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blue 40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1초

고정화 laccase에 의한 azo 염료의 연속 분해 (Continuous Degradation of azo dye by Immobilized laccase)

  • 권신;류원율;조무환
    • KSBB Journal
    • /
    • 제17권2호
    • /
    • pp.189-194
    • /
    • 2002
  • Trametes sp.에서 생산되는 laccase는 CNBr-activated Sepharose-4B(CAS4B)에 고정화 되었고, 염료의 연속적인 분해를 위하여 테스트되었다. Laccase는 CAS4B에 효율적으로 고정화되었고, CAS4B에 고정화 된 laccase는 pH, 열, 단백질 구조적인 안정성 면에서 상당히 증가하였다. CAS4B에 고정화 된 accase의 최적 pH는 5, 온도는 4$0^{\circ}C$로서 free laccase와 비교하여 변화가 없었다 기질로서 Reactive Blue 19를 사용하였을 때 free laccase와 고정화 laccase의 $K_{m}$ ($\mu$mol/mL) 값은 각각 0.34와 2.0이었고,V$_{max}$($\mu$mol/mL.min) 값은 각각 0.12, 0.1이었다. Repeated-batch 반응에서 효소의 안정성과 높은 분해 효율 만족하는 조건은 pH 5, 3$0^{\circ}C$이였다. 또한 HBT에 의한 효소의 불활성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Packed-bed reactor에서 최적으로 운전되었을 때 100 $\mu$M Reactive Blue 19과 0.1 mM HBT가 존재하는 50 $\mu$M Acid Red 57의 연속적인 분해에서 30시간 후에도 분해 효율이 70%로 유지되었다. 고정화 laccase는 Packed-bed reactor에서 azo 염료의 연속적인 분해를 매우 안정적으로 수행하였다.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case from Wood-Degrading Fungus Trichophyton rubrum LKY-7

  • Hyunchae Jung;Park, Chongyawl;Feng Xu;Kaichang Li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25
    • /
    • 2001
  • A new wood-degrading fungus Trichophyton rubrum LKY-7 secretes a high level of laccase in a glucose-peptone liquid medium. The production of laccase by the fungus was barely induced by 2,5-xylidine. The laccase has been purified to homogeneity through three chromatography steps in an overall yield of 40%. The molecular mass of the purified laccase was about 65 kDa by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The purified laccase had the distinct blue color and had basic spectroscopic features of a typical blue laccase: two absorption maxima at 278 and 610 nm and a shoulder at 338 nm. The N-terminus of the laccase has been sequenced, revealing high homology to laccases from wood-degrading white-rot fungi such as Ceriporiopsis subvermispora. The enzyme had a "low" redox potential (0.5 V vs normal hydrogen electrode), yet it was one of the most active laccases in oxidizing a series of representative substrates/mediators. Compared with other fungal laccases, the laccase has a very low Km value with ABTS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s a substrate and a very high Km value with violuric acid as a substrate. The laccase has the isoelectric point of 4.0. The laccase had very acidic optimal pH values (pH 3-4) while it was more stable at neutral pH than at acidic pH. The laccase oxidized hydroquinone faster than catechol and pyrogallol. The oxidation of tyrosine by the laccase was not detectable under the reaction conditions. The laccase was strongly inhibited by sodium azide and sodium fluoride. fluoride.

  • PDF

해삼 당단백질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Dietary Effect of Glycoprotein from Sea Cucumber(Stichopus japonicus))

