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black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8초

향신료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pices)

  • 손종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648-65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메탄올로 추출한 향신료 추출물(생강, 마늘 양파, 산초 및 후추)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항산화 및 항균효과에 대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생강, 마늘, 양파, 산초 및 후추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20.3, 10.0, 4.3, 6.6 및 12.8%이었으며, 총 flavonoid 함량은 각각 19.3, 1.0, 0.5, 3.4 및 7.9%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2,000 ppm)은 생강(67.2%)> 후추 (56.8%)> 산초(39.7%)> 마늘(26.6%)> 양파(19.6%)의 순이었다. 항균효과의 경우, 생강 메탄올 추출물은 Bacillus cereus에 대해서, 마늘 추출물은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 항균효과를 보였다. 양파 추출물은 모든 균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ascorbic acid> 생강 추출물> BHT> 후추 추출물> 산초 추출물> 마늘 추출물> 양파 추출물의 순이었다. Linoleic acid 기질에서의 향신료 추출물(0.05%)의 항산화효과는 BHT (0.02%)> 생강> 산초> 후추> 마늘> $\alpha$-tocopherol(0.02%)> 양파의 순이었고, linoleic acid 에멀젼 기질에서의 항산화 효과는 BHT> $\alpha$-tocopherol> 생강> 후추> 산초> 마늘> 양파의 순이었다.

여러 가지 특수미의 일부 항산화 성분 분석 (Determination of Selected Antioxidant Compounds in Specialty Rice)

  • 서선정;최용민;이선미;김기종;손종록;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99-50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쌀 섭취의 중요성에 착안하여 건강 기능성 쌀로 개발된 특수미의 항산화 성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수미의 polyphenol, phytic acid, anthocyanin은 비색법으로 vitamin E는 순상 HPLC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일반백미에 비해 특수미는 그 종류에 따라 약 $2{\sim}9$배의 높은 total polyphenol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쌀에는 insoluble polyphenol이 total polyphenol의 약 $25{\sim}4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쌀의 vitamin E 함량은 백미(0.23mg ${\alpha}-TE/100g$)에 비해 현미(1.02mg ${\alpha}-TE/100g$) 및 특수미 $(0.97{\sim}1.21mg\;{\alpha}-TE/100 g)$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고 phytic acid 함량은 백미, 현미, 거대배아미, 녹미, 적색미, 고아미, 흑미 순으로 각각 529, 1,429, 1,507, 1,561, 1,732, 2,163mg/100g으로 나타났다. 일반미와 특수미의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흑미 (302mg/100g)를 제외한 나머지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일반미와 특수미의 anthocyanin 함량 비교를 위해서는 HPLC 등을 이용한 정밀한 방법이 적용되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는 쌀의 항산화 성분과 항산화 활성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되며, 건강증진 식품으로서의 쌀을 인식시켜 나아가 쌀의 소비 촉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을 기대된다.

석탄계 활성탄에 의한 Acid Black 1 염료의 흡착에 있어서 평형, 동력학, 및 열역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Equilibrium, Kinetics, and Thermodynamics for Adsorption of Acid Black 1 Dye by Coal-based Activated Carbon)

  • 이종집
    • 청정기술
    • /
    • 제27권3호
    • /
    • pp.261-268
    • /
    • 2021
  • 석탄계 입상 활성탄(CGAC)에 의한 acid black 1 (AB1) 염료의 평형, 동력학 및 열역학적 특성을 초기농도, 접촉 시간, 온도 및 pH 를 흡착변수로 하여 조사하였다. 활성탄에 의한 AB1의 흡착반응은 산성에서는 활성탄의 표면(H+)과 AB1이 가지고 있는 sulfite ion (SO3-), nitrite ion (NO2-)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일어났고, 최고 흡착률은 pH 3에서 97.7%였다. AB1의 등온 데이터는 Freundlich 등온식에 가장 잘 맞았으며, 계산된 분리계수(1/n) 값으로부터 활성탄에 의한 AB1의 흡착이 효과적인 처리과정이 될 수 있음을 알았다. Temkin 식의 흡착열 관련상수의 값은 물리 흡착 공정(< 20 J mol-1)임을 나타냈다. 동역학 실험에서는 유사 2차 모델이 유사 1차 모델보다 더 일관성이 있었으며 추정된 평형 흡착량은 오차 백분율의 9.73% 이내에서 잘 일치하였다. 입자내 확산이 흡착 과정에서 속도 조절 단계였다. 활성화 에너지와 엔탈피 변화값으로부터 흡착반응이 물리흡착으로 진행되는 흡열반응임을 확인하였다. 엔트로피 변화는 활성탄 표면에서 AB1의 흡착이 일어나는 동안 고-액 계면에서 활발한 반응에 의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에너지 변화는 온도증가와 함께 흡착반응의 자발성이 더 커지는 것을 나타냈다.

