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celerating Agent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6초

숏크리트용 급결제를 첨가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응결 및 강도특성 (Setting Time and Strength Characteristics of Cement Mixtures with Set Accelerating Agent for Shotcrete)

  • 김진철;류종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70-78
    • /
    • 2004
  • NATM 시공에서 급결제의 사용은 일반화되어 있으나 품질 및 시험기준의 제정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에 대한 국내외 품질기준 비교 및 시험을 수행하여 규격의 적정성을 평가하였다. 실리케이트계, 알루미네이트계 및 시멘트광물계 급결제의 알칼리함유량이 매우 높게 나타나 사용골재의 반응성 평가에 대한 관리 및 시험빈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응결시험결과 BS 시험방법이 정량적인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실리케이트계 및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첨가방법에 따라 응결시간이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압축강도는 실리케이트계, 알루미네이트계 및 급결성 시멘트 광물계의 재령 1일 강도는 $90kgf/cm^2$ 이상으로 한국콘크리트학회 규준을 만족하나 플래인 모르타르 강도대비 재령 28일 압축강도비는 알칼리프리계를 제외하고 $50{\~}65\%$ 정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재료특성 및 국내터널 시공방법 반영과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규격제정이 시급히 요망되었다.

도데실기를 함유한 제4급 암모늄염의 합성과 감량촉진제로서의 응용 (Sytheses of Quaternary Ammonium Salts Containing Dodecyl Group and Theirs Applications as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 박진우;함현식;박홍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86
    • /
    • 1995
  • Som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dodecyltrimethylammonium chloride(DTAC), 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DTAB), dodecyldimethylammonium chloride(DDBAC), polyoxyethylene(2) dodecylbenzylammonium chloride(PDBAC), and 1-(2-hydroxyethyl)-1-benzyl-2-undecylimidazolinium chloride(AEUIC), were synthesized. As a result of weight loss treatment of th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with NaOH to PET fiber, the increase of weight loss was the order of PDBAC > DDBAC > DTAC > DTAB > AEUIC. Among the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AEUIC hardly showed weight loss effect, and it was separated into two layer in the NaOH solution 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 above 6g/L, but POBAC showed good weight loss effect of 21% that approach almost to a theoretical weight loss, 21.6%, at the concentration above 8g/L.

실리케이트계 급결제를 혼입한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응결시간 및 압축강도 발현 특성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Gains of Glycocalix Coating Materials with Silica-based Accelerating Agents)

  • 정윤지;윤현섭;양근혁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105-111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화학적 열화 및 생물학적 열화에 노출된 콘크리트의 보호를 위해 개발된 글라이코 캘릭스(glycocalix) 코팅재의 응결속도 및 압축강도 발현에 대한 실리케이트계 급결제 혼입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적용처에 따라 제안된 단면 뿜어 붙이기용 및 라이닝 공법용 코팅재 배합에서 실리케이트계 급결제의 첨가량을 10mL/L, 25mL/L 및 40mL/L로 변화하였다.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경화속도는 박테리아 고정화 재료 양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는데, 40mL/L의 급결제를 첨가한 단면 뿜어 붙이기 및 라이닝 공법용 배합의 종결시간은 각각 80분 및 318분이었다. 급결제를 첨가한 글라이코 캘릭스 코팅재의 강도 발현은 급결제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일반 코팅재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 검토 (Alkali-Silica Reaction of Accelerating Agents in Shotcrete)

  • 최보라;홍병탁;이재완;이수진;박해균;원종필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대회 제22권1호
    • /
    • pp.323-32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알칼리-실리카 반응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따라서 국내산 1종 시멘트에 급결제(알루미네이트계, 알칼리프리계, 시멘트광물계)를 혼입하여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대한 영향을 검토해 보았다. 시험 결과 비반응성 골재를 사용한 경우 급결제의 등가알칼리 함량이 달라져도 알칼리-실리카 반응으로 인한 유해한 팽창은 발생하지 않았다.

  • PDF

급결제를 사용한 외장재용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 (Strength Characteristics of 3D Printing Concrete for Exterior materials using Accelerating agent)

  • 서대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267-272
    • /
    • 2021
  • 본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건축물의 다양한 외벽 형상에 따라 적용이 가능한 비정형 건축물에의 적용을 위해 3D 프린팅 기법을 적용한 외장재의 제조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진행하였다. 3D 프린팅 외장재의 출력성과 적층성의 확보를 위하여 3D 프린팅 콘크리트를 몰드에 타설한 시험체와 급결제를 사용한 출력물 시험체의 단위중량과 강도특성을 분석하였다. 몰드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에 비하여 급결제를 사용한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단위중량이 3.5%~5.0% 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압축강도는 몰드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비하여 3D 프린팅을 통한 출력물의 압축강도는 36%~46%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휨강도의 경우 몰드에 타설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에 비하여 3D 프린팅을 통한 출력물의 압축강도는 36%~46%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급결제를 사용한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강도 특성에 관한 영향은 2.0~5.8%정도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3D 프린팅 출력시 급결제의 사용에 따른 강도 특성에 영향은 출력에 의한 강도 특성의 감소 보다 적은 것으로 나타나 3D 프린팅 외장재 제조시 급결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합판용 페놀수지 접착제의 속경화 (Fast-Curing of Phenol·Formaldehyde Resin Adhesives for Plywood)

  • 노정관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3호
    • /
    • pp.33-39
    • /
    • 1995
  • To accelerate the cure of phenolic resin adhesives for plywood, the complexation with melamine resin and the addition of cure-accelerating agents were discussed. The hot-pressing temperature and time of phenol resin could be decreased by complexation with melamine resin. but the wet glue-joints strength of phenol melamine resin was lower than that of ordinary phenol resin in case of plywood using spruce veneer at core layer. Among the tested cure-accelerating agents. the sodium carbonate showed the greatest effect on shortening gelation time of phenolic resin. In addition, in the manufacturing scale test, the hot-pressing time of phenol resin with the addition of 5 parts sodium carbonate could be shortened about 20% compared with ordinary phenol resin which had same glue-joints properties.

