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probation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7초

The Educational Effects of Residential College Program in Yonsei Engineering College

  • Kang, So Yeon;Han, Seung Heon;Cho, Hyung Hee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5호
    • /
    • pp.3-7
    • /
    • 2014
  • The engineering college in Yonsei University started the RCP(Residential College Program) at Song-do International Campus in 2013. Every first-year engineering student is required to live on-campus at their first semester. They had integrated educational experiences combined with extracurricular community activities as well as curricular activities. The residential learning communities were to de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in probation and enrich campus culture. The living and learning communities could help students achieve academic success and to lower the rate in dropping. We ran a survey over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RCP. Academic achievement and reten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ones in 2011 and 2013.

기독교 대학에서의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 설계 및 제안 (Model Design and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at a Christian University)

  • 이성아;권경만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203-23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분야들을 선행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그 영역별 요인들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후, 설계 원리를 수립하고,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는 연구이다. 우선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의 역량, 대학생활 및 학업 저성취자 연구, 학사경고자 연구 등을 토대로 어떤 요인들이 학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특히 학업을 실패하도록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으며, 그것들을 토대로 진단할 수 있게 하위요인들을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설정된 영역은 심리적 차원, 학습적 차원, 진로적 차원으로 나누어 졌고, 기독교 대학 학생들을 위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기에, 신앙 영역도 요인으로 설정하여 완성하였다. 그 후에는 각 영역별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는데, 초안 모형에서는 신앙영역 하위에 신앙성숙도와 신앙훈련, 심리영역 하위에 긍정적 사고, 정서 조절, 자아 존중감, 학습역역 하위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마지막으로 진로영역 하위에 진로성찰, 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후 기독교인이면서 교육학 박사로 대학 및 교육 관련 기관에 재직 중인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델파이를 위해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모형의 적합성, 모형을 이루는 영역, 그 하위의 요인 등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초기 4개 영역 12개 하위영역이었던 모형은 하위 요인 기준으로 신앙훈련, 정서조절, 진로성찰의 하위요인이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러 삭제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4개 영역의 9개 요인, 즉 신앙-신앙성숙도, 심리-긍정적 사고, 자아 존중감, 학습-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진로-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인을 갖춘 모형으로 완성되었다. 본 연구 대학생, 특히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이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진단 도구 개발의 선행적 연구로, 설계 모형과 그 하위 영역, 요인 등을 제안하는 연구였다. 따라서 향후 본 모형을 토대로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진단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개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패널자료를 활용한 대학생 중도탈락 결정요인 분석 (The Student Determinants of College Non-completion)

  • 황상현;이진영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361-373
    • /
    • 2022
  • Purpose - This paper analyzes the student determinants of college non-completion and estimates the effects of each determinant on college non-comple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We use student panel data from a large Korean university from 2011 to 2021. Our results are from estimation of fixed-effects logit model. Findings - The results show that grade point average,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with teachers, and financial aid are the main determinants of college non-completion. Academic probation, which is defined as any person who has a cumulative grade point average below a one point seven five, increases the non-completion rate by 2.6 percentage points and an one-point rise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dex reduces the rate by 0.1 percentage points. The effects of each determinant are heterogeneous across student sub-groups which are separated by gender, nationality, and academic discipline.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ailored support programs for academically discouraged students that incorporate student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are necessary to increase college completion rates and degree attainment.

학습상황진단도구 개발 사례 연구 : K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 이성아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409-444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의 학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진단하기 위한 측정 도구를 개발하여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들의 학업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평가 영역을 구성하고, 그 도출된 영역들을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적절한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도구는 선행 연구를 통해 문항을 구성하였고, 델파이 연구를 통해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K대학의 신입생 182명의 응답값을 분석하여 신뢰도와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의 결과 신뢰도는 평가 영역별로 신뢰도 .869~.955로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문항-총점간 상관분석의 결과 대부분의 문항이 .30~.80사이로 적절하였고, .80이 넘는 문항은 다중공선성값 10 이하로 적절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로 도출된 요인과 문항간의 관계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 및 검증하여 최종도구 개발 및 제안하였다.

성별 근로자의 직업만족도와 관련요인 (Job Satisfaction Comparison Between Gender and The Influencing Factors on Job Satisfaction)

  • 박은옥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31-141
    • /
    • 2001
  • Purpose: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employment characteristics and job satisfactions by gender and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demographic status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Method: Social statistics survey data collected by Ministry of Statistics in 1998 were used for the secondary analysis in the study.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which were consisted in 12 items such as task, promotion, placement, wage, benefits, future in the work, working environment, human relationship, working hours. Result: The results show that more than 50% of women were working as a part-time employees. Their education level were lower than men. Women workers were unmarried at higher percents than men. Men were showed more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 their job than women. Men also had higher job satisfaction with work task, promotion, placement, and human relation. Women had shown higher job satisfaction with wage, working environment, and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 Employment status had the most important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And, living status satisfaction, education,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and sex were significant for the job satisfaction. 33.34% of the variance in the job satisfaction were accounted for by these variabl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 of job satisfaction between gender and employment status was the most predictive factors on the job satisfaction. Women had more unstable employment status such as part-time, employment on probation, or family employer without wage than men. Stability of employment could be considered as a strategy for enhancing job satisfaction for wo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