과피색에 따른 토마토 과실의 성숙 단계별 기능성물질 축적과 항산화 활성 (Bioactive Compound Accumul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in Tomato Fruit Skin at Different Ripening Stages)

  • 정재연;최효길;강남준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9-138
    • /
    • 2024
  • 본 연구는 과피색에 따른 토마토 과실의 숙성 단계에 따른 기능성 물질 및 항산화 활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토마토 샘플은 성숙한 단계에서 과피색이 황색, 흑색, 적색으로 구별되는 세 가지 토마토 품종을 이용하였다. 토마토 샘플을 녹색기, 변색기, 최색기, 완숙기의 4가지 숙성 단계에서 수확한 후 당, 라이코펜, 아스코르브산, 폴리페놀 및 항산화 활성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 활성 화합물을 분석하였다. 토마토 과실의 주요 당분은 과당과 포도당이다. 황색 토마토의 과당과 포도당 함량은 숙성 단계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다. 그러나 흑색 토마토와 적색 토마토는 변색기 단계에서 증가한 후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과피색에 관계없이 모든 토마토 과실에 함유된 라이코펜 함량은 숙성 단계에 따라 크게 증가했습니다. 라이코펜 함량은 적색 토마토 과실의 성숙 단계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황색 토마토 과실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은 낮았으며 숙성 단계 동안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흑색 토마토 과실의 아스코르브산 함량은 성숙 단계에서 2,249mg·kg-1으로 크게 증가한 반면, 적색 토마토 과실에서는 성숙 단계에서 3,529mg·kg-1으로 점차 증가했습니다. 페놀성 화합물인 퀘르시트린은 토마토 과실에서 발견되었지만, 성숙 단계에서 토마토 과실의 퀘르시트린 함량은 점차적으로 감소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최색기의 황색 토마토 과실에서 급격히 증가한 반면, 흑색 토마토와 적색 토마토에서는 숙성 단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모든 토마토 과실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최색기에서 크게 증가했다.

한국 재래 검점콩의 지방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of Korean Black Soybean)

  • 이경임;유정희;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8
    • /
    • 1988
  • 검정콩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총지방질을 SACC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하여 분별하였으며, GC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정콩의 총지방질중 중성지방질은 $88.5{\sim}89.2%$, 당지방질은 $2.4{\sim}2.5%$,, 인지방질은 $8.4{\sim}9.0%$였다. 중성지방질 조성중 triglycerides가 주된 성분이었으며, diglycerides, sterols, steryl esters, free fatty acids, hydrocarbons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지방질 성분으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s 및 esterified steryl glycosides, cerebrosides 및 steryl glycodes, digalactosyl diglycerides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인지방질에서는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ule 및 lysophosphatidyl choline이 분별정량되었다. 검정콩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방질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고, oleic acid가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당지방질도 이와 비슷하나 olelc acid함량이 다소 낮은 반면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함량이 약간 높았다. 또한 인지방질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 함량은 높으나 그외는 적은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Meat from Korean Native Black Pig with Different Slaughter Weight

  • Kim, Il-Suk;Jin, Sang-Keun;Jo, Cheo-Run;Lee, Moo-Ha;Jang, Ae-R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3권1호
    • /
    • pp.23-27
    • /
    • 2008
  • The Korean native black pig (KNP) have several desirable meat qualities, which are highly demanded by Koreans in spite of its slow growth rate, low feed efficiency, and small litter siz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eat quality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NP at different slaughter weight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to industry. Ninety female KNP of the same age (220 day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live body weights (30 pigs per each group); live weight of 50$\sim$59 kg (T1), 60$\sim$69 kg (T2) and 70$\sim$80 kg (T3), respectively. After slaughtering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LD) and backfat from each group were obtained after 24 hr chilling. Crude protein content and shear force of LD from T3 was higher than that from T1 and pH of LD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at from T1 than from T2 and T3. Color measurement indicated that LD of T2 group had a higher $L^*$-value and lower $a^*$-value than those of T1 and T3. Slaughter weight of KNP generally did not affect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LD and backfat but the content of oleic acid (C18:1) of T2 in L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1 and T3. The results may provide basic information to industry to promote the production and processing of KNP, and assist in meeting the Korean consumer's demand.

