S) was then applied to the surfaces, yielding 7 groups (PO-Z, BR-Z, PP-S, HF-S, AA-S, AA-Z, and CJ-S). Metal bracket-bonded specimens were stored in water for 24 hr at $37^{\circ}C$, and thermocycled for 1,000 cycles. Their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using the wire loop method (n = 10). Results: Except for BR, the surface pre-treatments failed to expose the zirconia substructur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d strengths was found between AA-Z ($4.60{\pm}1.08MPa$) and all other groups ($13.38{\pm}2.57-15.78{\pm}2.39MPa$, p < 0.05). For AA-Z, most of the adhesive remained on the bracket. Conclusions: For bracket bonding to glazed zirconia, a simple application of silane to the cleaned surface is recommended. A zirconia primer should be used only when the zirconia substructure is definitely exposed.

양식장 배출물 발효물의 어류 사료 첨가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학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with fermented product from sewage in land-based seawater fish farm on haematological factor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강주찬;지정훈;송승엽;문상욱;강지웅;이영돈;김세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7-66
    • /
    • 200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양식어류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를 대상으로 육상수조식 양식장 배출물 발효물의 어류 사료 첨가에 따른 혈액학적 변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젖산균 및 효모를 사용하여 발효한 양식장 배출물의 이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발효물을 0.1, 0.5, 1.0 및 5.0% 농도로 8주간 투여하였다. 투여 4주째 및 8주째에 각 투여 구간별로 혈액학적 항목을 중심으로 그 차이를 확인하였다. 배출물 발효농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분석시기에 따른 적혈구수, 혈색소 농도 및 혈색소 지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주요 혈청 무기 및 유기성분은 배출 발효물 농도별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혈청 효소학적 조사에서는 조사시기별로 변동은 나타났지만, 동일 조사시기에서 각 구간별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육상 양식장 유래의 배출물 발효산물에 대한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진행되어야겠다.

메탐페타민 유사 분별능 시험을 통한 l-디프레닐의 약물남용가능성 평가 (Abuse Liability Assessment of l-Deprenyl by Testing Methamphetamine-like Discriminative Effects)

  • 이선희;김부영
    • 약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01-107
    • /
    • 1998
  • The antiparkinsonian agent l-deprenyl, a selective monoamine oxidase (MAO)-B inhibitor, is metabolized in part to l-methamphetamine and l-amphetamine. l< /I>-Deprenyl was evaluated for amphetamine and methamphetamine-like discriminative stimulus effects in rats and its mechanism of action was investigated. Rats were trained under a 5-response, fixed ratio schedule of stimulus-shock termination or a 10-response. Fixed-ratio schedule of food-presentation which discriminate between d-amphetamine (1mg/kg, i.p.) and saline or d-methamphetamine (1mg/kg, i.p.) and saline in a two-lever, operant conditioning procedure. Full generalization was obtained to d-amphetamine (1~3mg/kg). d-methamphetamine (1~3mg/kg) and l-deprenyl (17~30mg/kg) under both the food presentation and stimulus shock termination schedule. l-Deprenyl has dose-dependent amphetamine-and methamphetamine-like discriminative stimulus properties in rats only at doses of 17 and 30mg/kg. Reversible MAO-B inhibitor, RO 16-6491 didn`t show any amphetamine-like discriminative properties. Aromatic amino acid decarboxylase inhibitor, NSD 1015 decreased % responding of l-deprenyl in the methamphetamine-trained rats under the stimulus-shock termination schedule. SKF-525A produced partial inhibition of methamphetamine-like discriminative effects of l-deprenyl under the food presentation schedule. These results suggest that l-deprenyl has no abuse liability at the therapeutic range but there needs some caution at high doses and furthermore, drug discrimination studies under the food presentation and shock termination schedule are useful for the assessment of abuse liability of psychostimulants.

  • PDF

세라믹 브라켓 부착 시 레이저를 이용한 포세린 표면처리 효과 (The effect of using laser for ceramic bracket bonding of porcelain surfaces)

