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tobacter sp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Microbial Cellulose 생산세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ellulose-Producing Bacteria)

  • 손홍주;이오미;김용균;이상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34-138
    • /
    • 2000
  • 자연계에 다양하게 존재하는 세균중 셀룰로오스 생산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함으로서 새로운 생물자원을 확복하고자 하였다 사과, 포도, 식초 등의 시료로부터 총 57주의 셀룰로오스 생산균주를 분리하였다. 그중 사과에서 분리된 A9 균주를 공시균으로 선정하여 형태학적 배양적 및 생리생화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어 편의상 Acetobacter sp. A9로 명명하였다 본 균주는 ethanol을 acetic acid로 산화시킨 후 다시 $CO_2$$H_2O$. 로 재산화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glycerol로부터 dihydroxyacetone을 생성할 수 있었으나 glucose 및 fructose로부터 ${\gamma}$-pyrone은 생성할 수 없었다. 본균주를 HS액체배지에서 정치배양했을 때 두꺼운 셀룰로오스 pellicle을 합성하였으며 교반배양에서 mass 형태의 셀룰로우스를 합성할 수 있었다.

  • PDF

Transposon Tn5 Mutagenesis in Acetobacter sp. HA

  • Chun, Hong-Sung;Lee, Byung-Kwon;Park, Jong-Phil;Lee, Sook-Young;Cheong, Hyeon-Sook;Lee, Jung-Sup;Yoo, Jin-Cheol;Kim, Hong-Sub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4권3호
    • /
    • pp.165-170
    • /
    • 1994
  • An efficient and convenient method of introducing transposable elements into acetic acid bacteria was developed by the method of conjugal transfer. The ampicillin-resistant strain, Acetobacter sp. HA, was selected to be conjugated with two E. coli strains, WA803 containing pGS9 and AC8001 harboring pJB4JI. The Tn5 containing suicide vector pGS9 or pJB4JI, was transferred from E. coli to Acetobacter sp. HA and kanamycin-ampicillin-resistant transconjugants obtained at high frequencies. The conjugal frequencies of pGS9 and pJB4JI were 6.20$\times$$l0^{-1} and 2.79$\times$l0{-1}$ per recipient, respectively. The transfer method was applied on four different strains of Acetobacter. The conjugal transfer frequencies ranged from 2.00$\times$$l0^{-2} to 4.45$\times$l0^{-8}$ per recipient in the three strains. Some transconjugants tested were found to contain Tn5 DNA in their genomes and this was confirmed by Southem blot analysis. This is the first study which shows that Tn5 mutagenesis can be applied to successfully isolate mutants of Acetobacter genus.

  • PDF

Tea fungus 발효음료 제조시 발효계의 미생물상 (Microflora Occurring in the Fermentation by Tea Fungus)

  • 최미애;최경호;김정옥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6-65
    • /
    • 1996
  • 10%의 sucrose를 첨가한 홍차추출물에 tea fungus를 접종하여 (30^{\circ.)$에서 정치배양하여 발효하였다. 14일 동안의 발효에 의해 배양액의 전표면에 7~8mm의 두꺼운 피막이 생겼으며, 배양액의 pH가 2.5 부근으로 저하되었다. 발효 과정 중 아래쪽의 배양액에서는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 and Eeniella sp.)와 여러종류의 세균(Bacillus subtilis, Kurthia zopfli, Gluconobacter oxydans와 Deinococcus sp.)이 분리되었다. 반면에 피막 부위에서는 Acetobacter aceti의 단일균주가 분리되었으며 이 세균은 통상의 Acetobacter와는 달리 점질상의 덩어리로 성장하였다. 발효음료는 달고 새콤한 맛과 약간의 달콤한 과일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ea fungus에 의한 홍차발효는 다양한 미생물이 공동으로 작용하여 진행되는 symbiotic acetate발효로서, 발효음료는 생물학적으로 안전할 뿐만아니라 적당한 발효조건에 의해 좋은 향미를 갖춘 유망한 음료로 판단되었다.

  • PDF

정치배양을 이용하여 Acetobacter sp. V6의 셀룰로오스 생산 최적화 및 구조 분석 (Production and Structural Analysis of Cellulose by Acetobacter sp. V6 Using Static Culture)

