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cident case

검색결과 1,729건 처리시간 0.024초

XGBoost를 활용한 첨두, 비첨두시간 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f the Impact Factors of Peak and Non-peak Time Accident Severity Using XGBoost)

  • 성제민;윤병조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440-447
    • /
    • 2024
  • 연구목적: 국내의 차량 등록 대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한 교통량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므로 사고 심각도가 증가 및 혼잡문제 또한 야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첨두 교통사고와 비첨두 교통사고의 사고 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연구방법:인천광역시의 첨두 및 비첨두 교통사고의 심각도를 첨두와 비첨두로 나누어 분석하여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XGBoost 머신러닝 기법을 적용하여 첨두 및 비첨두 교통사고 심각도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통하여 plot으로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첨두시 피해운전자 차종_승합인 경우 등 비 첨두시는 피해운전자 차종_건설기계 등이 사고 심각도를 높이게 되는 변수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첨두와 비첨두 사고 심각도의 요인을 도출한 것에 의의가 있고 추후 첨두 및 비첨두시의 사고 심각도를 낮추고 국내 교통의 혼잡 요인을 분석하여 혼잡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것에 활용되기를 바란다.

교통사고 데이터와 GIS를 이용한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선정 : 서울시를 대상으로 (A Selection of High Pedestrian Accident Zones Using Traffic Accident Data and GIS: A Case Study of Seoul)

  • 양종현;김정옥;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21-23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선정을 위한 객관적 기준 마련을 위해 서울시의 2009년~2013년 보행자사고 54,208건에 대해서 Getis-ord Gi*와 커널 밀도를 결합하여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하였다. Getis-ord Gi*를 통해 보행자사고 발생 지점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하여 보행자사고 핫스팟이 군집된 보행자사고 개선구역을 선정할 수 있었고 값을 통해 선정된 구역 간의 우선순위를 판별할 수 있었다. 그리고 보행자사고 개선구역 내부에 대해 커널밀도추정을 시행함으로써 사고 발생 지점의 미시적인 분포를 파악하고 사고 발생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핫스팟을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핫스팟에서 높은 밀도 레벨을 가지는 부분을 확인함으로써 핫스팟 내부를 분석할 수 있었다.

모듈형 HNS 사고 시나리오 개발 (Development of Modular HNS Accident Scenarios)

  • 하민재;이문진;이은방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65-172
    • /
    • 2017
  • 현행 해양유출사고 시나리오는 예상가능한 최대 유출사고를 근거로 하여 시나리오가 작성되었다. 하지만, 최대유출사고 시나리오와 유사한 규모의 사고는 실제 거의 일어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한 훈련이나 대응장비배치 등은 대비 측면에서 본다면 낮은 비용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현행의 시나리오는 활용성과 현장도가 높은 시나리오 구현을 통한 실전에 가까운 형태로 구성될 필요가 있고, 활용 목적에 적합하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사고사례를 바탕으로 한 시나리오 작성을 위해 기 개발된 HNS 사고 표준코드를 활용하여 현행 시나리오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 사고 시나리오(Alternative Accident Scenario)를 구성하고자 하였다. 시나리오는 HNS 사고 표준코드를 모듈화하여 최대 빈도 시나리오, 최대 피해 시나리오, 최대 취약성 시나리오 3가지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이런 과정을 거쳐 제시된 각 시나리오별로 제시된 사고발생 상황은 실제 사고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므로 현장에서의 합목적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IS OF TMI-2 ACCIDENT SCENARIO USING SIMULATION BASED TECHNIQUES

  • Rao, R. Srinivasa;Kumar, Abhay;Gupta, S.K.;Lele, H.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4권7호
    • /
    • pp.807-816
    • /
    • 2012
  • The Three Mile Island Unit 2 (TMI-2) accident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as part of both post-accident technical assessment and follow-up computer code calculations. The models used in computer codes for severe accidents have improved significantly over the years due to better understanding. It was decided to reanalyze the severe accident scenario using current state of the art codes and methodologies. This reanalysis was adopted as a part of the joint standard problem exercise for the Atomic Energy Regulatory Board (AERB) - United States Regulatory Commission (USNRC) bilateral safety meet. The accident scenario was divided into four phases for analysis viz., Phase 1 covers from the accident initiation to the shutdown of the last Reactor Coolant Pumps (RCPs) (0 to 100 min), Phase 2 covers initial fuel heat up and core degradation (100 to 174 min), Phase 3 is the period of recovery of the core water level by operating the reactor coolant pump, and the core reheat that followed (174 to 200 min) and Phase 4 covers refilling of the core by high pressure injection (200 to 300 min). The base case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all four phases. The majority of the predicted parameter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However, some parameters have significant deviations compared to the observed data. These discrepancies have arisen from uncertainties in boundary conditions, such as makeup flow, flow during the RCP 2B transient (Phase 3), models used in the code, the adopted nodalisation schemes, etc. In view of this,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es are carried out using simulation based techniques. The paper deals with uncertainty and sensitivity analyses carried out for the first three phases of the accident scenario.

건설현장 작업발판 및 안전통로 관련 추락 및 전도재해 사고사례 분석 (Falling Accident Case Analysis on Construction Working Platform and Working Passage)

  • 김현수;이용수;오인환;안홍섭
    •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9-15
    • /
    • 2019
  • 건설산업에서의 안전 수준 향상 노력에도 불구하고, 건설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높은 사망자수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높은 사고율은 건설산업의 안전관리 측면에서 효과적인 대책이 필요함을 명확히 의미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주장하듯,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공종이나 기인물을 파악하고 이에 적합한 안전대책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다수의 추락관련 건설재해가 작업발판 및 안전통로에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안전관리 측면에서 가시설물을 중점적으로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작업발판 및 안전통로와 관련된 6개년 1663개의 사망사고를 공사규모, 공정률, 공종, 직종에 의해 분류하고, 각 사망재해가 발생한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중점적으로 관리되어야할 요소를 추출하였다.

