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ident Severity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3초

Trend analysis of nasal bone fracture

  • Kim, Kwang Seog;Lee, Han Gyeol;Shin, Jun Ho;Hwang, Jae Ha;Lee, Sam Yong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0-274
    • /
    • 2018
  • Background: Nasal bone fractures occur frequently because the nasal bone is located at the forefront of the fac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e, change in severity, change in incidence, and demographics of nasal bone fracture according to today's lifestyle. Methods: A total of 2,092 patients diagnosed as having nasal bone fractures at our department between 2002 and 201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retrospectively examined patients' medical records to extract information regarding age, sex, cause of injury, combined facial bone fractures, and related injuries such as skull base fracture, spinal cord injury, brain hemorrhage, and other bone fractures. Fracture severity was classified by nasal bone fracture type. Result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nnual number of patients treated for nasal bone fracture.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underwent closed re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over time for those with nasal bone fractures caused by traffic accidents. However, it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for those with nasal bone fractures due to other causes. The number of patients with combined facial bone fractures increased over time. Incidences of severe nasal bone fracture also increased over time. Conclusion: The study suggested that there is a decrease in the frequency and increase in the severity of nasal bone fracture due to traffic accident. Many protective devices prevent nasal bone fractures caused by a small amount of external force; however, these devices are not effective against higher amounts of external force.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eoperative thorough evaluation to manage patients with nasal bone fractures due to traffic accident.

한국형 교통사고심층분석자료 구축방법론에 대한 연구 (A Methodological Study of Korean In-Depth Accident Study DB)

  • 윤영한;이승상;박지양;김민용;김인배;김시우;이재완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8
    • /
    • 2015
  • The availability of in-depth accident data is a prerequisite for each efficient traffic safety management system. Identification and definition of the relevant problem together with knowledge of the data and parameters describing this problem is essential for its successful solution. Comprehensive, up-to-date, accident data is needed for recognition of the scope of road safety problems and for raising public awareness. Reliable and relevant data enable the identification of the contributory factors of the individual accidents, and an unveiling of the background of the risk behaviour of the road users. It offers the best way to explore the prevention of accidents, and ways to implement measures to reduce accident severity. In this study, reviewing the existing iGlad and GIDAS system, KIDAS data format can be finalized through feasibility evaluation. The progressive approach is proposed to successful settlement of Korea in-depth accident study. As the initial stage of in-depth investigation DB construction, the KIDAS is not repetition of the current police based TAAS. It is essential part of improving vehicle safety and reduction of traffic fatality in Korea. 72 Contributing factors like road and traffic characteristics, vehicle parameters, and information about the people involved in the accident have to be investigated and registered as well in the KIDAS.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를 고려한 버스정류장 배치형태 기준 연구 (A Guideline for the Location of Bus Stop Type considering the Interval Distance of Bus Stops and Crosswalks at Mid-Block)

  • 이수범;강태욱;강동수;김장욱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3-133
    • /
    • 2010
  • 현재 국내의 횡단보도 설치 관련 기준은 육교 지하차도 및 다른 횡단보도로부터 200m 이내는 중복설치를 금하고 있다. 만약 횡단보도를 설치하고자 할 때는 지방경찰청장이 타당성을 검토하여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횡단보도의 설치형태와 세부기준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Mid-Block상의 버스정류장 배치형태(접근부, 유출부)에 따른 각각의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사고건수와 사고심각도를 종속변수,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을 독립변수로 하는 포아송 회귀모형식을 개발하였다. 유출부모형의 경우 연간 교통사고 심각도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고, 접근부 모형의 경우는 교통량, 보행량의 증가에 따라 사고와 양(+)의 관계로 증가하지만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간의 이격거리는 음(-)의 관계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과 횡단보도 이격거리는 횡단보도 접근형과 유출형의 혼합형인 횡단보도의 경우는 이격거리 65m일 때 최적의 배치형태로 분석되었으며, 유출부와 접근부 사고 모형식을 통해서 얻은 최적 이격거리가 60m~70m로 나타났다.

