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er tegmentosum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6초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당골계곡의 산림군락구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he Danggol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05
  • 태백산지 역 당골계곡의 산림군집구조 파악을 위해 45개의 방형구$(10m\times10m)$를 설치하여 산림식생생육현황을 조사하였다. 이 지역은 3개의 군집(낙엽송 우점군집, 물푸레나무-까치박달 우점군집, 거제수나무-신갈나무 우점군집) 으로 분류되었으며, 수종간의 상관관계는 회나무와 철쭉: 병꽃나무와 철쭉, 회나무; 당단풍과 산겨릅나무; 신갈나무와 피나무 등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당단풍과 피나무,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부게꽃나무; 잣나무와 회나무; 쇠물푸레나무와 함박꽃나무, 거제수, 고로쇠나무 등의 수종 간에는 녁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 종 다양도는 $0.7932\~1.2077$로 나타났다.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에 대한 기후 및 환경변수 영향 (Clima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Distribution of Narrow Range Plants)

  • 권혁수;류지은;서창완;김지연;도재화;서민환;박종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17-27
    • /
    • 2012
  • Climate is generally accepted as one of the major determinants of plants distribution. Plants are sensitive to bioclimates, and local variations of climate determine habitats of plan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istribution of narrow-range plants in South Korea using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data. We developed species distribution models for 6 plant species using climate, topographic and soil factors. All 6 plants were most sensitive to climatic factors but less other factors at national scale. Meliosma myriantha, Stewartia koreana and Eurya japonica, distributed at southern and coast region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Meliosma myriantha was mostly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Stewartia koreana was effected by annual precipitation and elevation, and Eurya japonica was affected by temperature seasonality and precipitation of driest quarter. On the other hand, Spiraea salicifolia,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distributed at central and northern inland in Korea, were most sensitive to temperature and elevation. Spiraea salicifolia was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coldest quarter and annual mean temperature, Rhododendron micranthum and Acer tegmentosum were affected by mean temperature of warmest quarter and elevation. We can apply this result to future plant habitat distribution under climate change.

Identification of Three Competitive Inhibitors for Membrane­Associated, $Mg^{2+}-Dependent$ and Neutral 60 kDa Sphingomyelinase Activity

  • Kim Seok Kyun;Jung Sang Mi;Ahn Kyong Hoon;Jeon Hyung Jun;Lee Dong Hun;Jung Kwang Mook;Jung Sung Yun;Kim Dae Ky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8권8호
    • /
    • pp.923-929
    • /
    • 2005
  • Methanol extracts of domestic plants of Korea were evaluated as a potential inhibitor of neutral pH optimum and membrane-associated 60 kDa sphingomyelinase (N-SMase) activity. In this study, we partially purified N-SMase from bovine brain membranes using ammonium sulfate. It was purified approximately 163-fold by the sequential use of DE52, Butyl-Toyopearl, DEAE-Cellulose, and Phenyl-5PW column chromatographies. The purified N-SMase activity was assayed in the presence of the plant extracts of three hundreds species. Based on the in vitro assay, three plant extract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N-SMase activity in a time- and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o further examine the inhibitory pattern, a Dixon plot was constructed for each of the plant extracts. The extracts of Abies nephrolepis, Acer tegmentosum, and Ginkgo biloba revealed a competitive inhibition with the inhibition constant (Ki) of $11.9 {\mu}g/mL,\;9.4{\mu}g/mL,\;and\;12.9{\mu}g/mL$, respectively. These extracts also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production of ceramide induced by serum deprivation in human neuroblastoma cell line SH-SY5Y.

Salidroside의 RAW 264.7 세포에서 $NF{-\kappa}B$ 불활성화를 통한 LPS에 (Inhibition of LPS induced iNOS, COX-2 and cytokines expression by salidroside through the $NF{-\kappa}B$ inactivation in RAW 264.7 cells)

  • 원소정;박희준;이경태
    • 생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0-117
    • /
    • 200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salidroside (SAL) isolated from the MeOH extract of Acer tegmentosum Maxim heartwood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SAL pretreatment significantly inhibited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_2$ ($PGE_2$) productions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RAW 264.7 cells. Western blot and RT-PCR analyses revealed that SAL inhibited the LPS-induced expressions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t the protein and mRNA level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addition, SAL reduced the release and the mRNA expression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6 (IL-6). Furthermore, nuclear factorkappa B ($NF{-\kappa}B$) luciferase reporter assay was performed to know the involvement of SAL i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we confirmed that LPS-induced transcription activity of $NF{-\kappa}B$ was inhibited by SAL. Taken together, our data indicate that anti-inflammatory property of salidroside might be the result from the inhibition of iNOS, COX-2, $TNF-{\alpha}$ and IL-6 expressions via the down-regulation of $NF{-\kappa}B$ activity.