  • 류홍수;문정혜;유병진;문수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40-248
    • /
    • 1996
  • 육상생물에 비해 활성물질의 급원으로서 이용율이 낮은 해양생물자원인 해삼(홍삼, 청삼 및 흑삼)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그 화학성분의 조성을 규명하고 이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식이효과를 실험하였다. 일반 성분의 함량은 종류에 따라 큰 차이가 없으며, 특히 점질다당체의 주성분인 chondrotin sulfate의 함량이 2.6~3.2%를 함유하고 있다. 동결건조해삼분말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유화성과 유화안정성은 동결건조해삼분말 보다 각각 56~77%, 33~71%로 증가하였다. 당단백질은 보수력을 측정하기에 곤란할 정도로 증류수에서의 용해도가 높았으며, 동결건조해삼분말의 보수력은 913.4%(홍삼), 673.5%(청삼) 및 870.4%(흑삼)로 나타났다. 점도는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당단백질의 점도가 제일 높았으며 청삼과 흑삼은 유사하였다. 해삼에서 분리한 당단백질의 구성아미노산은 홍삼이 청삼 및 흑삼에 비해서 전체 단백질에 차지하는 구성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편이었으며(홍삼 96%, 청삼 91.6% 및 흑삼 88.2%), 각 당단백질의 Asx와 Glx는 모두 10%이상을 차지하였고, 특히 histidine이 2% 이하의 낮은 결과를 보였다. 동결건조분말에 비해 당단백질의 valine, phenylalanine 및 lysine의 함량은 모두 약 2배 증가하였는데 비해 glycine은 약 60~70%, Arg은 약 40% 감소하였다. 동결조건해삼분말 중 청삼과 여기서 추출한 당단백질을 몇종의 단백질 식품(casein, 분유, 콩단백추출 및 오징어)에 여러 가지 비율로 첨가시켜 소화율의 저해효과를 보았을 때 casein, 분유, 콩단백질추출물의 소화율이 3.5~6%와 4.5~11.4%의 저해효과를 보았으나 오징어 단백질에 대해서는 모두 큰 저해효과가 없었다.

  • PDF

한국산 자초 적색소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tability of Red Color Pigments from the Korean Lithospermum erythrorhizon)

  • 이제헌;오문헌;이희봉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83-389
    • /
    • 2000
  • 한국산 자초 적색소의 안정성을 연구한 결과 적색소의 온도에 대한 영향은 40~8$0^{\circ}C$의 조건에서 1~2 시간 정도의 가열로는 색상의 변화는 거의 없으나 장시간 보관시 55$^{\circ}C$ 이상 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색상이 현저하게 변화하였다. 적색소의 햇빛에 대한 영향은 적색 및 녹색 포장에서는 색상이 안정 하였으나 황색 및 청색 포장에서는 심한 색상의 변화를 보였다. 적색소의 pH에 대한 영향은 pH 4~8의 조건에서 색상이 매우 안정하게 나타났으며 pH 10 이상에서는 색상의 변화가 심하게 나타났다. 적색소의 금속이온에 대한 영향은 KCl, NaCl 첨가에서는 색상이 거의 변화하지 않았으나 CaCl$_2$, FeCl$_3$, CoCl$_2$, AlCl$_3$, MnCl$_2$ 첨가시에는 완전히 다른 색상으로 변화하였다. 적색소의 구연산, 초산에 대한 색소 안정성은 양호한 편이며 특히 초산에서는 색상의 변화가 없었다.

  • PDF

어패류를 이용한 조미료 소재 개발에 관한 연구 -1. 패류 자숙액즙의 성분조성- (A Study of Exploiting Raw Material of Seasoning by Using Fish and Shells -1. On Composition of Seasoning Material in Cooking By-product-)

  • 김우준;배태진;최종덕;최지현;안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9-264
    • /
    • 1994
  • 굴, 키조개, 새조개, 진주담치 등을 가공할때에 부산되는 자숙액을 조미료 자원으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일환으로 정미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공과정에서 생산되는 자숙액은 굴 21,790톤, 키조개 604톤, 진주담치 1,395톤이었다. 2. 일반성분은 수분이 $95.2{\sim}97.4\%$로 높고 단백질이 $1.0{\sim}l.5\%$로 낮았다. 3. 유리아미노산 가운데 taurine이 $40{\sim}56\%$로 가장 많고 glycine이 $10.4{\sim}36\%$, alanine이 $4.8{\sim}8.6\%$, glutamic acid가 $3.1{\sim}5.3\%$로 많았다. 4. 핵산관련물질은 ADP, AMP가 높았다. 5. glycinebetaine은 굴이 139.3mg/100g이었으나 키조개, 진주담치, 새조개는 각각 45.2, 52.1, 66.9mg/100g로 적었다. 6. Total creatinine과 trimethylamine oxide는$30.4{\sim}59.1mg/100g,\;0.8{\sim}47.2mg/100g$로 적었다.