교통문화 수준별 교통사고 심각도 분석 (Analysis of Accident Severity by the Level of Traffic Culture)

  • 김태양;박병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42-147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discuss the accidents based on the level of traffic culture (LOT). In pursuing the above, LOT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ased on the standardized index of traffic culture. Also,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the accident models using GLM (generalized linear model).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ll hypotheses that the ratios of fatal and serious injured persons (FSI) are the same over categories are rejected. Second, as the common variables, the ratio of turn signal usage and elderly population are analysed to be impacted to the ratio of FSI. Third, the traffic culture indicators among 5 accident factors which give impact to 'high level' are judged to affect the reduction of FSI. Fourth, compared to other levels, the traffic law violations among 7 accident factors of 'medium level' are estimated to influence the increase of FSI. Finally, in 'low level', the increasing ratio of traffic culture index compared to that of previous year and the number of hospital beds per person are evaluated to be significant to reducing the ratio of FSI. This study can be expected to give some policy implications to regional traffic safety policy-making.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우리나라 산업재해의 원인분석 (Text-mining based Cause Analysis of Accidents at Workplaces in Korea)

  • 최기흥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9-15
    • /
    • 2022
  • The analysis of the causes of accidents in workplaces where machines and tools are used is essential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afety prevention policies in places of employment in Korea. The causes of workplace accidents are not fully understood mainly due to difficulties in analyzing available descriptive inform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automated accident cause analysis in workplaces based on the accident abstracts found in industrial accident reports written in an unstructured descriptive form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ext data mining and uses the keyword search function of Excel software to automate the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primary reason for the frequency of accidents is related to technical aspects at a stage in which dangerous situations occur in the workplace. Accidents due to managerial causes are typically observed when danger exists in the workplace; however, managerial actions play a more important role in reducing accident severity. A small company tends to use unsafe machines and devices, leading to further accidents due to technical causes, whereas managerial causes are more conspicuous as the company grows. To preclude the occurrence of accidents due to inadequate knowledge, the implementation of safety management and the provision of safety education to elderly workers at the early stage of their employment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small companies with less than 100 workers.

A Classification Model for Predicting the Injured Body Part in Construction Accidents in Korea

  • Lim, Jiseon;Cho, Sungjin;Kang, Sanghyeo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30-237
    • /
    • 2022
  • It is difficult to predict industri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many accident factors, such as human-related factors and environment-related factors, affect the accidents. Many studies have analyzed the severity of injuries and types of accidents;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on the prediction of injured body part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odel to predict the part of the injured body based on accident-related factors. Construction accident cases from June 2018 to July 2021 provided by the Korea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 were collected through web crawling and then preprocessed. A naïve Bayes classifier, one of the supervised learning algorithms, was employed to construct a classification model of the injured body part, which has four categories: 1) torso, 2) upper extremity, 3) head, and 4) lower extremity. The predictor variables are accident type, type of work, facility type, injury source, and activity type. As a result, the average accuracy for each injured body part was 50.4%. The accuracy of the upper extremity and lower extrem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cases of the torso and head. Unlike the other classifications, such as spam mail filtering, a naïve Bayes classifier does not provide a good classification performance in construction accidents. The reasons are discussed in the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can be provided, which help establish safety measures at the construction site.

  • PDF

건설업 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재해 발생형태별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ccident Type and Age of Construction Workers)

  • 임종록;조선영;윤성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3호
    • /
    • pp.371-380
    • /
    • 2023
  • 현재 우리나라 건설 프로젝트들이 점점 대형화·복잡화됨에 따라 건설업의 재해율은 타 산업들과 반대로 꾸준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향상된 건설 기술력에 비해 건설업 종사자들의 안전의식과 안전에 관한 기술력은 미흡하다는 증표로 볼 수 있다. 또한, 인력을 중심기반으로 하는 건설업의 특성상 대다수의 재해는 인적오류에 의한 떨어짐, 넘어짐 등의 재래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따라서 인적자원의 특성과 재해와의 관계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안전계획 수립에 반영하는 것은 건설업의 인적오류 재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이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연령에 따른 재해발생 특징을 도출하기 위하여 3년간의 건설업 재해사례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위 10종의 재해 발생형태를 대상으로 연령과 재해 발생형태별 빈도 및 강도의 관계성을 도출하고 관련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고속도로 진출램프 부근의 충격흡수시설 설치여부 판단기준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Determination Criteria Installing Crash Cushion on Freeway Off-Ramp)