산겨릅나무 줄기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유효성분 분리 (Biological Activities and Bioactive Compounds in the Extract of Acer tegmentosum Maxim. Stem)

  • 홍보경;엄석현;이찬옥;이지원;정종현;김재광;조동하;유창연;권용수;김명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6-30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소종과 외상출혈 치료에 사용되며, 주로 간암, 간경화 등의 간 질환 치료제로 사용되어 온 산겨릅나무 추출물에서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는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 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보체 활성을 실험하였으며, 또한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산겨릅나무 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는 ehtyl acetate 분획 ($RC_{50}= 3.15\;{\mu}g/m{\ell}$), butanol 분획 ($RC_{50}= 5.17\;{\mu}g/m{\ell}$)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또한 분리된 2개의 화합물도 대조군인 ${\alpha}-tocopherol$ 이나 BHA보다 유사하거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지질과산화 활성 실험은 15일 째에 물층을 제외한 추출물, 분획물 및 화합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특히 화합물 2 (85%)는 항산화 물질로 알려진 catechin (85%)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아에 대한 향균실험은 Staphylococus aureus 에서만 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뿐 다른 피검균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피검균에 대하여 강한 활성을 보인 ethyl acetate 분획에서 분리된 화합물 1, 2는 모든 피검균에 대해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fungal strain인 Candida albicands에 대해 각각 $250\;{\mu}g/m{\ell}$. $500\;{\mu}g/m{\ell}$의 생육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보체계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 층 24%를 제외한 다른 분획물은 10% 이하의 낮은 억제효과를 보이거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산겨릅나무 ethyl acetate 분획을 silica gel이 충전된 grass open column에 넣은 후, toluene, acetone, methanol의 혼합용매로 순차용출 (stepwise)시킨 후, ODS와 silica gel을 이용하여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함으로서 2종의 단일 물질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lH-$$^{13}C-NMR$, IR, UV, EI/FAB-Mass spectrum을 이용하여 기기분석한 결과 compound 1은 catechin으로, compound 2는 ${\rho}-Hydroxyphenethyl$ alcohol 1-O-{\beta}-_D-(6'-O-galloyl)-glucopyranoside$로 동정되었으며, 특히 compound 2의 경우 산겨릅나무에서 처음 분리되었다. 위 결과 산겨릅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산겨릅나무 추출물을 이용한다면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으리라 사례된다.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hilseon Valley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 추갑철;안현철;조현서;김임규;박은희;박삼봉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29
    • /
    • 2009
  •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천왕봉-선녀탕 구간 계곡부에 방형구($400m^2$) 23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23개 조사구는 구상나무군집, 들메나무-당단풍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천왕봉-마폭포구간에는 대부분이 구상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잣나무, 당단풍, 마가목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가문비나무와 마가목, 주목, 쇠물푸레, 음나무; 거제수나무와 물갬나무, 층층나무; 구상나무와 잣나무; 국수나무와 사스래나무, 산겨릅나무, 산벚나무; 당단풍과 사스래나무; 들메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시닥나무; 마가목과 음나무; 물갬나무와 층층나무; 비목나무와 조록싸리,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생강나무와 전나무; 서어나무와 조록싸리; 쇠물푸레와 시닥나무, 잣나무, 주목; 시닥나무와 주목; 신갈나무와 철쭉; 졸참나무와 쪽동백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구상나무와 바위말발도리; 생강나무와 잣나무의 사이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 지수(H')는 $2.7478{\sim}2.9573$ 범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오대산(五臺山)의 산림식생(山林植生)과 입지특성(立地特性)에 관한 연구(硏究)(II) - 동대산(東臺山) 식물군락(植物群落)의 입지특성(立地特性) -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II) - Site of Plant community in Tongdaesan -)