  • PDF

발효촉진제로 속성 발효한 까나리 어간장의 화학 및 미생물적 특성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 Manufactured with Fermentation Accelerating Agents)

  • 김우재;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47-454
    • /
    • 2003
  • 동해안 특산 어종인 까나리어간장을 속성제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발효촉진제를 첨가하여 제조한 제품의 숙성 중 화학성분 및 생균수 변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총 creatine 량은 오징어내장첨가구는 숙성 2개월째, 나머지 첨가구에서는 3개월째까지 증가하였다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TBA가는 숙성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한 다음 일정수준 유지 내지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전 숙성기간에 걸쳐 오징어내장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다른 첨가구들 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시료에 있어 glutamic acid, alanine, valine, leucine, 및 lysine 등의 함량이 높았고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생균수는 모든 실험구에서 숙성 중 증가하였다가 숙성 후기에 감소하였으며 오징어내장 첨가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koji 첨가구가 향기 및 맛에 있어서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이 오징어내장첨가구이었다. 속성 까나리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속성 발효제로서 오징어내장 및 koji는 발효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독특한 맛을 형성하므로 까나리 어간장의 속성제조에 발효촉진제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보여 진다.

감량촉진제의 구조에 따른 PET섬유의 감량가공효과 (Effects of the Structure of Weight Loss Accelerating Agents on the Weight Loss in Alkaline Hydrolysis of PET Fibers)

  • 전동우;김승진;근장현;박홍수
    • 공업화학
    • /
    • 제5권1호
    • /
    • pp.63-73
    • /
    • 1994
  • n-Tetradecyld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TDAC)와 n-tetradecyltrimethylammonium methyl sulfate (TTAM)를 합성하고 각각에 물을 가하여 감량촉진제 용액 TDACW와 TTAMW를 각각 제조하였다. 제조된 TDACW와 TTAMW 각각을 NaOH와 병용하여 PET섬유를 감량가공처리한 결과, 감량률은 TDACW가 TTAMW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으며, 적정 처리농도는 약 $8g/{\ell}$, 처리시간은 60~90분 및 처리액량비는 1:40~1:50이었다. 밀도와 결정화도는 감량률이 증가할수록 상승하였고, 인장강도는 역으로 감량률이 증가될수록 저하되었다. 또한 감량촉진제와 PET섬유와의 반응메카니즘을 고찰하여 감량촉진제가 촉매로서 작용함을 밝혔으며, SEM으로 감량가공된 PET섬유의 표면형태를 관찰하였다.

  • PDF

현장 적용을 위한 3성분계 콘크리트의 조기강도 특성 (The Properties of Early Strength of Concrete Containing Slag and Fly-ash for In-situ Application)

  • 정철희;김경민;이진우;배연기;이재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I)
    • /
    • pp.497-500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slump, air content and time of set in fresh concret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hardened concrete containing slag powder and fly-ash. Replacement rate of FA is fixed on 10$\%$ and replacement rate of slag powder are 0$\%$, 20$\%$ and 30$\%$. Also AE water-reducing agents(standard type, accelerating type) a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Slump flow of concrete using AE water-reducing agents is similar. Flowability is incresed when replacement rate of slag powder is increased due to slag powder's ball bearing reaction.(2)Time of set of concrete using accelerating type agent is more faster than that of concrete using standard type agent because of ettringite generation that promote setting.(3)Early strength of three-component concrete using accelerating type agent is higher than that using standard type agent. Therefore cumulative pore is reduced due to ettringite

  • PDF

촉진형 AE감수제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최적공기산정을 위한 조기강도 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Early-strength Development of Concrete Using Accelerating AE Water Reducing Agents for the Estimation of Optimum Duration)

  • 이주헌;사순헌;지석원;전현규;서치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논문집
    • /
    • pp.91-94
    • /
    • 2006
  • The way to shorten a construction period is considered to an very important technology development element as reducing the formwork removal periods with promoting strength revelation own concrete. This study executed experiment to review usability of early strength revelation chemical admixture which is judged in ways effective with premature removal of form about concrete. Use of early strength revelation AE water reducin admixture is apperaing so that strength revelation by early hydration promotions is excellent. The results of being applied proposed work process are that compressive strength are appeared more than 5MPa within 16 hours so that removal of vertical form was possible.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satisfied with a more than 2/3 of specified concrete strength for removal of horizontal form are appeared in 42 hours of 27 MPa proportioning strength, in 36 hours of 30, 35 MPa proportioning strength so that the 6 days cycle time of concrete structural frame work is cut by 2 days as shortening delayed period in works of removing slab forms. So construction cost reductions and a construction period shortening are judged so that it is possi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