Effects of Intensive Alfalfa Feeding on Meat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 of Korean Native Black Goats

  • Hwang, Young-Hwa;Bakhsh, Allah;Ismail, Ishamri;Lee, Jung-Gyu;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092-1100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native black goats (KNBG) finished on intensive feeding of alfalfa (ALF) and conventional feeding of commercial concentrate pellets (CCP) with low-energy common grasses. Ten KNBG (12 months ol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subjected to either ALF or CCP treatments. The goats were slaughtered after 6 months of feeding with experimental diets to investigat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longissimus lumborum musc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chemical composition, collagen, or myoglobin content between ALF and CCP groups of goats. Meat color, water-holding capacity, or tender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either. However, proportions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s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proportion of oleic acid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ALF goat whereas proportion of linoleic and arachidonic acid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CCP goat. Results suggest that KNBG finished with intensive feeding of alfalfa could produce goat meat with desirable fatty acids for human diets.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the Four Major Muscles in Korean Native Black Goat

  • Hwang, Young-Hwa;Joo, Sung-Hyun;Bakhsh, Allah;Ismail, Ishamri;Joo, Seon-Te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948-954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four major muscles in Korean native black goat (KNBG). Longissimus lumborum (LL), psoas major (PM), semimembranosus (SM), and gluteus medius (GM) were obtained from five male KNBGs of 36 mon of age and subjected to histochemical analysis and to determine fatty acid composition and meat quality traits. There were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in fiber number percentage (FNP) and fiber area percentage (FAP) of fiber types among these four muscles. PM had the highest FNP of type I and the lowest FNP of type IIB, while SM had the highest FNP of type IIB. The highest fat content was observed in LL while SM had the lowest fat content. The proportions of SFA and MUFA were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four muscles due to differences in the majority of fatty acids such as oleic (C18:1) and palmitic (C16:0) acids. The PUFA/SFA ratio was significantly (p<0.05) different among four muscles, and the highest PUFA/SFA ratio was observed in PM. Results suggested that LL and PM might be healthful because of higher desirable fatty acid value and PUFA/SFA ratio, respectively. Also, data showed that correlations between muscle fiber types and fatty acids proportion of goat muscles were reversed with those of cattle muscles.

Carcass traits, meat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s of broiler chickens fed diets with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microwave-dried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arvae meal

  • Byeonghyeon Kim;Minji Kim;Hye Ran Kim;Jin Young Jeong;Hyunjung Jung;Seol Hwa Park
    • 농업과학연구
    • /
    • 제49권2호
    • /
    • pp.249-257
    • /
    • 2022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inclusion levels of a microwave-dried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arvae meal (HILM)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breast meat quality, and fatty acid profiles of leg meat in broiler chickens. A total of 150 male broil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dietary treatment groups (10 replicates·treatment-1 and 5 birds·replicate-1). HILM was included at increasing levels (0, 2, and 4%; CON, 2HILM, and 4HILM, respectively) in diets formulated for three feeding phases: starter (1 - 7 d), grower (7 - 21 d), and finisher (21 - 35 d). One bird per replicate was slaughtered at d 35; the carcasses and organs were weighed, and breast and leg meats were excised for a meat analysis. A linear decrease (p < 0.01) was observed for live and carcass weights for the whole period of the experiment, with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 and 2HILM groups. Broilers fed HIL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t quality parameters, except for an increase in yellowness (b*) in the 2HILM and 4HILM groups compared to the CON group (p < 0.01). With an increase in the HILM inclusion level, the proportion of saturated fatty acids (SFAs) such as lauric, myristic, stearic, arachidic, and heneicosylic acids showed a linear increase (p < 0.01); however, total SFA,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 did not differ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Thus, microwave-dried HILM can be considered as a possible alternative ingredient to soybean meal in broiler diets up to a 2% inclusion level.

대추 추출물이 첨가된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Doraji-apple juice mixed with jujube extracts)

  • 김자민;문용선;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9-20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이 우수한 도라지를 이용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였으며,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즙, 대추추출물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를 제조하고 각각의 품질특성과 기능성을 분석하였다. 흑도라지 사과주스의 pH는 3.90~4.15이었으며, 산도는 1.2에서 1.5 사이를 나타내었다. 당도를 측정한 결과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은 값(9.33 $^{\circ}Brix$)을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의 경우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85.05 m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흑도라지 사과주스 B가 41.23 mg/m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당산비 수치의 경우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6.9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색도는 명도와 황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E가 가장 높았으며 적색도는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높았다. 관능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향미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도라지 사과주스 D가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706 ${\mu}g/mL$)과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나 흑도라지 사과주스 C와 항산화 활성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흑도라지 사과주스 C가 관능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흑도라지 사과주스 제조를 위해 흑도라지 추출물, 사과주스, 대추추출물을 2:4: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