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chievement level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9초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학생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socioeconomic status on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student's ego resilience)

  • 김영은;엄명용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4호
    • /
    • pp.5-30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갈수록 심화되는 계층 간 교육격차를 극복하거나 완화하는 기제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학생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가정 내 사회자본의 한 형태인 부모의 정서적 지지, 그리고 학생 자신의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 1차 및 2차 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의 정서적 지지 및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정 내 사회자본의 하나인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부모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업성취에 대하여 직접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정서적 지지를 보완하거나 학생의 자아탄력성을 강화함으로써 교육격차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성별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차이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Test Anxiety of Middle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Gender and English Achievement)

  • 임미란;조진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008-101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의 남 여학생과 영어 학업성취도에 따라 구분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중학생 98명으로 이들 중 남학생은 36명, 여학생은 62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 수준 측정을 위해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성별과 성적으로 분류된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성별로 나누어진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영어 학업성취도로 분류된 상 하위의 두 집단 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시험불안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연구는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도구와 연구 대상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보다 폭넓게 이루어져야 하겠다. 또한 두 집단 간의 다른 정의적 변수의 차이에 관해서도 이루어져야 된다고 본다.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on Smartphone Addiction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 정인경;김정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89-300
    • /
    • 201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on smartphone addiction i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convenient sample drawn from 306 students at six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21.6% of students were at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The high risk of smartphone addiction group used smartphone longer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In addition, the high level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groups showed higher smartphone addiction scores compared to the lower level of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groups. Smartphone addi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burnout. Furthermore, the results show that academic achievement and attending class, academic stress and dis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in adolescents, academic stress should be reduced in adolescents as well as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help students release or control their academic stress.

시·도교육청에 의한 일반계고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 예측에 관한 탐색적 연구: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적용 (A Exploratory Study on the Impact of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on Dynamic Change of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High School: Applying System Dynamics)

  • 하정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387-39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시·도교육청의 변인을 확인하고, 시·도교육청 지원에 따라 학업성취도가 동태적으로 어떻게 변화하는지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6개 시·도교육청 총 606개 일반계고의 국가 수준학업성취도(국어·영어·수학 교과의 보통학력 이상 도달 비율) 결과를 다층모형과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시·도교육청 수준의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과 교원행정업무 경감 노력,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시·도교육청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책 실험을 통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동태적 변화를 예측한 결과, 교원연수 활성화 노력이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가장 큰 영향 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노력, 교원 행정업무 경감 노력 순이었다. 단위학교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위해 시·도교육청의 기능은 교육 책무성에 기반을 두어야 하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다 강화된 정책을 수립·운영할 필요가 있다.

학습자 배경변인과 국가수준 영어 학업성취도 (Students' variables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English)

  • 장경숙;이의갑;김미경
    • 영어어문교육
    • /
    • 제13권3호
    • /
    • pp.253-273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issues on how students' variables are related to their educational achievement in English subject.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is conduced every year to measure educational progress and achievement, and to monitor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appropriatenes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also serves the purpose to collect background information affecting educational achievement. The background information is gathered by using questionnaires for students,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mong the student variables in the national level educational achievement assessment is self-regulated learning, which is composed of self-efficacy, self-control and learning strategy. In the NAEA in 2005 it was found that the features of self-regulat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est scores in English. The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trend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est scores in English and information on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for learning and teaching.

  • PDF

협동기술을 적용한 구성주의적 수업의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 황희숙;김주안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224-24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cience inquiry ability,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ience related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57 2nd grad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wo groups received 14 sessions training for about 1 month which was done by researcher. The experiment group received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and the control group received teacher-centered instruction.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consists of five phases: problem recognition, hypothesis establishment, experiment observation, clarification, and application ph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applying cooperative learning skil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self-regulated learning and science attitude impro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but had no significant improvement of science inquiry ability. And constructivist science instruction had an effect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of the students having high level science inquiry ability. Research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eaching are discussed.

