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id Leaching

검색결과 398건 처리시간 0.028초

폐기물 용출시험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eaching Test in Industrial Waste)

  • 어수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72-79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mprove many problems of leaching test of industrial waste sludge analysis. We analyze sludges by variation of leachant, pH and leaching time.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s leaching at pH 5.8 by our leaching test without control of pH during leaching, the leaching rates were very low as below 1%. 2. As leaching at pH 5.8 continuously by hydrochloric acid every 2 hour, the leaching rates were higher than before 1. 3. As leaching at pH 5.0 continuously by acetic acid every 2 hour, the leaching rates were higher than 1, 2. 4. The variations of leaching rate by leaching time were smaller increase after 10 hours than before. 5. It will be recommendable that the pH of leachant maintain constantly during leaching as level of acid rain, and the acetic acid is more effective than hydrochloric acid as leachant.

  • PDF

석유화학공정 폐촉매에 함유된 희유금속의 유기산 침출 (Leaching of Rare Metals from Spent Petroleum Catalysts by Organic Acid Solution)

  • 르민난;이만승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8권6호
    • /
    • pp.36-45
    • /
    • 2019
  • 석유화학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촉매는 바나듐, 몰리브덴, 니켈, 코발트와 같은 희유금속을 함유하고 있다. 유기산에 의한 상기 금속의 침출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유기산에 의한 금속의 침출률은 옥살산 > 타르타르산 > 구연산 > 말레산 > 오스코브르산 순서이었다. 상기 유기산은 바나듐과 몰리브덴의 침출에 선택성이 있으며 옥살산에 의한 침출률이 가장 높았다. 옥살산의 농도, 반응온도, 광액밀도, 교반속도를 변화시켜 옥살산에 의한 바나듐의 최적침출조건을 얻었다. 옥살산에 의한 바나듐의 침출에 대한 속도식을 조사한 결과 Avrami식과 잘 맞았으며 활성화에너지는 8.76 kJ/mol로 물질전달에 의해 침출반응이 율속되었다.

Pore structure evolution characteristics of sandstone uranium ore during acid leaching

  • Zeng, Sheng;Shen, Yuan;Sun, Bing;Zhang, Ni;Zhang, Shuwen;Feng, So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3권12호
    • /
    • pp.4033-4041
    • /
    • 2021
  • To better understand the permeability of uranium sandstone, improve the leaching rate of uranium, and explore the change law of pore structure characteristics and blocking mechanism during leaching, we systematically analyzed the microstructure of acid-leaching uranium sandstone. We investigated the variable rules of pore structure characteristics based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1) The uranium concentration change followed the exponential law during uranium deposits acid leaching. After 24 h, the uranium leaching rate reached 50%. The uranium leaching slowed gradually over the next 4 days. (2) Combined with the regularity of porosity variation, Stages I and II included chemical plugging controlled by surface reaction. Stage I was the major completion phase of uranium displacement with saturation precipitation of calcium sulfate. Stage II mainly precipitated iron (III) oxide-hydroxide and aluminum hydroxide. Stage III involved physical clogging controlled by diffusion. (3) In the three stages of leaching, the permeability of the leaching solution changed with the pore structure, which first decreased, then increased, and then decreased.

폐(廢)리튬이온전지(電池) 양극활물질(陽極活物質)에서 유기산(有機廳)을 이용(利用)한 코발트 및 리튬의 화학적(化學的) 침출(浸出) (Chemical Leaching of Cobalt and Lithium from the Cathode Active Materials of Spent Lithium-ion Batteries by Organic Acid)

  • 안재우;안효진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4호
    • /
    • pp.65-70
    • /
    • 2011
  • 페리튬이온전지 양극활물질인 $LiCoO_2$로부터 코발트와 리튬을 회수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환경친화적인 유기산을 이용하여 코발트와 리튬의 침출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실험 변수로는 유기산 종류 및 농도, 과산화수소 농도, 반응 시간 및 온도 그리고 고액농도비 등 코발트와 리튬의 침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에 대하여 고찰하여 최적 조건을 얻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사용한 유기산중에서 Latic acid가 코발트 및 리튬의 침출율이 99.9%로 가장 우수 하였다. 한편, 구연산을 이용하여 창출 실험한 결과에서 과산화수소의 농도, citric acid의 농도 및 반응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코발트 및 리튬의 침출율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액농도비가 증가함에 따라 침출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Separation and Recovery of Rare Earth Elements from Phosphor Sludge of Waste Fluorescent Lamp by Pneumatic Classification and Sulfuric Acidic Leaching