  • 김정도;정호일;정진하;박기현;전영동;황대연;이충열;손홍주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75-280
    • /
    • 2009
  • 한국 전통발효식초로부터 분리된 Acetobacter sp. V6에 의한 bacterial cellulose (BC) 생산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을 정치배양을 이용하여 조사한 후, 생성된 BC의 구조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탄소원으로 glucose 3%, 질소원으로 soytone 3%가 선정되었다. 또한 인산염은 $K_2HPO_4$ 0.8%였으며, 추가로 첨가한 $NaH_2PO_4$$KH_2PO_4$는 BC 생산 증가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보조탄소원으로 ethanol 0.4%에서 가장 높은 BC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최적 배지조성하에서 배양 8일만에 최대 44.7 g/$m^2$의 BC가 생산되었으며, 배양 8일경, BC pellicle의 두께는 약 1 cm였다. BC의 구조는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및 X-ray diffractometer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최적배지에서 생성된 BC는 전형적인 cellulose type I임을 알 수 있었으며, 식물성 셀룰로오스와 성분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독특한 미세망상구조로 이루어져 있었고, 높은 결정성을 나타내어 식물유래 셀룰로오스와 다른 독특한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cetobater sp.KM Alcohol Dehydrogenase의 분리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cohol Dehydrogenase from Acetobacter sp. KM)

  • 전홍성;차영주
    • KSBB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30-37
    • /
    • 1995
  • Membrane-bound alcohol dehydrogenase(ADH) was purified to homogeneity from the acetic acid producing bacteria, Acetobacter sp. KM. The enzyme was solubilized and extracted with Triton X-100 and purified using the Mono-Q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Superose 12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The enzyme was purified to 12-fold with a yield of 30%.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urified enzyme was to be 335 KDa. SDS-PAGE of the enzyme showed two subunits with molecular weights of 79 KDa and 49 KDa. It indicated that the enzyme consisted of three subunits of the 79 KDa and two subunits of the 49 KDa. The purified .ADH preferentially oxidized straight chain aliphatic alcohol except methanol.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glutaraldehyde were also oxidized. The apparent Km for ethanol was 1.04 mM and the optimum pH and temperature were 5.0∼6.0 and 32$^{\circ}C$, respectively. V2O5 and divalent cation such as ZnCl2 and NiCl2 inhibited enzymatic activity.

  • PDF

김치에서 분리한 Lactococcus sp. J-105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coccus sp. J-105 Isolated from Kimchi)

  • 곽규숙;구재관;배경미;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1-120
    • /
    • 1999
  • 우리 고유의 전통 발효 음식인 김치로부터 bacteriocin 생성능이 우수한 Lactococcus sp. J-105균주를 분리하였다. Lactococcus sp. J-105의 생육 및 bacteriocin 생성에 대한 최적 조건을 검토한 결과 bacteriocin 생성은 대수 증식기 말기에서 정지기 초기에 가장 많이 생성되었다. Lactococcus sp. J-105의 생육 및 bacteriocin 생성 최적 탄소원 및 질소원은 각각 maltose와 polypeptone이었다. 균의 생육 및 bacteriocin 생성 최적 온도는 $25^{\circ}C$였으며 생육 최적 pH는 pH 8 부근이었다. bacteriocin 생성 또한 pH 8에서 최고를 나타내었다. 한편 NaCl은 오히려 균체 증식과 bac-tericoin 생성을 저해하였다. Lactococcus sp. J-105가 생산하는 bacteriocin의 pH 및 열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pH 2~4, $121^{\circ}C$ 15분에서 각각 안정하였다. 또한 J-105의 항균 spectrum을 검토한 결과 Lactobacillus sp. Leuconostoc s 그리고 Bacillus subtilis 등의 Gram 양성균에 대해서 항균활성 나타내었으며 Gram 음성균인 Acetobacter acid에 대해서도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E. coli에 대해서는 항균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본 bacteriocin은 trypsin, protease와 같은 peptide 분해효소에 대해서는 안정한 반면, pepsin에 의해서는 활성이 상실되는 특이한 성질을 나타내었다

  • PDF

Evolutionary operation-factorial design technique을 이용한 매실식초 발효 조건의 최적화 (Optimixation of Maesil Vinegar Fermentation conditions using Evolutionary Operation-Factorial Design Technique)

  • 최웅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84-12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VOP-factorial system을 활용하여 매실식초의 최적 발효 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3-7% 사이의 에탄올 농도(r=-0.5166)와 glucose 농도(r=-0.5061)는 10% 유의수준에서 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4-$33^{\circ}C$의 범위 내에서 발효온도는 매실식초의 산도 증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0.1082). EVOP- factorial system을 활용하여 얻은 매실식초의 최적 발효조건은 발효 온도: $30^{\circ}C$, 에탄올 농도: 4%, 포도당 농도: 0.2%로 결정되었으며, 최적 조건에서의 산도값은 6.365%로 set 1의 중심점에서 나타난 산도값 5.4%에 비해 1.0%정도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는 EVOP-factorial design을 이용하여 매실식초의 최적 발효 조건을 확인한 최초의 시도이다.