  • PDF

루브릭의 인지여부가 코딩교육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cognition of rubrics on the learning effect of coding education)

  • 이애리;김창희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01-211
    • /
    • 2017
  • This study provided a rubric prior to the performance of a task in a coding class and aimed to verify its effect. As for the research contents, this study redesigned the rubric developed in the preceding stud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resented that to the students and conducted a verification of its effects on the computer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ducting a class. For this purpose, with 41 students in an experimental group, to which the rubric was presented to conduct the class and 39 students in a control group to which the rubric was not presented to conduct the class, this study conducted a six-week clas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ir self-efficacy in the computer and a test to measure their academic achievement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s a result, there were more positive effects on both computer 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group to which a rubric was presented and in which a rubric evaluation was conducted than in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noted that the evaluation method presenting more specific and more detailed standards for performance and the level of the standards would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learners' learning.

The Role of Professors' Intellectual Stimulation for Intellectual Growth among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h

  • Hahm, Sangwoo;Chen, Linl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3호
    • /
    • pp.45-53
    • /
    • 2020
  • Professor's role is one of various way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Professors can be role models for students, motivate them to achieve higher performance, and have various influences on them. Therefore, depending on professor's role, students' attitudes and behaviors may be different, and their academic achievements may also be differen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intellectual growth that can be regarded as Chine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us, the importance of professor's intellectual stimulation behavior was emphasized and it was clarified as a way to improve the intellectual growth. Furthermore, students with a higher level of growth need strength,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intellectual growth because they put a premium on their self-growth. In order to increase the influence of professor's intellectual stimulation, we focused on the student's growth need strength. Thus, this research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growth need strength betwee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tellectual growth. The results showed that intellectual stimulation improved intellectual growth. In addition, growth need strength positive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intellectual growth. Therefore, it suggested the implications that professors should behave appropriate behavior according to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에 관한 종단연구 :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하여 (A study on longitudinal relationship with academic stress, math self-efficacy, and math class engagement : Using auto regressive cross-lagged model)

  • 송효섭;정희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2호
    • /
    • pp.359-373
    • /
    • 2022
  • 본 연구는 경기교육종단연구(GEPS)의 2015년(중1)부터 2017년(중3)까지의 자료를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에 적용하여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의 종단적 관계와 성취수준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성취 상·하위집단 모두 학업스트레스, 수학자기효능감, 수학수업참여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수학수업참여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하위집단은 학업스트레스가 수학수업참여를 매개하여 수학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학업스트레스가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따라 차별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수학교사는 이와 같은 특성을 교수·학습전략에 반영하여 학생들의 수학자기효능감 향상 및 수학수업참여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가족식사가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생을 중심으로 - (Effects of family meals on eating behavior, academic achievement and quality of life - Based on the students of middle school at Goyangsi, Gyeonggido -)

  • 신우경;강소영;김유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9-15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가족식사가 청소년들의 식생활태도와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경기도 고양시 소재 중학교 1, 2, 3학년 남녀학생 302명을 대상으로 가족식사를 빈도, 규칙, 인식의 각 요인으로 나누어 청소년의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그리고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조사 항목은 일반적인 가족식사 패턴과, 가족식사는 빈도, 규칙, 인식의 세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 각 요인을 조사하였다. 식생활태도는 중학생의 식생활 특성을 반영하여 영양, 배려, 예절, 행복감의 세부항목으로 총 19개의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학업성취도에 관한 설문은 각 과목에 대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 4항목, 정신적 건강 관련 삶의 질 10항목, 그리고 경제적 만족도와 관련한 삶의 질 3항목의 총 17개 항목으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형태에 따라 가족식사 규칙(p<0.05)과 인식(p<0.05)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이는 반면, 맞벌이여부에 따라서는 가족식사 빈도(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가족식사 요인에 따른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빈도와 인식에 따라 식생활태도(빈도 p<0.001; 인식 p<0.001),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인식 p<0.05), 삶의 질(빈도 p<0.001; 인식 p<0.001)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반면, 규칙의 경우 학업성취도를 제외한 식생활태도(p<0.001)와 삶의 질(p<0.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가족식사 요인과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 간 관계는 모두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가족식사 요인이 식생활태도, 학업성취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식사 빈도와 식생활 태도가 학업성취도(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5 및 삶의 질(빈도 p<0.001; 식생활태도 p<0.001)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식사 요인 중 빈도가 학업성취도(${\beta}=0.298$ p<0.001)와 삶의 질(${\beta}=0.298$ p<0.001)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컸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족식사의 중요성을 중학생들과 학부모, 교사에게 교육하고 가정과 학교에서 올바른 지도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