  • 이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5호
    • /
    • pp.552-563
    • /
    • 2000
  • 본 연구는 오대산국립공원내 동대산의 산림식생구조와 입지환경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산림관리방안 등을 검토하고자 조사되었다. 총 242개의 식생자료를 기초로 하여 분류된 군락은 각기 다른 입지적 특성을 나타냈다. 주로 남사면의 건조한 지역에 분포에 분포하는 신갈나무-당단풍군락군은 털진달래군락, 조록싸리군락, 산거울-다릅나무군락, 신갈나무-당단풍전형군락, 참나물군락 등 5개의 군락으로 구분되었다. 그 중 털진달래군락은 건조한 소능선부위나 철면(凸面)지역에 분포하였고, 조사자 동쪽지역의 해발고가 비교적 낮은 남사면에는 조록싸리군락이 분포하였다. 산거울-다릅나무군락은 해발고가 비교적 높은 남사면에 나타났으며, 신갈나무-당단풍전형군락은 남사면의 중부에서 하부까지, 북사면의 상부에서 중부까지 분포하였다. 토양수분이 적윤한 지역에는 참나물군락이 분포하였다. 광량이 부족하고 토양이 습한 북사면에는 관중-층층나무군락군이 분포하였다. 이 군락집단의 시닥나무-산겨릅나무군락은 북사면의 적윤지에서부터 습한 지역에까지 출현하였으며, 사면의 하부나 계곡 주변의 습하고 전석(轉石)이 많은 지역에는 물참대-난티나무군락이 출현하여 각 군락마다 입지특성을 달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털진달래군락, 산거울-다릅나무군락, 광릉갈퀴아군락, 톱바위취아군락 등은 다수의 희귀종이 분포하고 지형적 특수성을 감안하여, 실질적인 산림사업을 금하고 절대보전지구로 설정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단풍나무류 8종의 초식에 대한 방어전략 탐색 (A Study of the Defense Mechanism against Herbivores of 8 Species of the Genus Acer)

  • 김갑태;류동표;김회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11-417
    • /
    • 2009
  • 목본식물의 초식에 대한 방어 전략을 알아보고자 8종의 단풍나무속 수종의 잎에 대하여 형태적 특성, domatia 구조와 수, 초식곤충과 응애 서식 여부 등을 관찰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수목들은 강원도 치악산, 청태산, 방태산, 태백산과 윈주시에 생육 중인 8수종에서 엽시료를 채취하여 2009년 4월부터 7월까지 관찰,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단풍, 고로쇠 및 복장나무의 domatia는 tuft type, 단풍나무, 신나무, 복자기와 시닥나무는 pocket+tuft type, 산겨릅나무는 pocket type 임이 밝혀졌다. 엽당 domatia 평균 갯수는 산겨릅나무에서 20.2개/엽으로 가장 많았고, 신나무에서 4.2개/엽으로 가장 적었다. 엽표면의 털은 단풍나무, 당단풍, 신나무 및 복장나무는 응모(villous), 고로쇠나무와 복자기는 연모(pilose), 시닥나무는 강모(strigose)였다. 일반적으로 털의 밀도는 잎 뒷면이 앞면보다 높았다. 단풍나무, 당단풍, 산겨릅나무 및 시닥나무에서만 엽맥의 말단부에 소량의 단물이 분비됨을 확인하였다. 엽당 응애의 개체수는 수종간 고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으며, 엽당 응애 개체수 평균은 시닥나무가 9.2마리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복장나무, 당단풍, 복자기가 순이었다. 단풍나무류 잎을 가해하는 미소절지동물류는 진사진딧물, 단풍알락진딧물, 나무이, 혹응애, 매미충 등이었으며, 총개체수는 혹응애, 진사진딧물, 나무이, 단풍알락진딧물, 매미충 순이었다. 이들의 천적으로는 육식성 응애, 말벌, 그 약충, 광대노린재 약충, 등이 확인되었으며, 고동털개미와 곰개미는 진딧물과 상리공생을 하여 단풍나무류의 초식피해를 가중시킴을 확인하였다. 육식성 응애가 진사진딧물을 공격하여 체액을 빨아먹는 것을 확인하였으면, 이는 domatia가 중재하는 응애와 식물의 상리공생의 증거라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온대 활엽수종에서 이러한 응애와의 상리공생이 보편화되어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