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nthopanax senticosus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초

가시오가피와 탐라오가피의 산지별 및 부위별 Eleutheroside B, E 및 β-Glucan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Eleutherosides and β-Glucan Content from Different Parts and Cultivating Areas of A. senticosus and A. koreanum)

  • 김영현;배다빈;이종석;박선옥;이상종;조옥현;이옥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2082-2087
    • /
    • 2013
  • 오가피의 주요 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eleutheroside B와 E 그리고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beta}$-glucan 함량을 강원도(A. senticosus), 충남(A. senticosus), 제주도(A. koreanum) 산지별 오가피의 뿌리, 줄기, 잎, 열매 부위별로 각각 분석한 결과, 충남 오가피는 eleutheroside B가 검출되지 않는 것에 반해 특이적으로 높은 eleutheroside E를 함유하고 있었으며, 제주도 산지 오가피는 뿌리, 줄기, 잎, 열매모든 부위에서 eleutheroside B와 E가 함께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서로 다른 산지에서 재배되었지만 지역과 품종에 상관없이 줄기 부위에 가장 많은 eleutheroside B와 E가 함유되어 있었으며, ${\beta}$-glucan 또한 강원도(7.46%), 충남(3.41%), 제주도(5.05%) 산지 오가피 모두 줄기 부위에 가장 많았다. 오가피는 같은 품종이더라도 재배지역에 따라 eleutheroside B와 E 그리고 ${\beta}$-glucan 함량에 차이를 보여주었고 산지와 품종에 상관없이 줄기 부위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오가피 소재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제품의 목적에 따라 산지 및 부위의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산지에 따른 유효성분 차이에 있어서 탐라오가피는 제주도 특산식물로 오가피를 이용한 제품개발 시 지표성분을 표준화하는데 있어서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오가피 추출액의 저장조건에 따른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 during Storage)

  • 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04-208
    • /
    • 2005
  • 오가피 열수추출액의 유통 품질의 변화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오가피($8{\sim}20$ mesh)를 열수 추출한 액을 nylon/PE(0.08 mm) pouch로 밀봉포장하거나 포장하지 않고, 가온조건(40, $60^{\circ}C$)에서 10일간 보관하면서 1일 간격으로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보관 중 추출액의 탁도, pH, 총폴리페놀 함량 및 DPPH 유리기 소거능 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저온과 포장에 의해 감소가 억제됨을 보였다. 적정산도는 고온에서 증가함을 보였으나 포장에 의해 증가가 억제되는 경향이었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포장과 온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품질변화 kinetics를 model화 하기 위하여 반응속도론에 상사시켜 본 결과 오가피 추출액의 품질변화는 1차반응 속도식이 적합하였으며 품질변화 속도상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Arrhenius 식에 잘 따른다고 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가피 열수추출액의 부패억제와 항산화능 유지를 위해서는 포장과 저온유통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에서 polyacetylene계 화합물인 falcarinol의 동정 (Separating of Falcarinol from Acanthopanax senticosus)