산업재해통계기반 Risk 산정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Risk based on Statistics)

  • 우종권;이미정;설문수;백종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0-87
    • /
    • 2021
  • Risk assessment techniques are processes used to evaluate hazardous risk factors in construction sites, facilities, raw materials, machinery, and equipment, and to estimate the size of risk that could lead to injury or disease, and establish countermeasure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ssessing risk is calculating the size of the risk. If the size of the risk cannot be calculated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all member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would passively engage in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measur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predicting accidents that are expected to occur in the future based on past occupational accident statistics, and quantifying the size of the risk in an overview. The technique employed in this study differs from other risk assessment techniques in that the subjective elements of evaluators were excluded as much as possible by utilizing past occupational accident statistics. This study aims to calculate the size of the risk, regardless of evaluators, such as a manager, supervisor, safety manager, or employee. The size of the risk is the combination of the likelihood and severity of an accident. In this study, the likelihood of an accident was evaluated using the theory of Bud Accident Chainability, and the severity of an accident was calculated using the occupational accident statistics over the past five years according to the accident classification by the International Labor Organization.

최근 5년간 교통사고 후유증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The Domestic Trend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Traffic Accident for Recent 5 Years)

  • 최영일;김민영;최희승;정윤규;노해린;김세준;신동재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38
    • /
    • 2013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atest trend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traffic accident for recent 5 years. Methods : We investigated the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traffic accident via searching 6 Korean web databases. As a result, 65 research papers were found to b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published year, the titles of journals, the types of study, the number of cases, the sites of injury, the types of treatments the instruments for assessment and ethics approvals. Results : 65 articles were published since 2008. The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s about traffic accident were mainly published in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10 case studies, 14 case series, 11 non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21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d 9 systemic reviews had been under research. The most frequently occurred symptoms were neck pain and low back pain. In most studies, various korean Medicine treatments were used to treat the symptoms. Visual analogue scale(VAS) and neck disability index(NDI) were used as primary assessments. In most clinical studies, there were no mention about approval of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s on traffic accident from 2008 to 2012. Reviewing the domestic trends of studies on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traffic accident and examining the strong and weak points of those treatments are essential for the future studies. It is needed to adopt the qualitative methods of evaluation in order to develop a level of evidence.

  • PDF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를 고려한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기준 연구 (A Guideline for the Location of Bus Stop Type considering the Interval Distance of Bus Stops and Crosswalks at Mid-Block)

  • 이수범;강태욱;강동수;김장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3
    • /
    • 2010
  • 현재 국내의 횡단보도 설치 관련 기준은 육교 지하차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200m 이내는 중복설치를 금하고 있다. 만약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지방경찰청장이 타당성을 검토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횡단보도의 설치형태와 세부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 배치형태(접근부, 유출부)에 따른 각각의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고건수와 사고심각도를 종속변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을 독립변수로 하는 포아송 회귀모형식을 개발하였다. 유출부모형의 경우 연간 교통사고 심각도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고, 접근부 모형의 경우는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지만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는 음(-)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는 횡단보도 접근형과 유출형의 혼합형인 횡단보도의 경우는 이격거리 65m일 때 최적의 배치형태로 분석되었으며, 유출부와 접근부 사고 모형식을 통해서 얻은 최적 이격거리가 60m~70m로 나타났다.

불화수소에 대한 사고대응 정보시트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Response Information Sheets for Hydrogen Fluoride)

  • 윤영삼;박연신;김기준;조문식;황동건;윤준헌;최경희
    • 한국위험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8-26
    • /
    • 2014
  • We analyzed the demand of competent authorities requiring adequate technical information for initial investigation of chemical accidents. Reflecting technical reports on chemical accident response by environmental agencies in the U.S. and Canada, we presented information on environmental diffusion and toxic effects available for the first chemical accident response. Hydrogen fluoride may have the risk potential to corrode metals and cause serious burns and eye damages. In case of inhalation or intake, it could have severe health effects. The substance itself is inflammable, but once heated, it decomposes producing corrosive and toxic fume. In case of contact with water, it can produce toxic, corrosive, flammable or explosive gases and its solution, a strong acid, may react fiercely with a base. In case of hydrogen fluoride leak, the preventive measures are to decrease steam generation in exposed sites, prevent the transfer of vapor cloud and promptly respond using inflammable substances including calcium carbonate, sodium bicarbonate, ground limestone, dried soil, dry sand, vermiculite, fly ash and powder cement. The method for fire fighting is to suppress fire with manless hose stanchions or monitor nozzles by wearing the whole body protective clothing equipped with over-pressure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from distance. In case of transport accident accompanied with fire, evacuation distance is 1,600m radius. In cae of fire, fire suppression needs to be performed using dry chemicals, CO2, water spray, water fog, and alcohol-resistance foam, etc. The major symptoms by exposure route are dyspnoea, bronchitis, chemical pneumonia and pulmonary edema for respiration, skin laceration, dermatitis, burn, frostbite and erythema for eyes, and nausea, diarrhea, stomachache, and tissue destruction for digestive organs. In atmosphere, its persistency is low, and its bioaccumulation in aquatic organism is also 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