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ademic achievement level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9초

과학과의 핵심성취기준에 근거한 단위시간 수업전략 효과 (The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unit time based core achievement standard of science)

  • 이용섭;김순식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69-17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the effects on improvemen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based on the core learning standards of science. The researcher selected experimenter and started this study as a graduate student who is majoring in science education, experimenter chose to study 48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B city for research group(24 students), Comparison group(24 student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the end of July 2014. The teacher who is doing activity of professor in research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is science education specialist. Researcher and experimenter frequently exchange their opinions for control variables of teache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ased on unit time strategies based on core achievement standards classes ar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lementary school teacher has difficulty in teaching for all subjects based on unit time strategies. Second, based on unit time strategies based on core achievement standards classes showed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perception of students. Thus it can be seen that teaching strategies of unit time based on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is effective to academic achievement improvement. The proposal for further study based on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is needed to study the teaching methods that have practical and theoretical study time and lesson application opportunity for teaching strategies of curriculum unit time. Second, experimental studies that using strategies of unit time based on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s are needed about learning method that can be applied in a variety of subjects.

웹기반 이러닝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e-learning)

  • 박지혜;이영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7
    • /
    • 2018
  • 웹기반 이러닝 학습자의 증가로 이러닝 학습효과 증진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은 이러닝 학습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 원격대학교 재학생 3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웹기반 이러닝 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서 이러닝 학습의 성공적인 지원과 설계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웹기반 이러닝 학습에 있어서 자기조절학습전략과 인지된 성취도의 관계에서 교수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재감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된 성취도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웹기반 이러닝 학습 설계 시, 학습자의 교수 실재감과 사회적 실재감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학업성취도 향상 요인에 대한 청소년의 지각 (Korean Students' Attributions on Academic Achievement)

  • 황매향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2호
    • /
    • pp.117-129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자신의 학업과정을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학교공부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을 받는 시간, 개인공부시간이 자신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분석해 보았다. 한국청소년패널 1차년도 자료와 3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중학교 2학년 3,449명과 고등학교 1학년 3,125명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로 첫째, 학교수업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 수강시간, 개인공부시간의 학교 성적 향상 효과는 5점 리커트 척도에서 3점과 4점 사이의 평균을 보이는데,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사교육, 개인공부, 학교수업 순으로 효과적이라고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수업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 수강시간, 개인공부시간에 따라 각각의 학교성적 향상효과에 대한 지각이 달라지는가에 대한 분석에서는 학교수업를 열심히 한 정도, 사교육 수강시간, 개인공부 시간 각각과 학교성적 향상효과에 대한 지각은 정적 상관을 보이는데, 학교수업, 개인공부, 사교육 순으로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육 수강시간과 학교성적 향상효과의 지각과는 상관계수가 .12 이하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실제 학업성취도와의 상관분석에서도 동일한 경향성이 나타나는데, 학교수업이 개인공부보다 학교 성적과 더 높은 상관을 보이고, 사교육은 상대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

선수학습 상기 수업이 초등 5학년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Prerequisite Learning Reminding Lesson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rs)

  • 김윤영;윤마병;이종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211-224
    • /
    • 2016
  • 본 연구는 선수학습 상기 수학 수업이 초등 5학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선수학습 상기 수업을 기반으로 하는 실험 집단과 전통적인 수학 수업을 수행한 비교 집단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수학습 상기 수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실험집단 학생들의 학업 성취를 수준별로 구분한 집단의 비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자기효능감에 대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선수학습 상기 수학수업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에서 자신감과 수학 과제 난이도 선호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자기조절 효능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Interpersonal relationship, body image,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SNS use time of college students)