  • 안경미;손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75-282
    • /
    • 2008
  • 본 연구는 포세린 표면에 $CO_2$ 레이저를 조사하여 세라믹 브라켓을 부착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산부식처리 및 샌드블라스트 등의 일반적인 방법을 시행하여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레이저 표면처리의 효과를 연구하고자 시행되었다. 90개의 포세린($8\;{\times}\;8\;{\times}\;4\;mm$) 시편을 제작하여 각각 10개씩 9개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C)으로 아무런 표면처리를 하지 않은 글레이즈 표면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은 인산 처리군(OFA), 인산과 silane 처리군(OFA + S), 샌드블라스팅 처리군(SB), 샌드블라스팅과 silane 처리군(SB + S), 레이저 처리군(L), 레이저와 silane 처리군(L + S), 불산 처리군(HFA), 불산과 silane 처리군(HFA + S)으로 분류하였다.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그 파절양상을 비교 분석한 결과 불산과 silane을 동시에 처리한 군에서 가장 높은 값($13.92\;{\pm}\;1.92\;MPa$)을 보였으며, 측정값은 SB + S ($10.16\;{\pm}\;1.27\;MPa$), HFA (10.09\;{\pm}\;1.07\;MPa$), L + S ($8.25\;{\pm}\;1.24\;MPa$), L ($7.86\;{\pm}\;0.96\;MPa$), OFA + S ($7.22\;{\pm}\;1.09\;MPa$), SB ($3.41\;{\pm}\;0.37\;MPa$), OFA ($2.81\;{\pm}\;0.37\;MPa$), 대조군($2.46\;{\pm}\;1.36\;MPa$) 순이었다. 브라켓 부착 시 치과용 레이저를 이용한 포세린의 표면처리 결과 전단결합강도의 값은 임상적으로 받아들여질 만한 수치를 보였으며 레이저와 silane을 동시에 처리한 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 > 0.05). 이상의 연구결과는 포세린 표면에 세라믹 브라켓 부착 시 2-watt의 $CO_2$ 레이저를 사용하여 전처리를 하는 방법은 시간절약의 관점에서 임상적으로 표면 전처리의 적절한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라노 펜의 적용이 장석계 도재 및 지르코니아와 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ilano-pen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to feldspathic porcelain and zirconia)

  • 신명식;이정열;김민수;신상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8
    • /
    • 2014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석형 도재와 지르코니아에 Silano-pen의 적용이 복합레진과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장석형 도재와 지르코니아를 지름 12 mm, 두께 2 mm 크기로 각각 30개씩 제작하여 표면을 고르고 평활하게 한 후 아크릴 레진에 포매 하였다. 각각 Group F와 Group Z로 나눈 후, (1) Group F1과 Z1은 불산 에칭과 실레인, (2) Group F2와 Z2는 Silano-pen과 실레인, (3) Group F3와 Z3는 불산 에칭과 Silano-pen, 실레인을 적용시켰다. 표면 처리 후, 각각의 시편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높이 2 mm, 직경 3 mm의 복합레진을 붙여 광중합 하고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세라믹과 복합레진간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을 Two way ANOVA와 Tukey's multiple comparison test을 사용하여 통계 분석 하였다(${\alpha}=.05$). 결과: 주사전자현미경의 관찰에서 Group F2와 F3에서 가장 거친 표면을 볼 수 있었으며, Group Z3에서 실리카 입자의 분포밀도가 가장 높았다. 장석형 도재에서는 전단결합강도 측정 결과 Group F3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Group F1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지만, Group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지르코니아에서는 Group Z3가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Group Z1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으며, Group간에 모두 통계학적 유의성이 있었다. 결론: 지르코니아에서는 불산 에칭의 적용 후 Silano-pen과 실레인의 적용이 복합레진 접착에 효과적이다.

Acidic primer를 이용한 교정용 브라켓 접착의 전단결합강도 (APPLICATION OF ACIDIC PRIMER FOR ORTHODONTIC ADHESIVE SYSTEM)

