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Value

검색결과 5,411건 처리시간 0.039초

생마늘과 무취마늘의 화학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between Fresh and Odorless Garlic)

  • 이미경;이형옥;이성계;도재호;김만욱;이종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00-403
    • /
    • 1997
  • 본 실험에서는 생마늘을 소금물에서 $100^{\circ}C$로 가열하고 급냉하여 제조한 무취마늘과 생마늘의 일반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지방산 및 색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섬유, 조지방 및 회분의 함량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환원당은 약 15%, 조단백질의 함량이 약 27% 감소되었다. 유리당 성분은 glucose가 증가된 반면에 sucrose와 maltose는 감소되었다. 총 아미노산은 30% 정도가 감소되었는데, 그 중 arginine, isoleucine등이 이 감소되었다 생마늘에 가장 많이 함유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59.53%이었으며, 그 다음은 oleic acid 10.05%이었고, lauric acid가 0.24%로 가장 적었다. 그리고 무취 마늘에서는 linoleic acid 39.74%, behenic acid 15.35%였으며, lauric acid가 0.37%로 가장 적었다. 색도는 L, b 값은 거의 변화가 없으나 a값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헥사날에 의한 라면의 저장성 예측 (Prediction of Shelf-life of Instant Noodle by Hexanal Content)

  • 김복순;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31-335
    • /
    • 1994
  • 라면을 밀폐 용기에 넣고 $35{\sim}65^{\circ}C$ 의 빛이 차단된 곳에 저장하면서 변패취와 headspace의 헥사날 농도의 변화로부터 라면의 품질 수명을 예측하고, 헥사날 농도와 산가 또는 과산화물가와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헥사날은 모든 저장온도에서 저장기간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헥사날의 생성속도상수 값의 활성화에너지 값은 12.7 kcal/mole, 온도 계수는 1.92이었다. 저장중 라면의 변패취는 $65^{\circ}C$ 에서는 6일째 나타났으며 이때 헥사날의 농도는 3.5 ppm이었다. 이를 기준으로 예측한 라면의 실온($21^{\circ}C$)에서의 품질 수명은 110일 이었다. 각 저장온도에서 라면이 변패취에 도달하는 기간 동안의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모두 직선적으로 증가하였고 헥사날과는 높은 정의 관계를 보였다.

  • PDF

Effects of vacuum and high-oxygen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minced water buffalo meat

  • Jaberi, Rahimeh;Kaban, Guzin;Kaya, Mukerre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3호
    • /
    • pp.421-429
    • /
    • 2019
  • Objective: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vacuum (VP) and high-oxygen modified atmosphere ($80%\;O_2+20%\;CO_2$) packaging (HiOx-MAP) o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of minced water buffalo meat were investigated. Methods: After minced meat preparation, samples were packaged under VP and HiOx-MAP and stored at $2^{\circ}C{\pm}0.5^{\circ}C$ for 14 days. Samples taken on certain days were subjected to total aerobic mesophilic bacteria, total aerobic psychrotrophic bacteria, lactic acid bacteria, Pseudomonas, Enterobacteriaceae and yeast-mold counts as well as pH, color ($L^*$, $a^*$, and $b^*$)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alyses. Results: In minced water buffalo meat packaged under HiOx-MAP, TBARS value exceeded 1 mg malondialdehyde/kg on the 4th day of the storage. In VP samples, TBARS value remained close to initial TBARS value during storage. According to the findings, $a^*$ value was determined to be high in the HiOx-MAP samples within initial days of the storage. However, no significant changes in $a^*$ value were observed in VP samples during storage. In contrast, the mean value of $L^*$ was detected as higher in HiOx-MAP sample than VP samples. The count of psychrotrophic bacteria increased more than that of mesophilic bacteria during storage. The growth of Enterobacteriaceae and Pseudomonas was delayed in both the packaging methods. However, lactic acid bacteria exhibited more growth in VP samples compared to MAP samples. Conclusion: The lipid oxidation proceeded faster than expected in minced water buffalo meat packed with HiOx-MAP method. This situation adversely affected the $a^*$ value. On the other hand, similar microbiological results were obtained in both packing methods.

성게 알의 아미노산과 지방산 조성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for sea urchin)

  • 남현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3-37
    • /
    • 1986
  •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 and amino acid for Seong-ge-al(sea urchin) were analysed by the automatic analyser. There are two kind of samples such as raw and saited, fermented one.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In the general composition,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ash as 15.8%, 3.5% and 2.2%, respectively. The raw sample showed pH 5.6 value. 2. In case of amino acid, it contained 17 different kind of amino acids. Among them, a lot of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rginine, glycine and valine were contained. 3. In case of fermentation period, threonine, histidine, lysine and arginine were increased a little bit. 4. In case of fatty acid, it contained 13 different kind of fatty acids. Among them, a lot of palmitic acid, behnic acid, linoleic acid and arachidonic acid were contained.