  • Takahashi, Touru;Takano, Aketomi;Saitoh, Takayuki;Nagano, Nobuhiro;Hirai, Shinji;Shimakage, Kazuyoshi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1년도 The 6th International Symposium of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 /
    • pp.421-426
    • /
    • 2001
  • The pneumatic classification and acidic leaching behaviors of phosphor sludge have been examined to establish the recycling system of rare earth components contained in waste fluorescent lamp. At first, separation characteristic of rare earth components and calcium phosphate in phosphor sludge was investigated by pneumatic classification. After pneumatic classification of phosphor sludge, rare earth components were leached in various acidic solutions and sodium hydroxide solution. For recovery of soluble component in leaching solution, rare earth components were separated as hydroxide and oxalate precipita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classification process, rare earth components in phosphor sludge were concentrated to 29.3% from 13.3%, and its yield was 32.9%. (2) In leaching process, sulfuric acid solution was more effective one as a leaching solvent of rare earth component than other solutions. Y and Eu components in phosphor sludge were dissolved in sulfuric acid solution of 1.5 k㏖/㎥, and other rare earth components were rarely dissolved in leaching solution. Leaching degrees of Y and Eu were respectively 92% and 98% in the following optimum leaching conditions; sulfuric acid concentration is 1.5 k㏖/㎥ , leaching temperature 343 K, leaching time 3.6 ks and pulp concentration 30 kg/㎥. (3) Y and Eu components of phosphor sludge contained in waste fluorescent lamp were, effectively recovered by three processes of pneumatic classification, sulfuric acid leaching and oxalate precipitation methods. Their recovery was finally about 65 %, and its purity was 98.2%.

  • PDF

황화광물로부터 유용금속 침출을 위한 Acid Bake-water Leaching System 내 황산염 용매제의 적용성 (Application of Sulfate Solvent in Acid Bake-water Leaching System for Valuable Metal Leaching from Sulfide Mineral)

  • 고진석;톡토흐마;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67-73
    • /
    • 2018
  • 본 연구는 acid bake-water leaching system (AWS)를 이용하여 Au 정광으로부터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유용금속 용출을 위하여 황산염 용매제의 적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AWS 실험은 전기로를 이용하여 다양한 baking 온도($100^{\circ}C{\sim}500^{\circ}C$)와 황산염 용매제($H_2SO_4$, $K_2SO_4$, $(NH_4)_2SO_4$, $MgSO_4$, $CaSO_4$)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Baking 온도가 $400^{\circ}C$까지 증가할수록 유용금속의 용출률은 증가하였다. 용출시간에 따른 AWS 실험결과, 최대 용출률 조건은 $(NH_4)_2SO_4$ 용매제이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NH_4)_2SO_4$ 용매제가 AWS를 이용한 유용금속 용출에 있어 효과적인 용매제로 사용가능함을 입증하였다.

유기산(有機酸)을 이용(利用)한 Aluminum Hydroxide의 미량원소(微量元素) 제거연구(除去硏究) (A Study on the Removal of Minor Elements from Aluminum Hydroxide with Organic Acids)

  • 이화영;조성백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7권5호
    • /
    • pp.44-5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산 99.7%순도의 수산화알루미늄을 대상으로 미량원소로 함유되어 있는 Na, Ca및 Fe의 제거실험을 수행하였다. 용출액으로는 유기산인 oxalic acid와 citric acid를 사용하였으며 수산화알루미늄은 초기 입도가 서로 다른 2종류의 시료를 사용하였다. 수산화알루미늄의 미립화를 위해 ball mill을 사용하여 미분쇄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용출조건에 따른 미량원소의 용출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0.1$\sim$1.0mole/l 농도범위에서 oxalic acid에 의한 원소 용출율이 citric acid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기산 농도가 증가할수록 또한 반응온도가 증가할수록 원소의 용출율은 증가하였다. 미분쇄 공정시 순수한 물에 의한 Na의 용출율은 약 45%에 달해 aluminum hydroxide에 함유된 Na성분의 상당 부분은 수용성 화합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정부산물의 산중화능력변화에 따른 용출특성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Leaching Characteristics of Specified By-Products due to Changes in Acid Neutralization Capacities)

