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 locations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2초

원자력시설물 부지의 장기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질구조 평가 (Evaluation on Geological Structures to Secure Long-term Safety of Nuclear Facility Sites)

  • 진광민;김영석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2호
    • /
    • pp.149-166
    • /
    • 2018
  •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 지진의 발생과 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동일본 대지진(M=9.0; 2011. 3. 11.)은 이로 인한 쓰나미의 발생으로 상당한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가져왔고,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유발하였다. 대부분의 지진은 기존 활성단층들의 재활성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활성단층에 의한 지진의 재발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고지진학적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유라시아판 내부에 위치하여 이웃한 일본이나 대만과 같은 나라들에 비해 지진으로부터 안전지대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경주지진(M=5.8; 2016. 9. 12.)과 포항지진(M=5.4; 2017, 11. 15.)으로 인해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재해에 대한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이 지역은 많은 원자력관련 시설물들과 대규모 산업단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들로 지진재해로부터 극도의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한반도 남동부의 경우 대규모 지진들이 제4기뿐만 아니라 역사시대에도 자주 발생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지진에 의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활성단층을 추적하고, 활성단층을 따른 지표파열의 특성을 파악하여 해당지역에서의 지진과 단층의 거동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극도의 안전성 확보가 필요한 원자력관련시설물들의 부지 선정을 위한 활성단층, 단층손상대, 지진과 활성단층의 상관성, 그리고 이격거리 등의 구조지질학적 평가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통해 안전한 원자력관련 시설물의 부지선정뿐만 아니라 지진재해와 방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사망 원인별 유형 분석을 통한 사망자의 위생 관리에 대한 연구 (Study on Sanitary Management of Deceased Bodies through Categorical Analysis of Cause of Death)

  • 최정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65-275
    • /
    • 2017
  • 본 연구는 장례식장에서 사망자를 위생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망의 장소, 종류 및 원인 등 사망자들의 유형에 따라 체액 분출 등 사후 어떤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망자 8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평균 연령은 68.6세이며, 주요 사망의 원인은 83.0%가 병사이며, 사망 장소는 79.5%가 의료기관에서 발생되었다. 사망자에서 발생되는 체액 분출율은 전체 사망자의 46.2%에서 조사되었고, 사망의 종류에 따라서는 사고사가 78.8%로 가장 높고, 노화사는 10.8%로 가장 낮았다. 사망의 장소에 따른 의료기관 사망자는 46.3%, 주택 사망자는 38.6%인데 반해 기타 장소는 77.4%로 높았다. 사망의 원인으로 직접, 중간 및 선행 사인이 기록된 사망자 수는 크게 다르지만 체액 분출 비율은 비슷하였다. 장기 및 계통별 사망자 수는 직접, 중간 및 선행 사인 모두 호흡기질환과 심장질환 사망자 수가 가장 많고, 체액 분출은 직접 사인은 간질환 사망자가 가장 높고 소화기 및 혈액순환계 순이며, 중간 및 선행 사인에서는 기타 및 사고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사망의 원인에 기록된 질병을 기준으로 한 사망자 수는 직접 사인은 심폐부전이 96명으로 가장 많고 폐렴 및 패혈증 순이며, 체액 분출은 사망자 수가 15명 이상 기준으로 담관암(73.3%)이 가장 높고, 췌장암, 중증뇌손상 및 간암 순으로 많았다. 따라서 사망자의 위생적 관리를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질병명과 발병기간을 명시하도록 하여야 하고, 사망자 이송과정에서는 관련 정보가 문서화 되고 체계적인 전달 시스템이 될 수 있도록 제도화 하여야 할 것이다.