서울 지역 중화 요리점의 탕수육 및 튀김유의 품질 측정 (Quality Test of the Sweet-and-Sour Porks and Deep-Frying Oil from the Chinese Restaurants in Seoul)

  • 김효진;설성련;이기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36-542
    • /
    • 2010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중화 요리점들로부터 탕수육과 튀김유를 각각 수거하여 지방 함량과 지방산 조성, 트랜스 지방산 함량 및 산가를 비교 분석한 후 탕수육 및 튀김유의 품질을 측정하였다. 탕수육 20종 시료의 총 지방 함량은 평균 14.65%로 측정되었으며, 주요 지방산은 평균적으로 linoleic acid($C_{18:2}$)는 38.13%, oleic acid($C_{18:1}$)는 30.07%, palmitic acid ($C_{16:0}$)는 17.14%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총 불포화지방산은 평균 70.79%, 포화지방산은 평균 23.47%로 측정되었다. 탕수육 시료 중 6번, 7번, 9번, 16번, 17번 시료를 제외하고 linoleic acid, oleic acid, stearic acid의 순으로 많았으며, 이 세 개의 지방산이 85.38~87.27%를 점유하였다. 반면에, 7번, 9번 시료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oleic acid(평균 41.88%), palmitic acid(평균 23.46%), linoleic acid(평균 15.22%)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 16번, 17번 시료의 지방산 조성을 살펴보면 oleic acid(평균 34.83%), linoleic acid(평균 28.68%), palmitic acid(평균 20.21%)의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특히, 6번 시료는 palmitic acid가 40.70%로 높게 함유하고 있었으며, 총 포화지방산 함량은 49.26%, 총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50.05%를 나타내었다. 15종의 튀김유의 주요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palmitic acid는 11.65~20.28%, oleic acid는 23.54~26.32%, linoleic acid는 43.82~52.55%, stearic acid는 3.98~5.29%로 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탕수육 시료와 튀김유 각 100 g당 함유되어 있는 트랜스 지방산의 함량은 0.24 g와 0.98 g 이하로 각각 적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모든 시료는 식품공전상 튀김유의 산가 규격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잎혹파리 유충 체액의 생화학적 변화 (Biochemical Changes in the Hemolymph of the Larvae of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 et Inouye)

  • 이경노;이종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69-178
    • /
    • 1976
  • 솔잎혹파리 (Thecodiplosis japonensis Uchi. et Inouye)의 충영속 유충과 충영을 탈출하여 낙하한 토중의 유충을 대상으로 체액을 분석, 측정코저 종이 크로마토그라피법, micro-Kjeldahl법, 박층 크로카토그라피 법, 왈부르그 검압계법, Bessey-Lowry법과 Reitman-Frankel법으로 측정 또는 분석하였다. 충영과 유충과 토중의 유충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 총 질소함량의 변화, 탄수화물의 변화, 지질의 종류와 변화, 호흡능, phosphatase, GOT, ?의 활성도가 측정되었다. 유리 아미노산, 총 질소함량, 지질함량, 호흡능, acid phosphatase의 황성, GPT의 활성은 충영속의 유충에서 토중의 유충으로 진행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러나 trehalose의 함량과 alkaline phosphatase의 활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Binding of Lichen Phenolics to Purified Secreted Arginase from the Lichen Evernia prunastri

  • Legaz, Maria-Estrella;Vicente, Carlos;Pedrosa, Mercedes M.
    • BMB Reports
    • /
    • 제34권3호
    • /
    • pp.194-200
    • /
    • 2001
  • Secreted arginase from Evernia prunastri thallus has been purified 616-fold from the incubation medium. Purified arginase was resolved as only one peak in a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a pI value of 5.35. The protein contained high amounts of acidic amino acids, such as Asx and Glx, and a relatively high quantity of Ser and Gly. The molecular mass of native, purified arginase was estimated as about 26 kDa by SE-HPLC. Substrate saturated kinetic showed a typical Michaelis-Menten relationship with a K_m value of 3.3 mM L-arginine. Atranorin behaved as a mixed activator of the enzyme (apparent $K_m$ = 0.96 mM); whereas evernic and usnic acid were revealed as non competitive inhibitors (apparent $K_m$ values were 3.16 mM and 3.05 mM, respectively). Kinetics of atranorin binding indicated that saturation was reached from 0.18 ${\mu}mol$ of the total atranorin and the occurrence of multiple sites for the ligand. This agrees with a possible aggregation of several enzyme subunits during the interaction process. A value of binding sites of about 12 was obtained. The binding of evernic acid was saturated from 23 nmol of total phenol. The number of binding sites was about 5. The loss of the binding ability of evernic acid could be interpreted as a single negative cooperatively. Usnic acid behaves in a similar way to evernic acid, although the binding saturation occurs at $0.14\;{\mu}moles$ of the ligand. This binding appears to be unspecific, and has 28 usnic acid binding sites to the protein.