  • 신민정;편하형;김현정;문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257-264
    • /
    • 2019
  • 본 연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학생 144명에게 SNS 사용시간,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를 확인하고자 t-test와 ANOVA로 파악하였고, 사후 검정은 Duncan's multiple test로 확인하였다. SNS 사용시간에 따른 대인관계, 신체상,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파악하였다. 대상자 144명 중 남자는 55명(38.2%), 여자는 89명(61.8%), SNS 사용 시간 여자 2.2시간, 남자1.9시간이었다. SNS 사용 시간과 대인관계 유의한 상관관계 양적 상관을 보였는데(p<.014) 특히 하위요인 중 친밀감과 높은 수준의 양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신체상 및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인관계와 신체상 간의 관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03).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the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to the academic achievement)

  • 유지연;박창순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6권1호
    • /
    • pp.123-13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11년도 사교육비 조사의 자료를 이용하여 학생의 학업성취도,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보완 사교육비, 일반 사교육비 사이의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이러한 구조적 효과가 성, 지역, 학교급 집단 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모형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사교육에 대한 지출이 커지는 경향이 있지만 학업성취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성, 지역, 학교 집단 모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사교육비의 집단 간 구조적 효과의 차이가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 현상 중에서 학업에 대한 열의가 사교육으로 많이 집중되어 나타나는 사교육 문제에 있어 학생의 학업성취도,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사교육비가 연관되어 있을 것이라는 사회적 통념을 2011년 사교육비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전국단위 학력평가 성적 차이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울산광역시 사례 - (Effects on the Apartment Price of the Score Difference of National Unit Academic Evaluation - Focused on the Case of Ulsan -)

  • 안문영;추준석
    • 부동산연구
    • /
    • 제27권4호
    • /
    • pp.63-76
    • /
    • 2017
  • 본 연구는 울산시를 대상으로 하여 중학교 및 고등학교의 전국 단위 학력평가의 결과가 해당 지역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효과를 헤도닉 가격결정모형을 활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고등학교의 수학능력시험 점수 및 전국연합학력평가 점수, 그리고 명문대학교 합격자 수는 해당 지역의 아파트 가격 형성에 정의 관계를 가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여러 가지 학력평가 성적들은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에 있어서 비대칭적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보다는 고등학교 학업성취도평가 결과가 아파트 매매가격 결정에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중에서도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보다는 보통학력 이상 학생 비율이 더 중요하게 작용하고, 그리고 고등학교의 수능 인문계 점수보다는 자연계 점수 수준이 더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Using Open-ended Problems in Ability-Level Activities on Academic Achievement of Mathematics)

  • 김보경;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907-935
    • /
    • 2010
  • 본 연구는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와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보인 창의적인 반응을 분석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첫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과 일반적인 형태의 수준별 학습 사이에 성취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실험집단의 성취도별 상 중 하 집단 중 어느 집단에게 더 효과가 있는가?, 셋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가? 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S초등학교 3학년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을 위하여 두 집단의 사전 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한 후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형태의 수준별 학습을, 실험집단은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2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반의 사전 검사 결과로 상(28%), 중(41%), 하(31%) 집단을 선정하였다. 실험처치 후 실시한 사후 검사에서 대응표본의 평균을 비교하여 어느 집단에 가장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문제 3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방형 문제를 이용한 수준별 학습을 한 집단에서 보인 반응을 분석하고, 전체토의 및 면담결과,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학습이 실제로 학생들의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준별 학습은 학업 성취 수준 '하'집단에게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방형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 PDF

RTI Model and Its Applicability in Educational Settings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 Jun, Myongnam;Kim, Namok;Yang, Myonghee;Kwon, Daehoon;Hong, Daewoo;Choi, Hyeonah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7권2호
    • /
    • pp.79-83
    • /
    • 2015
  • The Response to Intervention(RTI) approaches is the method to help students who are at risk for learning difficulties in advance and provide an appropriate level of intervention.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model RTI were reviewed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We considered RTI as supporting system to document students' progress and its applicability for the general educational setting in Korean school. The tier of RTI make it possible the evidence based individual instruction and counseling, differentiated step-by step approach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In conclusion, RTI can be used as educational tools for dealing with improvement of academic subjects learning,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 for students with achievement of below basic proficiency level. For building high quality implementing for RTI it is needed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counselors and learning consultants and related educa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