  • 하태준;박제진;오재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7-116
    • /
    • 2002
  • 충격흡수시설(Crash Cushion)은 고속도로 진출램프의 고어(Gore)지역과 같이 차량이 주행차로를 벗어나 도로상의 구조물과 충돌할 위험이 있는 곳에 설치하여 충돌 전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 도로변 안전시설물이다. 시설의 설치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고 발생 가능성을 고려하여 설치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충격흡수시설 설치기준은 이와 같은 과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격흡수시설의 설치여부 판단기준 개발을 위해 두 가지 형태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 번째는 고속도로 진출램프 사고예측모형의 개발이다. 충격흡수시설이 설치되는 고속도로의 고어(Gore)지역에서 발생되는 교통사고와 도로환경적 요인과의 관계를 고려한 사고예측모형을 개발하는 과정으로 교통통계 학자들 사이에서 교통사고의 특성을 잘 반영하여 준다고 알려진 음이항 분포를 사용하였다. 두 번째는 고속도로 진출행동모형의 개발이다. 운전자에 의한 고속도로 진출과정을 단계별로 가정하고 가정된 진출과정에 의해 발생되는 변수들과 사고와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운전행동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두 가지 형태의 모형으로 위험도를 수치화하고 편익-비용분석 과정을 통하여 충격흡수시설을 설치여부 판단기준을 제시하였다. 도로환경적 요인과 인적요인을 동시에 고려한 본 연구의 접근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충격흡수시설의 설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자율주행 안전성 검증 시나리오 개발 활용을 위한 교통사고보고서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raffic Accident Report for Automated Vehicle Test Scenarios)

  • 오경택;고우리;박지혁;윤일수;소재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67-182
    • /
    • 2022
  • 교통사고보고서 상의 교통사고 관련 자료 속성들은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전통적인 교통안전 관련 연구에서 뿐만 아니라 최근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성 검증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다만, 교통사고보고서의 자료 속성들은 교통사고 상황 재현 및 시나리오 개발만을 위해 정의된 항목들이 아니므로, 본 연구에서는 확대된 활용성 측면의 교통사고보고서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교통사고보고서의 개선방향은 각각 교통사고 발생 이전 상황(pre-crash), 교통사고 중 상황(on-crash), 교통사고 발생 이후 상황(post-crash)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각 구분에 따른 추가 자료 항목 또는 자료 처리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정형화된 형태의 교통사고자료 외에 비정형화된 서술 형태의 교통사고 경위자료로부터 추출 가능한 정보항목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전복사고 운전자를 대상으로 자동차 안전장치에 대한 행동특성 분석 (An analysi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drivers in roll-over accident)

  • 이효주;김호중;이강현;이명렬;최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329-7334
    • /
    • 2015
  • 본 연구는 전복에서 사고의 특성과 운전자의 행동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1년 1월에서 2014년 5월까지이며 연구대상은 전복사고로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한 운전자 10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교통안전공단 인체상해 데이터를 이용하였으며 여기에는 자동차의 손상정도와 환자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리된 내용으로 차량의 기본정보와 환자정보, 손상의 역학적 원인과 사진 상의 손상정보, 환자의 임상적 손상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ANOVA, Chi-square test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 차량종류에 따른 손상정도계수(Injury Severity Score) 평균 점수는 작은 차량에서 6.00점, 높은 차량에서 11.78점, 그 외 차량에서 14.70점을 보였고 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267). 안전벨트 착용 여부에서 남자가 여자에 비해 안전벨트를 유의하게 착용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P=.007), 차량 종류나 날씨 등이 안전벨트 착용 여부와 상관관계를 보이지는 않았다(P=.755, P=.793). 하지만 차량의 크기가 작을수록 운전자들이 안전벨트를 차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고, 날씨가 맑은 날 오히려 안전벨트를 좀 더 착용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복 사고에서도 다른 사고 유형에서와 마찬가지로 안전벨트 착용 여부가 손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