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Academic achievement gap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3초

학습정리 단계에서 만화자료를 활용한 수업이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Using Cartoon at Finishing Stage of Class on Scientific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 이형철;이선영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84-190
    • /
    • 2010
  •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classes at a finishing stage using cartoons depicting certain science textbook units on scientific attitudes and academic achievements of students, compared to those of classes using experiment and observation oriented textbook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56 fifth graders at B Elementary School in Busan, and cartoon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Unit 1. Mirror & Lens' and 'Unit 3. Temperature & Wind' from a science textbook for the 1st semester, the year 5 to conduct cartoon led lessons just before ending a class till the 10th lesson, for the period of 4 week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scientific attitudes improved better from the cartoon based lesson of a final stage than from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method, and especially more effective in lower groups among all other academic achievement levels as well as in male students. Secondly, academic achievements scored higher when cartoons were used in lessons than when the experiment and observation type was used, with higher groups of academic achievement levels working better, despite no significant gap existing between two genders. Thirdly, the memory transfer and sustenance of lessons were more effective in finishing class stage with cartoon studies than with experiment and observation one, and among all levels and both sexes, higher academic groups and male pupils exceeded. Fourthly, when questioned about their opinions on a cartoon led lesson for a final stage, 65% of those participants responded positively, while higher groups preferred more than lower groups. responded positively, while higher groups preferred more than lower groups.

  • PDF

미국의 교육격차와 지원정책 분석 (A Study on the Educational Gap and Supporting Policy in USA)

  • 김현욱;정일환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1호
    • /
    • pp.89-115
    • /
    • 2018
  • 이 연구는 미국의 교육격차 배경과 최근의 구체적인 교육격차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논문과 미국교육부 게시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국은 사회적으로 소득 격차가 더욱 확대되고 있고, 이것은 교육기회의 격차로 이어지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교육격차로 격차로 귀결되고 있다. 이러한 교육격차는 인종적인 차원의 차이보다는 경제적 차원의 차이로 인식되고 있다. 모든학생성공법(ESSA)을 바탕으로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특히 농촌지역에 대한 교육지원정책이 크게 확대되었다. ESSA는 농촌지역 교육성취프로그램(REAP)을 통해 명목적이었던 기존의 지원을 보다 실제적으로 바꾸었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지역별로 차별화된 교육목표 설정, 소외지역에 대한 지원 강화, 지역별 교육비 격차 해소, 농촌지역 및 학력이 낮은 학교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을 논의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학생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s'socioeconomic status on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emotional support and student's ego resilience)

  • 김영은;엄명용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4호
    • /
    • pp.5-30
    • /
    • 2018
  • 이 연구는 우리사회에서 갈수록 심화되는 계층 간 교육격차를 극복하거나 완화하는 기제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중학생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가정 내 사회자본의 한 형태인 부모의 정서적 지지, 그리고 학생 자신의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 조사의 중학교 1학년 코호트 1차 및 2차 년도 자료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부모의 정서적 지지 및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가정 내 사회자본의 하나인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부모 사회경제적 지위의 영향을 받았다. 셋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학업성취에 대하여 직접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부모의 정서적 지지와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의 정서적 지지를 보완하거나 학생의 자아탄력성을 강화함으로써 교육격차 극복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초한 2009 개정 교육과정 시기의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NAEA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 이재봉;구자옥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429-436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된 2015~2018년 4년간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과학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인지적 영역에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살펴보고자 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정의적 영역에 대한 학업성취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설문 중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에 문항에 관한 결과와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우선 첫째, 전체적인 과학과 학업성취도가 하락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면 우수학력 집단에서 하락의 폭이 큼을 알 수 있으며,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성별로 보면, 성취도 점수에서는 남녀 간 점수 차이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우수학력에서 여학생에 대한 지원, 기초학력에서 남학생에 대한 지원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넷째, 지역규모에서 있어서는 우수학력에서 지역규모간의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교과태도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교과태도에 대한 자신감, 흥미, 가치, 학습의욕 등 4개 구인 모두 성취도 평균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교과태도에서 '높음'일수록 성취도 평균도 높았다. 공통 문항을 통해 최근의 교과태도에 대한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8년을 제외하고 자신감, 흥미, 가치 구인이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보통학력 이상 집단에서는 자신감, 흥미, 가치 등에서 지속해서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나 기초학력 이하 집단에서는 2018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교육과정이나 교수·학습 개선, 교육 정책 수립의 근거나 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소프트웨어 사교육의 양극화 현상 분석 (Analysis of Polarization in Software Private Education)

  • 이재호;심재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71-8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월평균 전체 사교육비와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관련 사교육비, 그리고 학업성취 간 관계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의 양극화 실태를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2,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차이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는 비율도 현격히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총 사교육비와 소프트웨어 관련 사교육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소프트웨어 사교육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정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부모는 공교육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충분하지 않은 탓에 사교육 참여와 그 지출 규모를 늘리고 있고, 가구소득에 따라 미래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주요 역량을 키우는 데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학교과서 소리내어 반복읽기 효과에 대한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repeated reading aloud for mathematics textbooks)