  • 김성주;장규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60-363
    • /
    • 2005
  • 가시오가피에서 Polyacetylene 성분 중 falcarinol을 탐색하기 위해 TLC, HPLC/PDA, GC, GC/MS를 이용하여 falcarinol 표준품과 소분획물 사이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가시오가피에서 falcarinol을 동정하였다.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silica gel column상에서 용매의 극성차이에 의해 6개의 분획물을 얻었고, 6개의 분획물과 falcarinol 표준품과의 TLC 상에서 전개시킨 결과 fraction 6 분획물에서 falcarinol과 동일 band의 물질을 분리하였다. Fraction 6의 분획물과 falcarinol 표준품을 HPLC/PDA로 분석한 결과 falcarinol 표준품의 peak와 동일 retention time의 peak를 fraction 6에서 분리하여 200-340nm 상에서 UV spectrum을 관찰한 결과 동일한 UV spectrum pattern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형적인 polyacetylene 화합물의 UV spectrum pattern이었으며, 기존에 보고된 falcarinol의 UV spectrum과도 동일하였다. GC로 TMS 유도체화 전,후의 retention time을 확인한 결과 표준품과 fraction 6에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TMS 유도체화 후에는 7.5분에서 8.5분으로 약 1분 정도 retention time이 증가하였고, detection 감도 또한 증가하였다. Falcarinol 표준품과 fiaction 6 분획물을 TMS 유도체화 후에 GC/MS로 mass fragment ion을 분석한 결과 표준품과 동일한 경향을 보였고 이는 기존의 보고와도 일치하였다(16). 본 실험결과들로 미루어 가시오가피에도 polyacetylene 성분인 falcarinol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이크로파, 초음파 및 볶음 전처리가 오가피의 열수 추출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crowave, Ultrasound and Roasting Pretreatments on Hot Water Extrac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 정헌식;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6-150
    • /
    • 2005
  • 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로부터 영양 및 기능성 성분의 열수추출 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전처리 및 방법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오가피를 분쇄, 체질$(8\~20\;mesh)$하고 초음파(20 kHz), 마이크로파 (2,450 MHz) 또는 볶음$(180^{\circ}C)$ 처리를 10분 동안 실시한 후 물을 용매로 상압$(100^{\circ}C)$ 추출과 가압$(121^{\circ}C)$ 추출을 각각 2시간 동안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전처리는 성분들의 추출수율과 유리기 소거능을 증가 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가용성 고형물, 총당 및 페놀성 물질의 추출수율은 마이크로파와 초음파에 의해, 단백질의 추출수율과 유리기 소거능은 볶음처리에 의해 더욱 증가됨을 보였다. 상압추출보다 가압추출에 의해 가용성 고형물, 총당, 단백질 및 페놀성 물질의 추출수율이 증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로써 초음파, 마이크로파 및 볶음 전처리 및 가압추출은 오가피의 추출효율 향상에 유효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가시오갈피의 수집종과 배양조직에 따른 체세포배발생 및 재분화 식물체의 순화 (Effect of Genotype and Explant on Somatic Embryogenesis and Acclimatizat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 이성호;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17-221
    • /
    • 2002
  • 가시오갈피의 꽃봉오리 엽병, 줄기, 줄기마디, 뿌리, 꽃대, 잎 등 조직으로 부터 캘러스가 유기 되었으며 캘러스 유기재료로는 꽃봉오리, 엽병, 줄기, 줄기 마디, 뿌리 등이 적합하였다. 캘러스 유기율은 한국산 가시오갈피가 일본산과 러시아산보나 높게 나타났다. 캘러스유기에는 2.4-D와 TDZ조합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한국가시오갈피의 엽병, 줄기, 액아, 뿌리절편으로부터 형성된 캘러스에서 배발생 캘러스가 형성되었으며 줄기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한국, 일본, 러시아산 가시오갈피 모두에서 배발생캘러스가 형성되었다. 엽병에서 형성된 캘러스로부터 배발생캘러스의 유기율이 가장 높았으며 2.4-D 1mg/l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액체배지에서의 체세포배의 생장에는 생장조절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MS기본배지가 적합하였다. 기내에서 잎과 뿌리 분화가 이루어지고 건실하게 자란 식물체를 온실에 옮겨 순화하였을 경우 99.1%의 생존율을 보였다.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가시오갈피의 리그난 함량 (Lignan contents in Acanthopanax senticosus by HPLC)

  • 김혜민;조선행;국순자;이상현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3호
    • /
    • pp.479-484
    • /
    • 2011
  • A reverse-phase system of HPLC using a linear gradient of acetonitrile and deionized water was developed for the quantification lignans, eleutherosides B and E, in Acanthopanax senticosus. The HPLC system consisted of linear gradient of acetonitrile and deionized water, and UV/VIS detection was set at 210 nm. Both eleutherosides B and E contents in different parts of A. senticosus were determined. As a result, the contents of eleutherosides B and E were measured in the leaves (trace amounts and 0.029 mg/g, respectively), stems (0.107 and 1.015 mg/g, respectively), roots (0.026 and 0.390 mg/g, respectively), and fruits (0.022 and 0.043 mg/g, respectively). Moreover, eleutherosides B and E in the water extract were found 0.011 and 0.171 mg/g, respectively.

가시오가피, 당귀와 산수유 성분이 함유된 메주로 제조한 전통 된장의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Doenjang Prepared using a Meju Containing Compon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gelica gigas, and Corni fructus)

  • 이임진;한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0-97
    • /
    • 2009
  •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prepared with a meju containing componen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Angelica gigas and Corni fructus during storage were evaluated. Three types of doenjang produced using each of these components showed lower Hunter's L and a values than the values of the control during the initial stage of storage: however, these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control after 60 days of storage. Doenjang containing A. gigas showed a similar degree of browning to that of the control during the early stage of storage, while the degree of browning observed in the other samples was much higher than that og the control during this period. Despite these initial differences, the browning in all samples became similar after extended storage. The level of acidity increased gradually for up to 60 days, after which it decreased slightly. The pH of all treatments decreased with storage time. The amino-N contents of all types of doenjang increased gradually, reaching peak values after 60 days. Doenjang with A. senticosus and A. gigas had a strong characteristic flavor that reduced the native flavor of doenjang. Doenjang with C. fructus showed a similar overall palatability to that of the control.