  • 김진희;진훈희;오장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7-147
    • /
    • 2001
  • Acidic primer는 하나의 용액으로 conditioning과 priming을 동시에 시행하는 새로운 접착 시스템으로 치질의 손상이 적고 처리 과정이 간단한 특징을 지닌다. 본 실험은 acidic primer를 이용하여 치면처리를 시행한 후 기존의 접착제로 브라켓을 접착할 때 적절한 결합강도를 지니는지 평가하기 위하여 고안되었다. 50개의 사람 소구치를 5개군으로 나누어 4개군은 acidic primer로 법랑질을 처리한 후 Clearfil Liner bond $2^{\circledR}$(1군), Transbond $XT^{\circledR}$(2군), Panavla $21^{\circledR}$(3군), Fuji Ortho $LC^{\circledR}$(4군)로 브라켓을 접착하였고 1개군은 TransHond $XT^{\circledR}$를 통상적인 산부식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5군)한 후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접착파절의 양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cidic primer로 처리한 4개의 군 가운데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군(4군)의 전단결합강도($9.72{\pm}3.16MPa$)와 Panavia $21^{\circledR}$을 사용한 군(3군)의 전단 결합 강도($8.69{\pm}2.72MPa$)는 37$\%$ 인산으로 처리한 후 광중합형 레진 (Transbond $XT^{\circledR}$)을 사용한 군(5군)의 전단결합강도($10.48{\pm}2.60MPa$)와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2. Acidic primer로 처리한 4개의 군 가운데 광중합형 글래스 아이오노머를 사용한 군(4군)과 Panavia $21^{\circledR}$을 사용한 군(3군)의 전단 결합 강도는 Clearfil Liner bond $2^{\circledR}$를 사용한 군(1군)의 전단 결합 강도($1.09{\pm}0.53MPa$)와 광중합형 레진(Transbond $XT^{\circledR}$)을 사용한 군(2군)의 전단 결합 강도($2.70{\pm}1.46MPa$)에 비해 유의하게 큰 강도를 보였다 (p<0.05). 3. 접착제 잔류지수 측정 결과 4군($2.1{\pm}1.1$)과 5군($2.9{\pm}0.3$)의 경우 1군($0.2{\pm}0.4$), 2군($0.3{\pm}0.9$), 3군($0.2{\pm}0.4$)에 비해 접착제 잔류지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5). 4. 4군과 5군의 접착제 잔류 지수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따라서 acidic primer로 치면을 처리하는 방법은 시용되는 접착제에 따라 기존의 산부식 접 착법과 유사한 결합강도를 얻을 수 있어 교정용 브라켓 접착시 산부식 단계를 생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PDF

산부식 전처리에 따른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two-step self-etch adhesive to ground enamel with and without prior acid-etching)

  • 김유리;김지환;심준성;김광만;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8-156
    • /
    • 2008
  • 자가부식 접착제는 사용하기 쉽고, 술식 민감성이 적은 장점이 있으나 특히 산도가 약한 자가부식 접착제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력은 논란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 (Kuraray, Okayama, Japan)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여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3M ESPE, St. Paul, MN, USA) 및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 (Heraeus Kulzer Gmbh, Hanau, Germany)의 결합강도와 비교하고자 하였고,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에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하는 것이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를 높일 수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은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만 사용한 비산부식 군과 35% 인산 (Scotchbond Etchant, 3M ESPE)으로 산부식 후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산부식 군, 그리고 1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iBond를 사용한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를 사용한 군으로 정하였다. Bovine 전치의 순면을 십자가형으로 4등분하여 각 군으로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각 치아의 순면을 800-grit 실리콘 카바이드 지로 연마한 후 삭제된 법랑질면에 제조사의 설명서에 따라 각 군의 접착제를 적용하고 Light-Core (Bisco)로 적층 충전하였다. 시편은 $37i{\acute{E}}$, 증류수에 일주일 동안 보관한 후 low speed precicion diamond saw (TOPMENT Metsaw-LS, R&B, Daejeon, Korea)를 이용하여 약 $0.8{\times}0.8mm$ 단면이 되도록 시편을 절단하여 미세시편을 제작하였다. 일주일마다 증류수를 교환하면서 한 달, 세 달 동안 $37i{\acute{E}}$, 증류수에 미세시 편을 보관한 후 각각의 미세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 (MPa)는 파절 시에 가해진 힘 (N)을 접착면적 ($mm^2$)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접착계면에서의 파절 양상은 실물현미경 (Microscope-B nocular, Nikon)을 이용하여 분류하였다. 미세인장결합강도에 대한 통계분석은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고, 사후감정은 Least Significant Difference 방법을 이용하였다. 중합 후 1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모든 접착제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개월 뒤 측정된 각각의 접착제의 평균 미세인장결합강도는 유의수준 5%에서 iBond 와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과 Scotchbond Multi- Purpose 간에는 각각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2단계 자가부식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의 연마 법랑질에 대한 미세인장결합강도가 3단계 산부식수세 접착제인 Scotchbond Multi-Purpose 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05), 3개월 후의 결과에서 Clearfil SE Bond 비산부식 군의 미세인장결합강도가 Clearfil SE Bond 산부식 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P<0.05). 즉 35% 인산으로 산부식 전처리를 시행한결과 Clearfil SE Bond 의 법랑질에 대한 결합강도가 증가하였다.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서 사료내 합성아미노산 첨가 효과 (Effects of Dietary Synthetic Amino Acid Supplementation in Korean Rockfish Fry Sebastes schlegeli)