  • 김민아;이봉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87-110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반복읽기와 소리내어 읽기를 결합한 소리내어 반복읽기를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안하고, 소리내어 반복읽기가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인지부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수학과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소리내어 반복읽기에 대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 4명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을 대상으로 '함수의 극한' 단원과 '경우의 수/순열' 단원에 대해 소리내어 반복읽기를 실시하고 학업성취도와 인지부하가 어떻게 변하는지 분석하는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연구에 참여한 모든 학생들은 소리내어 반복읽기가 누적됨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인지부하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단원별로 비교했을 때, 경우의 수/순열 단원에 비해 함수의 극한 단원의 학업성취도가 낮았으며 인지부하 측면에서도 함수의 극한 단원에서 학생들이 더 높은 인지부하를 드러냈다. 학년별로 비교했을 때, 인지부하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두 단원 모두 고등학교 1학년 학생 4명의 학업성취도가 중학교 3학년 학생 4명에 비해 높았다. 학년별 학업성취도는 특히 함수의 극한 단원에서 큰 차이가 있었지만 그 격차는 소리내어 반복읽기를 진행할수록 줄어들었다.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이효순;유태명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1-88
    • /
    • 2009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학생의 가정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은 가정과 학업성취도를 높이는데 효과가 있는가?로 설정하고, 경남 J시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여학생 164명(실험반 82명, 비교반 82명)을 대상으로 도서관 활용수업과 일반 강의식 수업을 14시간 실시하였다.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업성취도 검사를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후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독립표본 t-검증,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도서관 활용수업을 받은 집단과 강의식 수업을 받은 집단 모두 전체 학업성취도 점수는 상승하였으며, 실험집단의 사전과 사후점수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지필평가 결과는 비교집단이 사전과 사후점수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행평가는 두 집단 모두 사전과 사후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사전과 사후의 변화량에 대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는 전체 학업 성취, 지필평가, 수행평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평가계획이 더욱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하며 도서관 활용수업 중의 활동이 학습에 교육적 효과를 올릴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College Students' Perspectives on How Emotions Affect their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 Pyong Ho Kim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2권2호
    • /
    • pp.190-195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ypes of emotional experiences that college students undergo, particularly those affecting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performance. To this end, six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Seoul, South Korea participated in a series of 'focus-group interview (FGI)' sessions in which in-depths discussions took plac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draw the participant students' opinions and ideas as they made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Three participants were placed in each of two groups, and each group had approximately 90-minutes-long sessions. The results showed that positive emotions, such as joy and enthusiasm, can increas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hil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xiety and stress can hinder them. The findings also highlight that students actively employ coping strategies to manage negative emotions. Moreover, the study underscores students' desire for improved emotional support from instructors, indicating a gap between their expectations and the actual emotional care provided in educational settings. Relevant issues are discussed for future suggestions.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과 학업성취도의 성별차이 (Gender Differences among 9th Grade Students i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cience)

  • 김현경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138-14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전수평가로 치러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서 과학 성취도가 성별에 따라 어떤 차별성을 나타내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중학교 3학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를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도의 성별차이, 성별 성취수준 비율, 내용영역별 및 행동영역별 성별 정답률 차이, 내용영역에 따른 문항별 정답률 중 성별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하는 것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과학성취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우수학력에는 남학생 비율이, 중위권 집단에서는 여학생 비율이, 기초학력미달에는 남학생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내용영역 중 물질, 생명 영역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답률이 높았으며, 행동영역에서는 지식과 탐구영역에서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답률이 높았다. 넷째, 성별 정답률의 차이가 가장 높게 나타난 문항을 살펴본 결과 남학생은 자료를 해석하는 문항의 경우, 여학생은 규칙을 기억해야 하는 문항, 일상생활과 관련된 친숙한 문항의 경우에서 정답률이 높았다. 이러한 과학에 대한 중학교 남녀의 성별 특성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약점을 보완하고 지원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중등교과에서 재료가공 단원의 수업방법에 따른 학습 성취도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arning Achievement Gap in the Secondary Curriculum in Accordance with the Teaching Methods of Materials Processing Section)

  • 김지혜;이종길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07-112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에서 재료가공 단원의 학습 성취도를 수업 방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연구하였다. 대상 집단은 중학교 2학년과 3학년을 비교하였으며 2, 3 학년 모두 재료가공 단원을 처음 배우는 학생 집단을 선정하였다. 2학년은 교육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강의하였으며, 3학년은 전통적인 판서 강의를 하는 방법을 선택하여 학습 성취도를 비교하였다. 6개의 문항에서 정답률을 비교한 결과 교육매체 활용을 한 수업에서는 71.1%의 평균 정답률을 나타내었으나 판서 강의를 한 집단에서의 평균 정답률은 45.3%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평균 정답률 차이는 25.8% 포인트로 교육매체를 활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