  • 이현경;박주양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206-209
    • /
    • 2001
  • This study presents the leaching characterization of heavy metals according to changes of pH by ANC test on slag produced in electric arc furnace, bottom ash produced in coal-fired plants and their recycling products. Availability test was performed to assess the fraction of the total concentration that under worst environmental conditions could become available for leaching. TCLP, KLT(Korea Leaching Test) and KLTS(Korea Leaching Test of Soil contamination) were carried out to compare the leaching capacity and to estimate the adequacy of regulatory leaching test. Results from regulatory leaching tests could be misleading because the variable ANC of wastes can lead to very different final leachate pHs. The final pH of the regulatory test is not the ambient pH in the disposal environment, the actual solubilities of contaminants in the field may be entirely different from those predicted by these regulatory tests. Leaching behaviour of by-products was changed by recycling processes, therefore acid neutralization capacity and availability of new products, not leaching concentration by one batch regulatory test, are necessary to determine the method of recycling.

  • PDF

마이크로웨이브-질산용출과 납-시금법을 이용한 금산정광으로부터 금 회수 (Gold Recovery from Geumsan Concentrate Using Microwave-nitric Acid Leaching and Lead-fire Assay)

  • 이종주;온현성;박천영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3-126
    • /
    • 2019
  • 본 연구 목적은 비-가시성 금 형태로 산출되는 황화광물 정광을 마이크로웨이브-질산용출하여 황화광물을 효과적으로 용해시키고자 하였고, 고체-잔류물을 납-시금법을 적용하여 금을 회수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질산농도, 용출시간 그리고 시료 첨가량 효과에 대하여 마이크로웨이브-용출실험을 각각 수행하였다. 고체-잔류물의 무게 감소율은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용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지만 시료 첨가량이 증가하면 무게 감소율이 감소하였다. 마이크로웨이브-질산용출을 수행한 결과 질산농도 6 M에서, 마이크로웨이브 용출시간 18분에서 황철석이 완전히 사라진 것을 XRD 분석에서 확인하였다. 고체-잔류물에 대하여 납-시금법을 수행한 결과, 질산농도가 증가할수록 그리고 용출시간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증가된 금 입자들을 회수하였다. 반면에 시료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금 함량이 감소하는 입자들을 회수하였다.

황산용액과 수산화나트륨용액의 침출에 의한 국내산 흑연 정광으로부터 불순물 제거 (The Removal of Impurities from Domestic Graphite Concentrate by H2SO4 Solution and NaOH Solution Leaching)

  • 이준섭;유경근;박현규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32권3호
    • /
    • pp.38-44
    • /
    • 2023
  • 국내산 흑연정광으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황산용액 및 수산화나트륨용액을 이용하여 침출실험을 진행하였다. 황산용액과 수산화나트륨용액을 각각 사용하여 침출실험을 진행한 결과, 수산화나트륨과 황산의 농도가 2 mol/L 이상에서 제거효과의 차이가 미미하고, 황산용액침출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정탄소함량이 증가하는 것에 비해 수산화나트륨용액에서는 150℃ 이상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수산화나트륨용액침출은 2 mol/L NaOH, 200℃, 1시간의 조건으로 선정하고, 황산용액침출은 2 mol/L H2SO4, 100℃, 1 시간의 조건으로 선정하여 5회까지 반복하여 침출을 진행하였다. 황산용액침출 후 수산화나트륨용액침출을 5회 반복했을 때 고정탄소는 99.95 %까지 증가하였고, 회분은 0.048 %까지 감소하였다. 수산화나트륨용액침출 후 황산용액침출을 5회 반복한 결과, 고정탄소는 99.98 %, 회분은 0.018까지 감소하여 수산화나트륨용액 침출 후 황산용액침출을 수행한 결과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