  • PDF

오존수 처리가 냉장 쇠고기의 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eatment with Ozonated Water on Shelf Life of Refrigerated Meat)

  • 김민주;신한승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17-623
    • /
    • 2011
  • 쇠고기를 오존수(0.2 ppm)로 0, 5, 10, 30, 60분간 침수 처리하여 $5^{\circ}C$에서 24일 동안 저장하면서 3일 간격으로 쇠고기의 품질 측정 지표라 할 수 있는 휘발성 염기태질소(volatile basic nitrogen, VBN), 지방산패도(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산가(acid value, AV), pH 를 측정하여 오존수 처리가 냉장 저장중의 쇠고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휘발성 염기태질소와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 오존수 비처리구는 9일째 부패로 인정되는 수치가 측정된 반면 오존수(0.2 ppm)로 60분간 처리한 쇠고기에서는 15일까지 안전한 수치가 측정되었다. 지방산패도와 산가 또한 모두 오존수 처리한 쇠고기가 비처리구 쇠고기보다 낮은 측정치를 나타내었다. 본 실험의 내용을 종합한 결과 저 농도 오존수가 냉장 쇠고기 화학적 특성에 영향을 끼치며 저장성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Ethanol, Acetic acid 및 Acetaldehyde 기질에 대한 Candida sp. JY-5 효모의 증식 특징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Candida sp. JY-Cells on Ethanol, Acetic acid and Acetaldehyde Substrate)

  • Yeehn Yeeh;Jun, Hong-Ki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9-243
    • /
    • 1985
  • Ethanol, Acetic acid 및 Acetaldehyde를 단일 탄소원으로 하여 Candida sP. JY-5 효모의 증식특성을 batch culture를 통해 검토하였다. Ethanol상에서 이 효모의 지수적 증식기 동안의 비증식도 ($\mu$) 값은 농도가 0.5g/l 이상일 경우 그 초기 농도에 따라 변화하나 비례하지는 않았다. 최대 비증식도는 0.291$hr^{-1}$이었고 최대 증식수율은 10g/l 농도에서 61.2 %이었다. Acetic acid상에서의 비증식도는 이 기질의 초기 농도에 관계없이 일정하였으며 그 값이 0.106$hr^{-1}$. 최대 증식수율은 10g/l 농도에서 46.8%로 나타났다. 한편 Acetaldehyde 기질에서 지수적 증식기 동안의 최대 비증식도는 0. 063$hr^{-1}$이었고 최대 증식수율은 0.2g/l 농도에서 44.9%였다.

  • PDF

Tryptophan과 Arginine의 대두유에 대한 항산화 및 상승효과 (Antioxidant Effect of Tryptophan and Arginine on Soybean oil Rancidity)

  • 조희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28
    • /
    • 1999
  • 식용대두유의 항온저장시 tryptophan과 arginine의 첨가농도에 따른 항산화 효과 및 기존 항산화제들의 항산화력에 대한 상승효과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지의 항온저장시 tryptophan과 arginine을 각 농도별로 첨가한 경우 모든 시료에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tryptophan 1%를 첨가하였을 때 가장 효과가 좋았고 그 정도는 TBHQ를 첨가한 경우와 비슷하였다. 또한 tryptophan과 arginine첨가시료는 ${\alpha}-tocopherol$보다 월등히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였다. tryptophan과 arginine을 ${\alpha}-tocopherol$, ascorbic acid, citric acid와 혼합하여 대두유에 첨가했을 때 ${\alpha}-tocopherol$과의 혼합물이 상승효과가 가장 높았다. 또한 citric acid나 ascorbic acid의 혼합물도 약하지만 상승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tryptophan과 arginine은 유지에 대하여 항온저장시 모두 항산화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1%농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른 항산화제와 병용했을 때 상승효과가 매우 우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