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ss point

검색결과 1,251건 처리시간 0.03초

HiperLAN/2 시스템에서 가변적인 RCH 채널 할당방안 (Variable RCH Channel Assignment Scheme in HiperLAN/2 System)

  • 장순건;장재환;임석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9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3-87
    • /
    • 2009
  • HiperLAN/2(High performance radio Local Area Network)에서의 MAC(Media Access Control)프로토콜은 TDMA/TDD(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ime Division Duplex)기반으로 동작하며, 단말은 RCH(Random CHannel) 구간을 통해 채널 경쟁에서 성공함으로써 데이터 전송 기회를 획득한다. 그러므로 AP(Access Point)는 각 RCH에서 단말들의 채널요청메시지의 성공 및 충돌수에 따라, 다음 프레임에서 최적의 RCH 개수를 동적으로 할당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HiperLAN/2에서의 성능향상을 위해 충돌과 성공을 고려하여 RCH(Random CHannel)수를 고정적인 값만큼 증감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효율성을 입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처리율과 접속지연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접근제어 모델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Requirements Analysis for Access Control Model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오세종;박제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7호
    • /
    • pp.563-570
    • /
    • 2004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보안의 강화와 사생활 보호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접근 제어는 보안 분야의 하나인데,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전통적인 정보시스템과는 여러 면에서 특성을 달리하기 때문에 기존의 접근제어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제어 측면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정의하고 그 환경에서 접근제어의 특성을 분석한 뒤, 그 환경을 위한 접근제어 모델을 개발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할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접근제어 모델의 구현시 가능한 세가지 유형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On the Interference of Ultra Wide Band Systems on Point to Point Links and Fixed Wireless Access Systems

  • Giuliano, Romeo;Guidoni, Gianluca;Mazzenga, Franc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6권2호
    • /
    • pp.163-172
    • /
    • 2004
  • Ultra Wide Bandwidth (UWB) spread-spectrum techniques will playa key role in short range wireless connectivity supporting high bit rates availability and low power consumption. UWB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wireless local and personal area networks providing advanced integrated multimedia services to nomadic users within hot-spot areas. Thus the assessment of the possible interference caused by UWB devices on already existing narrowband and wideband systems is fundamental to ensure nonconflicting coexistence and, therefore, to guarantee acceptance of UWB technology worldwide. In this paper, we study the coexistence issues between an indoor UWB-based system (hot-spot) and outdoor point to point (PP) links and Fixed Wireless Access (FWA) systems operating in the 3.5 - 5.0 GHz frequency range. We consider a realistic UWB master/slave system architecture and we show through computer simulation, that in all practical cases UWB system can coexist with PP and FWA without causing any dangerous interference.

다수 개의 엑세스 포인트 환경에서 전송전력 제어 (Transmit Power Control for Multi-Access Points Environment)

  • 오창윤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49-56
    • /
    • 2020
  • 다중 엑세스 포인트에서 적용을 위한 전송전력 알고리즘을 연구한다. 개별 단말은 여러 개의 엑세스 포인트 중에서 하나의 엑세스 포인트에 신호를 전송한다. 각각의 엑세스 포인트는 수신이 예정된 단말로 부터 신호를 수신하기도 하지만, 인접한 단말들로 부터 간섭도 수신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각의 단말에 요구되는 신호대 간섭비를 만족하면서 모든 단말들의 총 전송전력이 최소화되도록 전송전력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특히, 엑세스 포인트 개수의 증가가 단말들이 소모하는 총 전송전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이를 기반으로, 단말들의 총 전송전력을 최소화하는 반복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목표 신호대 간섭비에 항상 수렴함을 이론적 기법을 통해 증명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단말들이 소모하는 전송전력을 최적화함을 증명하도록 한다. 실험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사항, 1) 제안하는 전송전력 최적화 알고리즘은 엑세스 포인트 개수와 관계없이 목표로 하는 신호대 간섭비에 수렴하며, 이때 개별 단말들은 최적의 전송전력을 소모한다. 2) 통신시스템에 엑세스 포인트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단말들이 소모하는 전송전력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실내 환경에서 무선 LAN Access Point의 위치 설정 최적화 (The Access Point Placement Optimization of Wireless LAN in Indoor Environment)

  • 임국찬;강훈;최성훈;이현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39권9호
    • /
    • pp.1-11
    • /
    • 2002
  • 실내 환경에서 무선 LAN의 AP(Access Point) 위치의 최적화 설계는 서비스의 품질 및 비용 절감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다. 최적의 AP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AP의 위치에 따른 서비스 지역의 전파 강도뿐만 아니라 환경 및 사용자 요구 트래픽에 대한 지역적 특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전파 예측 모델을 기반으로 다중 AP의 위치를 최적화 시켜주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서비스 지역에 대하여 사용자 정의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유연성 있는 AP 위치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홉필드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적화를 수행하였으며, 전파 예측 모델은 패스-로스 모델(path-loss model)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최적의 AP위치를 계산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줄였고, 전체 서비스 지역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다중 AP의 위치 설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2.4/5 GHz 무선 LAN 액세스 포민트용 이중 공진 판형 안테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2.4/5 GHz Dual-Band Plate Type Antenna for Access Point of Wireless LAN)