무인단속시스템 설치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for the Effects of the Automated Speed Enforcement System Application)

  • 주두환;현철승;이호원;한원섭;이철기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55-63
    • /
    • 2009
  • 1997년 우리나라에서 무인과속단속시스템 32대가 처음 도입된 이래 2008년 1월 현재 약 3,700기가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으며, 이는 운전자의 운전행태 및 교통특성 변화를 유도함으로서 교통안전을 개선시켜 결과적으로 교통사고건수 및 사망자 수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재의 설치효과 평가방법은 설치전후 각 1년간 단순 비교하는 방법으로, 설치 바로 전년도의 교통사고건수가 다른 요소에 의해 최근 몇 년간 발생건수에 의해 급격히 증가(감소)하였을 경우 시스템 설치 후 감소(증가)되었어도 명확히 시스템 설치 효과라고 단정 짓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스템 설치전후 4단계 분석기법을 근간으로 하여 과속단속시스템의 설치효과에 대하여 새롭게 평가하였다. 그 결과 2006년도에 설치한 205대의 과속단속시스템 설치효과는 기존의 분석방법에서 제시한 18%의 교통사고건수 감소효과가 아니라 시스템 설치효과에 의해 $27.4{\pm}3%$, 도로개선 등 기타 요인으로 인한 오차범위가 ${\pm}12.89%$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카스토퍼 설치위치를 고려한 주차단위구획 산정 및 개선방안 제시 (Suggestion of Improving and Estimating Parking Space Section Considering Proper Position of Car-Stopper)

  • 권성대;박제진;이준영;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1095-1104
    • /
    • 2013
  • 2011년 6월 기준으로 국내 자동차등록대수는 1,826만 대에 육박할 정도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다.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대형 승용차 및 RV차량이 현재 설치된 주차장에 주차할 경우 차량훼손, 민원 발생 등 주차장 이용자의 통행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주자장에 무분별하게 설치된 카스토퍼는 주차사고 유발 및 주차문제를 더욱 더 증가시킴과 동시에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실에 적합한 주차단위구획 및 카스토퍼 설치위치 규정의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국내 외 차종별 구성비, 차종별 차폭 및 길이에 대한 현장조사와 카스토퍼가 설치된 주차단위구획 및 차종별 구성비 변화 사례 등을 선행 검토하였다. 또한, 차종별 제원 및 카스토퍼 설치위치를 고려하여 주차단위구획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대형 승용차의 여유폭이 기존보다 18 ~ 21mm 정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차량의 앞내민길이가 주차단위구획을 벗어나지 않으므로 주차장 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최종적으로 운전자 측면에서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주차계획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개선된 주차계획을 적용할 경우 주차장의 구조 및 설치기준 정립은 물론 더 나아가 주차장 관련사업의 비용/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ur Experience with Surgically Treated Epidural Hematomas in Children

  • Jung, Sang-Won;Kim, Do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51권4호
    • /
    • pp.215-218
    • /
    • 2012
  • Objective: Traumatic epidural hematomas (EDHs) in children are a relatively unusual occurrence. The cause and outcome vary depending on period and reg ion of study. The aims of this analysis were to review the cause and outcome of pediatric EDHs nowadays and to discuss outcome-related variables in a large consecutive series of surgically treated EDH in children.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review of 29 patients with surgically treated EDHs between Jan 2000 and February 2010. Patients' medical records, computed tomographic (Cl) scans, and, if performed,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were reviewed to define variables associated with outcome. Variables included in the analysis were age, associated severe intracranial injury, abnormal pupillary response, hematoma thickness, severity of head injury (Glasgow Coma Scale score), parenchymal brain injury, and diffuse axonal injury. Results: The mean (SO) age of the patients was 109 months (0-185 months). Most of the injuries with EDHs occurred in traffic accident (14 cases, 48.2%) and followed by slip down in 6 cases and falls in 6 cases. There were one birth injury and one unknown cause. EDHs in traffic accidents occurred in pedestrians hit by a motor vehicle, 9 cases; motorbike and car accidents, 5 cases and bicycle accidents, 1 case. The locations of hematoma were almost same in both sides (left side in 15 cases). Temporal lobe is the most common site of hematomas (13 cases, 44%). The mean size of the EDHs was 18 mm (range, 5-40 mm). Heterogeneous hematomas in CT scans were 20 cases (67%). Two patients were referred with unilateral or bilateral dilated pupil(s). There was enlargement of EDH in 5 patients (17%). All of them were heterogeneous hematomas in CT scans. Except for 4 patients, all EDHs were associated with skull fracture(s) (87%). There was no case of patient with major organ injury. CT or MRI revealed brain contusion in 5 patients, and diffuse axonal injury in one patient The mortality was zero, and the outcomes were excellent in 26 and good in 2 patients. None of the tested variables were found to have a prognostic relevance. Conclusion: Regardless of the EDH size, the clinical status of the patients, the abnormal pupillary findings, or the cause of injury, the outcome and prognosis of the patients with EDH were excellent.