  • 김강웅;박건준;옥임호;배승철;최영준;신인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57-163
    • /
    • 2002
  • 본 실험은 섭취촉진물질로 알려져 있는 사료내 13종의 아미노산들이 치어기 조피볼락에 있어 성장 및 체조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실험어는 평균무게 0.64 g인 조피볼락 치어를 사용하였으며, 기초실험 사료내에 유인효과가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아미노산 13가지(Arg, Ala, Na-Glu, Gly, His, Ile, Lys, Met, Phe, Pro, Thr, Trp 및 Val)를 사료내 각각 0.3% 씩 첨가하여 총 13 실험구를 2반복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6주간의 사육실험 결과, 성장률(WG)과 일간 성장률(SGR)에서는 Pro, Thr, Met 및 Gly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P<0.05), 이들 실험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사료전환효율(FE)에서는 Pro 실험구가 Met과 Gly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P<0.05), Pro 실험구와 Thr 실험구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그리고 Thr, Met 및 Gly 실험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단백질전화효율에 있어서 Pro 실험구가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Thr 실험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그리고, 비만도(condition factor)는 Thr 실험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Val 실험구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간중량지수(HSI)는 모든 실험구간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전어체의 단백질, 수분 및 회분에 있어서는 모든 실험구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P>0.05). 지질함량은 Met, Pro 및 Thr 실험구가 Glu, Gly, Lys, Trp 및 Val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상기 결과를 토대로, 조피볼락 사료용 사료섭취촉진물질로서 아미노산을 검색한 결과 사료내 0.3% Pro, Thr, Met 및 Gly을 첨가했을 때 사료섭취촉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것들 중 Gly을 제외하고는 전어체의 지질 함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THE EFFECTS OF SURFACE CONTAMINATION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COMPOMER

  • Heo, Jeong-Moo;Lee, Su-Jong;Im, Mi-Kyung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제116회) 및 13회 Workshop 제3회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 /
    • pp.577-577
    • /
    • 2001
  • The lastest concepts in bonding are "total etch", in which both enamel and dentin are etched with an acid to remove the smear layers, and "wet dentin" in which the dentin is not blown dry but left moist before application of the bonding primer. Ideally, the application of a bonding agent to tooth structure should be insensitive to minor contamination from oral fluids. Clinically contaminations such as saliva, gingival fluid, blood and handpiece lubricant are often encountered by dentists during preparation of a restor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ontamination by hem-ostatic agents on shear bond strength of compomer restorations. One hundred and ten extracted human maxillary and mandibular molar teeth were collected. The teeth were cleaned from soft tissue remnant and debris and stored in physiologic solution until they were used. Small flat area on dentin of the buccal surface were wet ground serially with 400, 800 and 1200 abrasive paper on automatic polishing machine. The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11 groups. Each group was conditioned as follows: Group 1 : Dentin surface was not etched and not contaminated by hemostatic agents. Group2 : Dentin surface was not etched but was contaminated by Astringedent (Ultradent product Inc., Utah, U.S.A.). Group3 : Dentin surface was not etched but was contaminated by Bosmin (Jeil Phann, Korea.). Group4 : Dentin surface was not etched but was contaminated by Epri-dent (Epr Industries, NJ, U.S.A.). Group5: Dentin surface was etched and not contaminated by hemostatic agents. Group 6 : Dentin surface was etched and contaminated by Astringedent. Group7 : Dentin surface was etched and contaminated by Bosmin. Group8 : Dentin surface was etched and contaminated by Epri-dent. Group9 : Dentin surface was contaminated by Astringedent. The contaminated surface was rinsed by water and dried by compressed air. Group10 : Dentin surface was contaminated by Bosmin. The contaminated surface was rinsed by water aud dried by compresfed air. Group 11 : Dentin surface was contaminated by Epri-dent. The contaminated surface was rinsed by water and dried by compresfed air. After surface conditioning, F2000 was applicated on the conditoned dentin surface. The teeth were thermocycled in distilled water at $5^{\circ}C\;and\;55^{\circ}C$ for 1000 cycles. The samples were placed on the binder with the bonded compomer-dentin interface parallel to the lmife-edge shearing rod of the Universal testing machine(Zwick 020, Germany) running at a cross head speed of 1.0mmim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groups 1 and group 3 and 4, but group 2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hear bond strength compared with group 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group 5 and group 7 and 8, but group 6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shear bond strength compared with group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group 5 and group 9, 10 and 1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