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ss point

검색결과 1,251건 처리시간 0.039초

HSDPA-to-WiFi Access Point 구현 -HSDPA CPE (Implementation of HSDPA-to-WiFi Access Point -HSDPA CPE)

  • 박천관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67-172
    • /
    • 2010
  • 본 논문은 HSDPA 무선망에 접속하여 WiFi 단말에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HSDPA-CPE 시스템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상향 인터페이스로 HSDPA를 지원하며 하향 인터페이스로 WiFi 및 100Mbps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시스템은 지하철, 자동차, 선박 등에서 다수의 인터넷서비스 가입자에게 WiFi 단말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HSDPA에 가입한 Wi-Fi 단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랜 AP(Access Point)용 테이퍼형 마이크로스립 발룬 구조 이중대역 다이폴 안테나 (Dual Band Dipole Antenna with Tapered Microstrip Balun for WLAN Access Point)

  • 김종면;김정일;윤재훈;김남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6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219-220
    • /
    • 2006
  •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Dual Band Dipole Antenna with Tapered Microstrip Balun for WLAN Access Point. Two dipole antennas with different resonant frequency and the antenna structure combined additional line were implemented for dual band performance. In order to feed the balun current, the tapered microstrip balun was used. Produced the Dual Band Antenna shows a special quality. The quality is that all VSWR is less than 1.5 in the 2.4GHz and 5GHz frequency bands in 802.11 standards, and it profits not less than 1.7dBi having typical Dipole Antenna pattern the very "a form of 8"pattern and Omni-directional pattern.

  • PDF

무선 AP 위치 예측을 위한 전파특성 분석 (Analysis of Radio Wave of Location Estim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 홍진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653-1658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GPS 수신기가 제공되지 않는 환경에서 무선 AP 위치 추적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AP 장비로부터 방사되는 무방향성 전파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무선 단말로부터 추적되는 AP장비나 고정된 AP 장비로 추적 가능한 무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거리에 따른 수신 전력의 분포 환경을 분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4GHz 대역의 무선 전파 특성을 실내 및 실외 환경에서 거리에 따라 영향정도 및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위치 예측에 활용하였다.

이미지 블록 디바이스를 위한 BLE 다중 접속기술 기반 이미지 분할 송수신 기술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mage Segmentation Tx/Rx Technology Based On BLE(Bluetooth Low Energy) Multiple Access Technology for Image Block Devices)

  • 곽창섭;이영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825-837
    • /
    • 2021
  • The Bluetooth Low Energy profile has the advantage of continu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very little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existing Bluetooth, so it is widely applied to smart devices. Most of them are applied to Point-to-Point (1:1) communication between Central (Master) and Peripheral (Slave), but can be applied to Point-to-Multiple (1:N) wireless communication through the use of multiple threads and timers. Therefore, in this paper, a precise timer was designed in the BLE profile to devise an image segmentation transmission/reception structure based on multiple access, and a smart image block device applied to it was designed and verified.

IEEE 802.11 네트워크에서의 복제된 AP 탐지 공격으로 부터의 방어 대책 (Defense Tactics Against the Attack of Cloned Access Point in IEEE 802.11 Networks)

  • 고윤미;김진희;권경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27-428
    • /
    • 2009
  •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합법적인 AP(Access Point)의 MAC 주소, SSID(Service Set Identifier), 채널등의 정보를 이용하여 복제된 AP(Cloned Access Point)를 만들 수 있다. 복제된 AP는 합법적인 AP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 스테이션들의 연결 설정을 끊고 자신과 연결 설정을 하게 한다. 무선 스테이션들이 복제된 AP와 통신을 하게 되면서 많은 공격으로부터 노출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복제된 AP가 설치되었을 때 무선 스테이션들이 합법적이 AP의 비콘 프레임과 복제된 AP 비콘 프레임의 시퀀스 번호를 이용하여 복제된 AP을 판별하였다. 시뮬레이터 NS-2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메커니즘을 통해 무선 스테이션들이 복제된 AP의 등장을 판별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한 무선랜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가속도센서와 신호세기를 이용한 Access Point 스캐닝 메커니즘 (Access Point Scanning Mechanism using Accelerometer Sensor and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 이건휘;김강석;홍만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81-583
    • /
    • 2011
  • 최근에 급격히 증가한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이 이동중에도 안정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핸드오프는 반드시 필요하다. 핸드오프를 위하여 기존에 연결되어 있는 AP(Access Point)와의 연결을 끊고 주변의 AP 를 스캐닝한 후 새로운 AP 로 재연결을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에 본 논문에서는 스캐닝 단계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AP 의 신호세기와 스마트폰의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동성을 고려하는 스캐닝 방식을 제안한다.