  • PDF

가락지나물의 생장과 생리활성물질 함량에 미치는 차광, 광질 및 화학적 엘리시테이션 (Effect of Shading, Light Quality, and Chemical Elicitation on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 of Potentilla kleiniana Wight et Arnott)

  • 이종두;박정애;박병준;정철승;박소영;백기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63-375
    • /
    • 2016
  • 가락지나물은 장미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potentillin, agrimoniin 등 생리활성물질은 한약재와 화장품 원재료로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가락지나물의 재배 시 차광, 광질 및 화학적 elicitation에 따른 생육, 바이오매스, 엽록소함량, 생리활성물질 함량 축적효과를 조사하여 생산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온실에서 재배 중인 가락지나물을 각각 다른 차광조건[0% (200 μmol·m−2·s−1), 35% (95 μmol·m−2·s−1), 55% (65 μmol·m−2·s−1), 75% (40 μmol·m−2·s−1)]에서 60일간 재배한 결과, 엽록소 함량과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35%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나 개체당 초장, 엽수와 바이오매스는 무차광구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물생장상 내(25 ± 2℃, 185 ± 3 μmol·m−2·s−1)에서 형광등과 3가지 혼합광원 [red:white:blue(RWB) = 8:1:1, red:blue(RB) = 8:2, red:green:blue(RGB) = 8:1:1] 처리구에서 재배한 결과, RWB 처리구에서 생장, 바이오매스, 엽록소함량, 총 페놀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모든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특히 형광등과 RGB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화학적 elicitor (SA; salicylic acid, MeJA; methyl jasmonate)를 0, 50, 100, 200 μM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무처리구와 MeJA 50 μM 처리구에서 초장, 엽병직경, 바이오매스가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MeJA 50 μM 처리구의 생체중과 건체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SA 50 μM 처리구에서의 총 페놀화합물(33.20 ㎎·g DW−1)과 플라보노이드 함량(7.18 ㎎·g DW−1)은 높게 분석되었으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JA 200 μM 처리구(88.65%)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가락지나물의 높은 생장, 바이오매스, 기능성물질 함량을 얻기 위한 온실과 식물생장상 내 최적의 차광 및 광질조건을 구명하였으며, 화학적 elicitation 농도에 따른 생리활성물질 함량과 항산화도를 확인하였다.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치면열구전색의 미세누출 평가 (THE EVALUATION OF MICROLEAKAGE OF PIT AND FISSURE SEALANT BY USAGE OF SELF-ETCHING ADHESIVE SYSTEM)

  • 김현진;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16-224
    • /
    • 2008
  • 자가 산부식 접착제는 산부식 과정 후 수세없이 와동을 충전할 수 있다. 움직임이 많고 행동 조절이 어려운 환자의 경우 시술의 절차를 줄일 수 있는 자가 산부식 접착제가 치면열구전색제의 사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법랑질에 대한 산부식 능력이 인산에 비해 낮아서 충분한 부식이 일어나는지에 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대해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약한 산부식능을 감안하여 열구성형술과 acidic primer의 도포 시간을 증가시키는 등의 임상 술식을 시행하고 자가 산부식 접착제의 단점이 보완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35% 인산으로 산부식 후 전색술을 시행한 경우와 자가 산부식 접착제를 사용하여 도포한 경우의 미세 누출도를 염색액의 침투도를 비교하고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산부식상 관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열구 성형술을 시행 후 자가산부식접착제를 도포한 군은 인산 부식 20초를 시행한 군과 자가산부식접착제를 20초, 40초 도포한 군보다 미세누출도가 더 낮았다. 2. 자가산부식접착제를 제조 회사의 지시에 따라 20초간 도포한 군과 40초로 늘려 도포한 군 간에 미세누출도의 유의차가 없었다. 3. 주사전자현미경 관찰 시 전형적인 산부식 양상은 인산부식 20초군에서만 관찰되었으며 열구성형술을 시행하고 자가산부식접착제를 도포한 군이 자가산부식접착제만 20, 40초 도포한 군보다는 표면 거칠기가 증가하였다.