  • 이원규;손지명;한준희;양운근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01-40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2.4/5 GHz 이중 대역의 무선 LAN(Local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용으로 크기가 작고 가벼운 이중 공진 안테나를 제안한다. 무선 LAN용 안테나는 전방향성의 방사 패턴 특성을 보여야 한다. 먼저, 제안된 이중 공진 안테나는 전방향성의 방사 패턴을 얻기 위하여 중심에 직교 역삼각형 소자와 네 개의 공진 소자를 사방으로 위치시켰다. 또한, 중심에 직교 역삼각형 소자를 사용한 구조에서 제작이 용이하고 크기가 작은 안테나를 구성하기 위하여 중심 소자를 판형으로 변경하였다. 제안된 이중 공진 관형 안테나의 측정 결과 사용 주파수 대역에서 -12.8 dB 이하의 특성을 보였다. 이득 측정 결과 2.44 GHz에서 3.17 dBi, 5.77 GHz에서 5.38 dBi의 최대 이득을 나타내었으며 전방향성의 방사 패턴 특성을 보였다. 구현된 안테나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에 적용 가능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무선 LAN 환경에서 단말 이동시 전송되는 AP간 WEP 키 전송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WEP Key transmission between APs, during STA Movement in Wireless Environment)

  • 송일규;홍충선;이대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1C권2호
    • /
    • pp.219-228
    • /
    • 2004
  • 무선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이란 옥내 또는 옥외 환경에서 무선으로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말하며,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허브(Hub)에서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PC, PDA 등 클라이언트까지 유선 대신 전파나 빛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을 말한다. 현재, IEEE 802.11 WG(Working Group) 중에는 AP(Access Point)간의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개발하는 TGf(Task Group F)가 있다. 이 그룹에서는 서로 다른 제조업체에서 생산한 AP 간의 상호연동을 보장하기 위한 IAPP(Inter Access Point Protocol)를 제안하였는데, 이는 동일 서브네트워크 내의 서로 다른 AP간에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STA(Station)들이 이동할 때 재인증 과정을 거치지 않고 AP간의 Security Context 정보나 Layer 2 forwarding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STA간의 seamless 연결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AP간 메시지 전달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성이 요구되는 iapp-move 요청, 응답 메시지를 이미 사용되고 있는 인증된 경로를 통해 전달함으로써 WEP키 등의 보안성이 요구되는 정보의 유출을 막고, 무선구간의 보안성을 제공하기 위해 공개키를 이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임베디드 시스템 상에서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 개발 (Development of Bluetooth Protocol Stack on Embedded System)

  • 이상학;정태충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2호
    • /
    • pp.123-128
    • /
    • 2004
  • RF 기술 및 무선 네트워크의 발전은 다양한 형태의 새로운 네트워크가 제시되고 개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블루투스 기술은 가장 많이 알려진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WPAN :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표준이다. 음성, 데이터의 동시처리가 가능한 무선 네트워크 통신 표준인 블루투스는 표준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응용 애플리케이션들이 나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블루투스 기기들의 네트워크 접속을 위한 블루투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미 시장에 출시되어 있는 블루투스 마우스, 키보드, 헤드셋 등의 주변장치와 다르게 액세스 포인트는 네트워크 접속장치로서 다중접속, 전송 속도 등을 안정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임베디드 시스템 상에서 표준 규격을 만족하는 블루투스 액세스 포인트를 구현하기 위해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으며, 블루투스 프로토콜 코어 스택과 프로파일을 구현하여 기능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제품과의 접속 테스트를 통해 규격에 호환됨을 보였고, 기존의 블루투스 프로토콜 스택과 비교하여 우수한 네트워크 성능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IEEE 802.11 무선랜 환경에서의 AP 선택 알고리즘 (Access Point Selection Algorithm for Densely Deployed IEEE 802.11 WLANs)

  • 김결;이수경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6호
    • /
    • pp.707-713
    • /
    • 2016
  • IEEE 802.11 Wireless LAN 환경에서, 현재 일반적인 기존 단말의 Access Point (AP) 선택은 신호세기에 기반한다. 하지만, 신호세기 기반 AP선택 방법은 최적의 데이터 전송률을 보장하지 않는다. 이 문제 해결을 위해 최근 여러 AP선택 방법들이 제안되었지만 AP선택 시, 지연 문제를 가지며 실제 밀집된 AP환경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밀집된 AP 환경에서 단말의 신호세기 및 Throughput 측정실험을 통해 기존 AP선택 방법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Link Speed 및 IEEE 802.11 무선링크의 Round Trip Time(RTT)을 Scoring하여 AP선택을 수행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AP선택 알고리즘이 기존방법들에 비해 성능적으로 향상되었음을 증명한다.

인증 네트워크 상의 비 인가된 모바일 AP 탐지 및 차단 기법 (Mobile Malicious AP Detection and Cut-off Mechanism based in Authentication Network)

  • 임재완;장종덕;윤창표;유황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55-61
    • /
    • 2012
  • 현재 무선 이동 통신 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의 출현과 함께 빠르게 진화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을 기반으로 스마트폰의 이용자는 빠르게 늘어나고 있고 스마트 폰의 대중화에 따라 무선 네트워크의 사용은 쉽고 편리해졌다. 그러나 보안적인 관점에서 무선은 유선 네트워크에 비해 취약한 상태이며 본 논문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모바일 AP 기술의 보안 취약점을 지적하였다. 즉, 사내 보안 기능을 갖춘 기업 망을 우회하여 기업 내의 정보를 외부로 유출하는 등의 기술로 악용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인증 네트워크 내에서 스마트 폰을 이용한 비인가 AP(Access Point)의 탐지 및 차단하는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비 인가된 모바일 AP의 탐지는 리눅스 환경에서 개발한 탐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무선 센서를 통해 비 인가된 모바일 AP의 무선 패킷을 분석하였다. 또한 무선 센서를 통해 탐지된 비인가 모바일 AP는 무선 패킷에 정보를 분석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차단 기법을 통해 차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