기관 리포지터리의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인명 접근점제어 시스템 구축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a Name Access Point Control System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Information Retrieval from Institutional Repositories)

  • 김미향;김태수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25-14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셀프 아카이빙(self-archiving)을 기본으로 메타데이터가 구축되는 기관 리포지터리의 인명 검색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도서관의 전거데이터를 활용하면서도 전거형을 인정하지 않고, 정보원에 기재된 형식을 모두 접근점으로 사용하는 그룹화 방법을 사용하고, 동명이인 처리를 위해 저작자의 주제분야와 저작정보를 확장해서 사용하는 새로운 방법을 토대로 인명 접근점제어 데이터를 구축하고 시스템에 적용하여 검색의 기능이 향상되었다. 향후 기관 리포지터리 외에 도서관이 총괄하는 모든 메타데이터의 검색 기능 향상을 위해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Work and Expression Authority Records)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71-94
    • /
    • 2016
  • 본 연구는 FRBR 구현을 위해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의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기술을 위한 기본 틀로 ICP의 전거형접근점 지침과 FRBR/FRAD 개념모델, 내용규칙으로 RDA를 참조하였다. 입력사례를 분석하기 위해 LC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JSC of RDA의 전거레코드 입력사례, VIAF의 저작 전거레코드, 표현형 전거레코드를 조사하였다. 구축방안으로 첫째, 전거레코드 구조는 이름, 저작, 표현형 전거레코드로 구성되며 상호연계된다. 둘째, 저작의 유형을 5가지로 구분하여 전거형접근점의 기술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저작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저작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표현형 속성 기술시 독립적으로 기술하는 방안과 전거형접근점의 일부로 기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표현형의 기타식별특성 기술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저작과 표현형의 연계를 위해 5XX에 상호 관계를 기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저작 및 표현형 전거레코드 구축을 위한 적용방안 및 고려사항은 국내목록규칙 개정에도 많은 기여를 할 것으로 사료된다.

MIPv6망에서 안전한 호스트 이동성 지원 방안 (Secure Host Mobility in the Mobile IPv6 Network)

  • 김정주;홍석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2-85
    • /
    • 2005
  • 이동 Pv6(MIPv6)를 지원하는 네트워크에서 이동 노드(mobile node)가 새로운 네트워크로 이동했을 때 그 네트워크에서의 엑세스 라우터와 엑세스 포인트(Access Router/Access Point)를 찾아 연결해야 한다. 이때 신뢰할 수 있는 AR과 AP에 연결하지 못할 경우 여러 형태의 공격에 노출된다. 본 논문에서는 SEcure Neighbor Discovery(SEND)에서 사용하는 공개키 기반 RSA 암호화 방식을 응용하여 AR/AP와 MN이 상호 인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PON 기술동향 및 발전전망 (PON : technical trends and prospects)

  • 박형진;김진권;김진희;유건일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및 세미나
    • /
    • pp.105-109
    • /
    • 2002
  •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가 널리 보급된 상황에서 서비스 품질과 콘텐츠의 사용 대역 증가 현상이 날로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송속도가 거리에 제한받지 않는 광통신 기술이 품질과 대역 조건을 만족시키는 가입자 액세스망 기술로 각광 받고 있다. 현재는 점대점(point-to-Point) 광통신 기술을 이용한 광 대역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밀집 지역과 분산 지역 그리고 음영 지역의 각 가입자 단까지 고가의 광선로를 포설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다. PON(Passive Optical Network) 기술은 점대점 광통신 기술에서 제기되는 경제적 비효율성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FTTC, FTTB에서 FTTH로의 진화를 용이하게 하는 점대다점(point-to-multipoint) 광통신 기술이다. PON 기술은 ATM 기반의 B-PON(Broadband-PON) 방식과, Ethernet 기반의 E-PON(Ethernet-PON) 방식이 현재 상용화 단계에 있으며, 이 방식들은 상하향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일 파장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PON 기술동향 및 발전전망에 대해 알아보고, B-PON 및 E-PON 기술 분석한 뒤, 국내 환경에 가장 적합한 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