김치에서 분리한 Streptococcus sp. J-C1의 bacteriocin 생산 (Bacteriocin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p. J-C1 Isolated from Kimchi)

  • 조영배;조영임;백형석;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70-277
    • /
    • 1996
  • Streptococcus sp J-C1 producing bacteriocin was isolated from Kimchi. The optimum conditions for bacteriocin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p. J-C1 were evaluated. For the maximum yield of bacteriocin production by Streptococcus sp. J-C1, the cell should be harvested at the late stationary phase and the temperature, pH and NaCl concentration should be 25$\circ$C, pH 8 and without the addition of NaCl, respectively. Sucrose should be used as a carbon source and organic nitrogen such as peptone should be used as a nitorgen source for the best yield. The production of bacteriocin is related to the cell growth of Streptococcus sp. J-C1. The bacteriocin from Streptococcus sp. J-C1 was active for gram positive microorganisms such as Lactobacillus sp., Leuconoctoc sp., Lactococcus sp., Streptococcu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 amd Bacillus subtilis and also active for gram negetive bacteria such as Acetobacter aceti.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cteriocin was completely disappeared by protease treatment.

  • PDF

흑찰미 식초 제조를 위한 초산균주 동정 및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ies and identification of acetic acid bacteria for black waxy rice vinegar)

  • 이경은;김소망;허창기;조인경;김용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43-451
    • /
    • 2015
  • 흑찰미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해 초산생성능이 우수한 초산균을 분리 및 동정하여 균주별로 제조한 식초의 품질특성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산 생성력이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기 위해 초산균 분리용 평판배지에 도말하여 8종의 균주를 순수 분리하였으며, 이들 균주와 시판균주 2종의 초산 생성능을 확인한 결과 가장 높게 나타난 시판균주 2종, 분리균주 F-1 및 H-4를 식초 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분리균주의 종을 확인하기 위해 16S rR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분리균주 모두Acetobacter 속으로 동정되었으며, F-1 및 H-1 균주를 Acetobacter sp. F-1, Acetobacter sp. H-1으로 명명하였다. 초산균 균주를 달리하여 제조한 흑찰미식초의 산도 변화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 16일까지 꾸준히 높아지다가 일정한 산도를 유지하였으며 시료구간의 최종 산도는 FV-1 식초의 총산 함량이 7.4%로 가장 높았다. 색도의 경우 L값 75.01~80.11, a값 3.34~3.92, b값 12.84~18.09 범위로 나타났다. 균주별 흑찰미식초의 주요 유기산은 acetic acid으로 나타났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HV-4, FV-1, CV-2 및 CV-1 식초 순으로 나타났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분리균주 F-1 식초가 351.43 mg%으로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균주 C-2 식초가 247.74 m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균주에 따른 흑찰미식초의 관능평가 결과는 분리균주 H-4로 제조한 식초는 전반적으로 낮은 기호도를 보였으며, 분리균주 F-1로 제조한 식초가 향, 색 및 종합기호도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가장 우수한 기호도를 나타낸 F-1 균주가 흑찰미식초 제조에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염소계 난분해성 산업폐수의 처리를 위한 미생물제제의 개발 (Development of Microbial Augmentation for the Treatment of Recalcitrant Industrial Wastewater Containing Chlorinated Organic Compounds)

  • 이현돈;임성원;서현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887-894
    • /
    • 2014
  • 유기염소계 난분해성 산업폐수처리에 효과적인 미생물제제 개발을 위하여 PCP (pentachlorophenol)와 TCE (trichloroethylene) 등과 같은 유기계 염소화합물이 오염되어있는 토양 및 산업폐수로부터 PCP 분해활성이 높은 GP5, GP19와 TCE 분해활성이 높은 GA6, GA15를 분리하였다. 이들 분리균주 GP5, GP19, GA6, GA15등은 Acetobactor sp., Pseudomonas sp., Arthrobacer sp., Xanthomonas sp.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최종적으로 Acetobacter sp. GP5, Pseudomonas sp. GP19, Arthrobacer sp. GA6, Xanthomoas sp. GA15로 명명하였다. 유기염소계 산업폐수의 처리를 위한 복합미생물제제 OC17은 PCP와 TCE를 분해하는 4개의 분리 분리균주와 방향족화합물 분해균주인 Acinetobacter sp. KN11, Neisseria sp. GN13의 배양액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복합미생물제제 OC17은 $2.8{\times}10^9CFU/g$의 균체수를 갖고 있으며, 밀도는 $0.299g/cm^3$, 수분함량은 26.8%를 나타내었다. 복합미생물 제제 OC17은 PCP 500 mg/l가 포함되어있는 인공폐수를 이용한 실험에서 배양 65시간에 87%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고, TCE (300 uM)의 분해효율은 배양 50시간에 90%의 분해효율을 나타내었다. 복합미생물제제 OC17을 이용한 유기 염소계 산업폐수의 처리효율 시험을 위한 연속배양 실험 에서 10일간 처리 하였을 때 91%의 COD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