  • PDF

청변목재의 추출물함량 변화와 펄프화특성 (Changes in Extractives of Blue Stained Woods and Its Pulping)

  • 조남석;이종규;정선화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1-8
    • /
    • 2003
  • 변색목재의 화학적 성질을 조사한 결과, 처리전.후의 유기용매추출물 함량에 있어서 소나무재 및 리기다소나무재 공히 노화 및 변색균처리포 그 함량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냈는바, fatty acids와 sterols 은 3주간 노화처리로 10.6-11.2%, 변색균처리로 36-41.1%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triglycerides도 3주간 노화처리로 5.68-9.4%, 변색균처리로 38.5-40.0%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resin acids의 경우 3주간 노화처리로 6.1-11.3%, 변색균처리로 36-41.5%의 감소율을 나타냈다. 변색목재의 펄프화와 관련하여 소나무재 및 리기다소나무재의 크라프트펄프화결과, 알칼리펄프화에 비하여 펄프수율이 2-3% 높아졌다. 최적펄프화조건으로 활성알칼리농도 20%에서 펄프수율이 46.9-47.8%, reject율이 3.21-3.52%로 낮았다. 변색균처리한 목재도 활성알칼리 20%에서 펄프수율이 비교적 높은 43.5-45%를, reject율이 1.3-1.45%로서 변색균처리 모두에서 현저히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Role of Gel to Fluid Transition Temperatures of Polydiacetylene Vesicles with 10,12-Pentacosadiynoic Acid and Cholesterol in Their Thermochromisms

  • Kwon, Jun Han;Song, Ji Eun;Yoon, Bora;Kim, Jong Man;Cho, Eun Chu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5권6호
    • /
    • pp.1809-1816
    • /
    • 2014
  • This study demonstrates gel-to-fluid transition temperatures of polydiacetylene bilayer vesicles could play important roles in their colorimetric transition temperatures. We prepared five types of polydiaceylene vesicles with 10,12-pentacosadiynoic acid (PCDA) and cholesterol (0-40 mol % of total content). From temperature-dependent observations of the optical signals (colors and UV-vis spectra), the blue-to-red colorimetric transition temperatures of polydiacetylene vesicles were decreased with the cholesterol contents. A further study with microcalorimetry and dynamic light scattering revealed that the polydiacetylene vesicles first underwent gel-to-fluid transitions, which were followed by event(s) responsible for the colorimetric transitions. Energies required for each event were quantified from analysis of the peaks in the microcalorimetry thermograms. The inclusion of cholesterol in the vesicles decreased both the gel-to-fluid and the colorimetric transition temperatures, suggesting that the colorimetric transition of the polydiacetylene vesicles was mediated by the former event although the event was not the direct reason for the color change.

Flavonoid Fraction Purified from Rhus verniciflua Stokes Actively Inhibits Cell Growth Via Induction of Apoptosis in Mouse Tumorigenic Hepatocytes

  • Lee, Jeong-Chae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0권2호
    • /
    • pp.74-79
    • /
    • 2004
  • Dietary flavonoids are currently receiving considerable attention in developing novel cancer-preventive approaches because of their potential capacities to actively induce apoptosis of cancer cells. In our previous report, a flavonoid fraction, which consisted mainly of protocatechuic acid, fustin, fisetin, sulfuretin, and butein and named RCMF (RVS chloroform-methanol fraction), was prepared from a crude acetone extract of Rhus verniciflua Stokes (RVS) that is traditionally used as food additive and herbal medicin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he RCMF o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using SV40-transformed tumorigenic hepatocytes, BNL SV A.8. Tritium uptake assay showing the proliferative capacity of the cells was strongly suppressed in the presence of RCMF. This anti-proliferative effect was further confirmed through trypan blue exclusion. RCMF-mediated suppression of cell growth was verified to be apoptotic, based on the increase in DNA fragmentation, low fluorescence intensity in nuclei after propidium iodide staining, and the appearance of DNA laddering. Collective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RCMF can be approached as a potential agent that is capable of significantly inhibiting cell growth of hepatic cancer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