중국 전통마을의 반월당(半月塘)에 관한 기초연구 (Basic Studies on Banwoldang(Half-moon shaped Pond) at the Traditional Chinese Villages)

  • 왕교;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21-129
    • /
    • 2014
  • 본 연구는 중국 전통마을에만 반원형의 독특한 형태로 나타난 반월당(半月塘)의 위치와 종합적 기능에 대해 연구한 것이다. 연구에서 밝힌 결과는 반월당이 중국 전통 마을에 나타난 시기는 원(元)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고, 현재 반월당은 기후가 온난하고 농업과 상업이 발달되어 부유층들이 모여 사는 중국 양자강(揚子江)이남 지역의 전통마을에서 주로 찾아 볼 수 있었다. 반월당은 대부분 풍수적 목적으로 가족 사당 앞에 조성되었다. 이는 사당을 보호하는 것이 전체 가족을 수호하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이의 주요한 풍수적 기능으로는 과거급제, 재물을 모으는 것, 불길을 억누르는 것 그리고 배산임수(背山臨水)형 풍수구조를 보완할 목적으로 조성되었음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그 밖의 기능은 마을 공동체적 행사와 휴식, 양어, 방어 기능 등으로 활용되었음을 밝힐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중국전통마을에서 반월당이 나타나게 된 원인과 가치를 찾아볼 수 있었다. 현재 중국의 현대식의 마을에서는 이를 등한시 여겨 빠르게 사라지고 있는 실정이다. 반월당은 중국의 독특한 전통문화 가운데 하나로서 보전해야 될 중요한 유산인바 그 의미와 가치는 중국의 전통 문화로서 계승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화재에 대한 부모경험을 통한 인식도와 부모교육 요구도 분석 (Analysis of perception and parent education demand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 김인정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5-93
    • /
    • 2013
  • This study is based on parents that have preschool children of age 4~5, and analyzes the perception and parent education demand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As a result of the study about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about safety life, safety accidents, safety education of fire, the effect of parents' safety consciousness to fire safety life turned out to be moderate for fathers and large for mothers. The safety education method was mostly done in speaking than experience for fathers, while mothers did education through experience in daily life. Also the difficulties in safety education was lack of educating time for fathers while it was lack of knowledge and methods for mothers.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safety accidents showed that fathers did not have experience of fire safety accidents while mothers did. The locations perceived by parents where fires mostly occurred showed to be within home for both parents, and both administered first aid in managing fires. Perception through parent experience of fire safety education showed the importance of fire safety education to be important in both parents, and both parents had no experience in fire safety education. Also the fire safety education knowledge acquisition method was TV or the Internet for fathers, while it was participating in seminars or lectures for mothers. Fathers were moderately satisfied of the fire safety education instruction of childhood education centers, while mothers were slightly dissatisfied. For the demand of parent education about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were moderate while mothers thought it necessary of parent education necessity. The reason why parent education was needed was to be able to know immediate and prompt measures and first aid treatment in emergency situations for fathers, while it was to figure out the cause of fire safety accidents and prevent it beforehand for mothers. For the education institution of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demanded it for safety related institutions while mothers demanded it for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and the number of times for parent education was once or twice a year for fathers while it was once a month for mothers. For the parent education instructor of fire safety education, fathers demanded safety education experts while mothers demanded infant teachers that completed the safety education course. For the fire safety education method of parent education, fathers demanded Internet searching while mothers demanded seminars or lectures.