Antioxidant and NO-scavenging Activities of Acanthopanax senticosus var. subinermis Leaf Extracts Prepared Using Ethanol and Extrusion Processing

  • Lee, Sung-Hee;Oh, Hea-Young;Leem, Jae-Yoon;Yoon, S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5호
    • /
    • pp.1124-1131
    • /
    • 2009
  • Acanthopanax senticosus has been used in East Asia as a traditional medic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an extraction method for A. senticosus var subinermis (ASvS) leaves to improve thei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Six extracts were prepared: extracted with water (W), ethanol (Eth), water or ethanol after ultra high pressure (WP, EthP), and water or ethanol after an extrusion process (WEx, EthEx). Diphenyl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bility showed that all extracts had a significant antioxidant activity. In anti-inflammatory activities, Eth and EthEx significantly inhibited the release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nterleukin (IL)-$1{\beta}$ independent of cell viability in RAW 264.7 macrophage cells. Inducible NO synthase (iNOS) prote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EthEx. These findings present that Eth and EthEx extracts of ASvS leaves have anti-inflammatory activities, and EthEx extract suppresses LPS-induced NO through the down-regulation of iNO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가시오갈피 지엽의 급여가 흑염소의 생산성,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Leaves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Characteristics in Korean Black Goats)

  • 황보순;조익환;이성훈;김성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9-248
    • /
    • 2006
  • 본 연구는 가시오갈피 지엽의 사료가치와 고품질 기능성 축산물 생산에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가시오갈피 지엽의 첨가 비율에 따른 흑염소의 사료 섭취량, 소화율, 질소 축적율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2두의 숫흑염소를 네 처리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3두씩 완전 임의배치하여 개별대사케이지에 수용하였고, 실험기간은 21일간 지속되었다. 처리구는 대조구 및 가시오갈피 지엽을 10, 20 및 30%수준으로 첨가하여 네 처리구로 나누었다. 결과를 살펴보면, 시험사료의 화학적 조성분은 조단백질 함량이 대조구가 13.39%이었고, 가시오갈피 시험구는 첨가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조단백질 함량이 낮아졌다. ADF와 NDF 함량은 대조구가 가시오갈피 첨가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고, NFC 함량은 가시오갈피 첨가구가대조구 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 섭취량은 시험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가소화 건물량에서는 가시오갈피를 20과 30% 첨가한 구가 다른 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대사체중당 건물 섭취량과 체중에 대한 건물섭취 비율은 가시오갈피 20% 첨가구가 가장 높았고, 가시오갈피 30% 첨가구가 가장 낮았다(p<0.05). 조단백질, ADF 및 NDF 소화율은 가시오갈피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은 소화율을 보였고, 특히 가시오갈피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질소 축적량과 질소 축적율은 가시오갈피를 20과 30% 첨가한 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혈장내 요소태질소농도(PUN)는 가시오갈피 30% 첨가구에서 가장 낮았고, 혈장내 triglyceride는 가시오갈피 모든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고려할 때 가시오갈피 지엽을 20% 수준으로 첨가시 소화율, 질소 축적, 혈장 내 요소태 질소 및 triglyceride 농도를 개선시켰고, 이는 흑염소의 생산성 향상에 잠재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MG-63 조골세포 증식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효과 (Antioxidant and Cell Proliferation Effec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for Extract in Human Osteoblast-like MG-63 Cell Line)

  • 임소영;임재윤;이충수;장여정;박정우;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94-70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부위, 추출 용매, 산 가수분해 전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고자 FRAP assay를 실시하였으며, 총 페놀 함량을 측정하고,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총 페놀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가시오가피 추출물 처리가 조골세포 증식률과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가시오가피의 골다공증 예방 가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과 FRAP법으로 측정된 항산화 활성 간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은 함유된 폴리페놀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가시오가피에 함유된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산 처리 여부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시오가피의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하여 조골세포 증식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오가피의 물 추출물은 조골세포에서 염기성 인산 분해 효소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 시켰다. 이는 가시오가피의 부위와 추출 용매 및 전처리 과정에 따라 추출되는 활성 성분의 종류와 양에 차이가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결과는 가시오가피의 가공법을 선정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시오가피의 항산화 활성과 조골세포 증식 효과가 제시되었다. 한국산 가시오가피를 건강 기능 식품 소재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동물 실험과 인체 시험을 통한 심도 있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