도시환경에서 방사능오염 표면의 중요도 분석 (Contaminated Surfaces in an Urban Environment)

  • 황원태;정효준;김은한;한문희;안민호;김인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148-153
    • /
    • 2011
  • 국제원자력기구(IAEA)에서 주관하는 국제비교프로그램 EMRAS-2(Environmental Modelling for RAdiation Safety, Phase 2) 내 도시오염평가분과에서 설계한 가상 방사능오염 시나리오에 대해 국내모델 METRO-K를 사용하여 도시환경을 구성하는 오염표면의 선량률에 대한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선량률에 대한 오염표면의 기여는 평가위치와 사건 발생 후 시간에 따라 뚜렷이 다른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사건이 발생한 당시 강우의 유무와 강우의 강도에 따라서도 오염표면의 기여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만일 원자력발전소의 사고나 방사능분산장치의 폭발 등과 같은 불의의 사건이 발생하여 도시지역을 오염시킬 경우 방사능피폭에 따른 인체 위해 뿐 아니라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표면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응행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Spectrometry Analysis of Fumes of Mixed Nuclear Fuel (U0.8Pu0.2)O2 Samples Heated up to 2,000℃ and Evaluation of Accidental Irradiation of Living Organisms by Plutonium as the Most Radiotoxic Fission Product of Mixed Nuclear Fuel

  • Kim, Dmitriy;Zhumagulova, Roza;Tazhigulova, Bibinur;Zharaspayeva, Gulzhanar;Azhiyeva, Galiya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274-284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describe the spectrometric analysis of gaseous cloud formation over reactor mixed uranium-and-plutonium (UP) fuel $(U_{0.8}Pu_{0.2})O_2$ samples heated to a temperature $>2,000^{\circ}C$, and thus forecast and evaluate radiation hazards threatening humans who cope with the consequences of any accident at a fission reactor loaded by UP mixed oxide $(U_{0.8}Pu_{0.2})O_2$, such as a mixture of 80% U and 20% Pu in weight. Materials and methods: The UP nuclear fuel samples were heated up to a temperature of over $2,000^{\circ}C$ in a suitable assembly (apparatus) at out-of-pile experiments' implementation, the experimental in-depth study of metabolism of active materials in living organisms by means of artificial irradiation of pigs by plutonium. Spectrometric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on the different exposed organs and tissues of pigs for the further estimation of human internal exposure by nuclear materials released from the core of a fission reactor fueled with UP mixed oxide.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described are the following: (1) following the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mixed fuel fission products (radioactive isotopes being formed during reactor operation as a result of nuclear decay of elements included into the fuel composition) on living organisms, the authors determined the quantities of plutonium dioxide ($PuO_2$) that penetrated into blood and lay in the pulmonary region, liver, skeleton and other tissues; and (2) experiments confirmed that the output speed of plutonium out of the basic precipitation locations is very small. On the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evidence, the authors suggest that the biological output of plutonium can be disregarded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of the internal irradiation doses.

벤젠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누출시 방류벽 유무 및 누출공에 따른 피해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Distance of Benzene and Acrylonitrile Releases in Sccordance with Dike and Hole Size)

  • 곽영민;옥재민;윤수경;정승호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8-25
    • /
    • 2018
  • 산업의 발전에 따라 화학물질 중 독성물질의 종류와 사용량도 함께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산업현장에서의 사고 발생 가능성과 사고 영향성도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독성물질의 누출은 인명 및 인근 지역의 환경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기 때문에 누출사고 시 대피 및 안전거리 계산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액체성상의 독성물질의 경우 알고리즘을 새롭게 제시하였으며, 벤젠 및 아크릴로나이트릴을 선정하여 영향범위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시나리오는 화학물질 안전원의 지침대로 최악의 시나리오 분석 시 10분간 전량 방출할 경우와, 즉시 방출하여 독성 액체가 방류벽을 범람할 경우로 하였으며 대안의 시나리오는 저장용기의 연결된 배관의 부분 파열로 인하여 누출공이 생긴 경우로 하였다. 각각의 시나리오에서 방류벽의 유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로부터 기상 및 지형조건에 따라 ALOHA(Areal Locations of Hazardous Atmosphere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ERPG-2(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 농도의 끝점 도달거리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데이터를 통하여 그래프 및 회귀식으로 나타내었고, 이러한 자료는 피해범위를 예측함으로써 비상상황 발생 시 비상대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